교수와 광인
사이먼 윈체스터 지음, 공경희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0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글쎄, 미친 사람이라는 것이 무엇일까?
정상적인 것과 비정상적인 것의 구분이 되기나 할까?
그러한 구분은 우리가 몸담고 있는
이 사회가 우리에게 끊임없이 심어주는 강박관념 같은 것 아닐까?
사실 매일 매일 우리를 위협하는 것들이 얼마나 많은가?

내가 길거리의 골목길을 다니다가 차사고를 당하거나,
혹은 강도를 만나거나 하는 확률이 얼마나 높은가?
내가 잠자다가 사고를 이세상을 종칠 확률은 또 얼마나 높은가?
그런 것들을 의식하고 산다면 그 사람은 미친 사람이 되는거다.
그런 것을 의식하지 못하는 사람이 정상적인 것이다.

사실을 사실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사람이 정상이라면
이 세상은 정상적이지 못한 사회가 되는 것이다.
이 책을 읽고 싶었던 이유는 그런 것이었다.
옥스퍼드 영어사전을 만든 사람들의 장인정신.
원서를 번역하기 위해 몇대에 걸쳐 인생을 탕진(?)하는 사람들.
옥스퍼드가 만든 책이라면 어느 분야의 책이고
원자료의 가치가 있다는 평가를 만들어 내는 사람들이
어떻게 그런 것들을 가능하게 하는지 하는 것들을 알고 싶었다.

물론 이책이 날 실망시킨 것은 그런 장인정신은 별로 다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하지만, [교수와 광인]의 줄거리를 이끌고간 정상인과 비정상인의 우정은 많은 것들을 생각하게 해주었다.

체스터 마이너는 사회가 강요한 삶 때문에 사회로부터 비정상인이 되어야 했다.
그에게 강요된 전쟁의 소용돌이는 한 인생을 망가뜨림으로써 그의 권리를 박탈하고 말았다.

어처구니 없는 살인을 저지르고 수용소에 평생을 갇혀있었야 했다.
그리고 남들이 알아주지 못하는 수용소 구석에서 죽어가야 했을 것이다.
그러나 그에게 옥스퍼드 영어사전의 편찬은 새로운 인생의 희망이 되었다.
희망은 그런 식으로도 우리에게 오는가?
그 역시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써 모든 권리를 누리고 싶었으며
자신이 가진 재능을 보여주고 싶었다.
그리고 그는 그렇게 나름대로 성공했다.
옥스퍼드 사전이 미친 사람의 공로로 나왔다니..

이 해결되지 않는 물음에 [교수와 광인]은 성실히 답변한다.
내가 얻은 결론은 그것이다.
누구나 삶은 아름다울 권리가 있다는 것.
그 권리를 어느누구도 침해할 수 없다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신의 왼편 1
방현석 지음 / 해냄 / 2000년 3월
평점 :
품절


현현욱이 벌이고 있는 인생에 대한 태업.
그 심정은 내가 느끼는 것들과 똑같은 것이었다.
과거의 삶에 있어서 나의 목표는 언제나 치열하게 살자하는 것이었다.
치열하지 못하다면 어쩌면 이 세상이란 버텨내기 힘들 것이라는
부질없던 생각에 살아왔었다.
나에 대한 고민, 나에 대한 투자 그런 것들은 언제나
일상사의 맨 밑자리를 차지하는 일들이었다.
현현욱과 내가 다른 게 있다면,
그는 태업을 벌여도 먹고 살만하다는 것.
나는 태업을 벌이고 있는 지금 죽을 맛이라는 것.
예전에 읽었던 방현석 씨의 힘있는 문체,
그리고 사람의 심정을 읽어내는 밝은 눈을 잊지 않고 있다.
그가 그려내는 모습은 아름다운 모습들이었다.
여전히 당신의 왼편에서도 지나가 버렸지만 아름다운 모습을
그려주고 있다. 그러나 좀 지나쳤다.
너무 많은 이야기를 한꺼번에 그려주고 있었고,
심지어 어떤 것들은 구태의연해지기까지 했다.
어떤 일들은 매일 매일 반복해서 보더라도
눈물이 나는 일들이 있다.
광주항쟁이랄지, 70년대 한번의 투쟁을 조직하는 사람들이랄지,
그 시절을 살아나와 현실을 살아야 하는 부담감이랄지
하는 일들은 사실 그 자체로 눈물이 나게 한다.
그러나 이것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한다면 좀 달라야 하지 않을까?
전형화된 형상화는 글의 질척임과 긴장의 이완만을 가져온다.
..
그렇다고 해서 이 책을 읽으며 그렇게 지루했던 것은 아니다.
지나간 시간들, 내가 참여했던 시절도 있고,
그보다는 참여하지 못했던 시절이 더 많았지만
눈물나는 일이었으며,
나도 이제는 인생에 대한 태업에서 손을 뗄때가 되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태업에서 손을 떼면 다시 노동으로 돌아가는 걸까?
내가 돌아갈 곳은 어디일지 아직 잘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래된 정원 - 상
황석영 지음 / 창비 / 200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과 북의 정상이 만나고,
끊어진 경의선이 다시 이어지고,
장기수들은 북송되고,
과거의 기억으로부터 모두가 잊혀지기를 원하는 지금.
기어코 지나간 이야기를 끄집어내 다시금 우리 갈길을 재촉한다.
오래된 정원은 어느 누구나의 가슴 속에 있다.
지나가버린 시절이 자신에게 역사의 현장이었든,
한 인간의 실존적 문제로 한없이 흔들리는 시절이었든
오래된 정원은 마음 한 구석을 차지하고 앉아
우리를 부른다.
황석영씨는 이 소설에서 비교적 역사의 현장과 개인의 실존의
문제를 균형있게 그렸다.
후일담 소설들이 가지는 한계들, 지나가 버린 시간에 대한
끊임없는 회한이 아닌 그 시절을 지금에 다시 살려내는
꿋꿋한 문체가 믿음직스럽다.
갈뫼에서의 만남과 헤어짐,
한윤희의 머나먼 이국땅에서 최후는 사실 같은 의미가 아닐까?
지금 세상은 놀랍게 변화해 가고 있지만,
그리고 예전에 그렇게 목청껏 소리높여 불렀던 목표들이
조금씩 성취되어 간다 해도,
잊거나 잊혀져 버린 나와 그들의 만남은 어찌할 수 없다.
마음 속의 오래된 정원을 찾아가는 일이 내게는
나를 버리는 일이 될 수 있음으로,
오래된 정원을 읽는 내내 후회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딸기밭
신경숙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경숙 씨는 참으로 탁월하다. 이름을 들을때마다, 그리고 그녀가 책을 낼 때마다 항상 머뭇거리게 된다. 나는 저 책을 읽으면서 분명히 내 슬픔들을 헤집어 놓을 각오를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한 페이지도 제대로 넘길수 없다.

지나가버린 슬픔을 들추어 내는 것은, 아직 아물지 않은 생채기를 들추는 것과 다름없다. 몸에 난 상처처럼 흉터만을 남기는 슬픔은 없다.

<딸기밭> 역시 슬픔들의 탐구의 과정이다. 여전히 내면에 머물러 있지 않은 상처들과 탐욕들, 인간 욕망과 삶의 자리는 언제나 그 자리에서 맴돈다. 신경숙 씨는 그래서 탁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