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Book] 지구를 구한다는 거짓말 - 환경을 생각하는 당신이 들어보지 못한 기후과학 이야기
스티븐 E. 쿠닌 지음, 박설영 옮김, 박석순 감수 / 한국경제신문 / 2022년 7월
평점 :
인간은 미래를 알 수 없다. 그래도, 미래를 알지 못하면 마음은 불안하다. 그래서 고래부터 거북이 등껍질로도 영매를 통해서도 신탁을 얻기를 원한다. 현대에 와서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불안을 해소하는 권위는 과학자에게 있다.
학교에서 배울 때와 현장에서 일할 때 나의 불안한 마음이 커지는 것은 오차들 때문이었다. 숫자는 수학공식처럼 하나가 아니다. 단계마다 층층이 쌓이는 오차들 덕분에 내가 아는 것이 정확할 수 없다는 걸 받아들이는 것은 괴로운 일이다. 그래서, 나는 확신에 차서 말할 수 없는 사람이 되었다.
'지구를 위한다는 착각'(https://blog.aladin.co.kr/hahayo/12746420)을 읽었었다.
이 책이랑 제목이 너무나 비슷해서, 계속 헷갈렸다. 지구를 위한다는 착각,도 원서 제목은 그런 게 아니었다. 지구를 위한다는 착각, 은 'Apocalypse never'였고, 이 책의 원서 제목은 'Unsettled'이다. 원서의 제목 정도가 적당하다는 생각이 든다. 기후란, 언제든 변할 수 있는 확정되지 않은 미래의 일이다, 란 의미에서 그렇다.
'지구를 위한다는 착각'이 종말론적인 전망으로 불안을 극대화시키는 방식의 언설에 저항하기 위한 말들이었다면, '지구를 구한다는 거짓말'은 그런 종말론적인 전망이 가능하게 하는 과학의 한계에 대한 말들이다.
기후위기, 기후정의, 마지막 기회,같은 넘쳐나는 말들 가운데 피로했다. '나는 그럼 뭘 해야 해?'라는 질문에 '정치인이 기업이 변해야 한다'고 자신의 잘못은 없는 양 빠져나가는 말들이 싫었다. 그저 인지도나 호응을 얻기 위해 과격한 말들과 행동을 일삼는 것처럼 보였다. 기업이나 정치인이 그렇게 행동하는 데, 소비자나 유권자인 나의 민원이 작동하는 거라는 걸 알고 있다. 5%의 물가인상조차 감당하기 어렵고, 당장 전쟁이 터지면 탄소중립이 뭔지 싶은 선택을 하게 된다.
'지구는 괜찮아, 우리가 문제지'(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85827587)라는 책 제목이 어쩌면 내 맘이다.
책은 한참동안 통계와 방법에 대해 말한다. 기후를 예측하는 과학자의 방법이 무엇인가. 그 방법은 얼마나 많은 오차와 불확실성을 포함하고 있는가,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 부분을 읽는 것은 너무 어려웠다. 조건을 다르게 여러가지 모델을 설계하고, 다른 결과를 얻는다. 결과의 오차범위가 있고, 결과의 한계가 있다. 두꺼운 연필로 그린 그림을 가는 연필로 다시 그릴 때, 그저 우상향 추세선처럼 보이던 것은 요동치는 선으로 변하고, 인간의 삶은 우상향 추세선에 달린 게 아니라 요동치는 가는 선 위에 있다. 100년도 못 살면서 천년 후를 걱정하는 것처럼 당장 내일 벌어질 일에도 일관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정책들을 가지고, 무언가 개선할 수 있을 것처럼 확신에 찬 말들을 하는 게 참기 어렵다.
인간이 없을 때도 공룡은 멸종했고, 지구는 뜨겁기도 차갑기도 했는데, 인간인 우리 때문에 지구가 뜨거워지고 있으니 불편을 감수하라,는 말을 들으면 나는 삐딱해지는 거다. 불편을 감수하라,가 이미 누릴 만큼 누리는 선진국에서 선진국에 진입하려는 나라들에 하는 말이라면 더욱 삐딱해지는 거다.
과학적 방법론과 불확실성에 대해 말할 때 느릿느릿 나아가던 것은 공론장에서 왜 이런 말들로 흐르는지 설명하는 대목, 그러니까 정치와 의사결정에 대한 부분에서 빠르게 나아갔다. 책으로 읽을 때조차 불안을 감당하기 싫어한다.
읽으면서 그래서 어떡할까요?라는 물음에 하는 저자의 대답 때문에 '누가 내 치즈를 옮겼을까'(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26139) 생각이 났다. 어린날 읽을 때는, 어른들 혹은 기득권자가 새로운 세대의 순응을 바라면서 만든 우화라고 삐딱했던 것도 같은데, 이 책을 읽으면서 떠올린 것은 세상의 변화를 그저 받아들여야 하는 순간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인 거 같다. 젊은 어떤 날 내가 파도라고 생각했던 어떤 자만심은 지금 나는 그저 파도 위의 나뭇잎이라는 자각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아무리, 탄소배출을 제로로 만든다는 대의명분에 동의한다 해도, 당장 난방조차 끄지 못하는데, 그저 우리는 그 때 그 때 달라지는 상황에 옮겨진 치즈를 따라 삶을 바꾸는 생쥐같이 살아가야 하는 건지도 모르겠다.
인간은 그렇게 작고도 크고도 한심하다.
과학자가 자신이 윤리적이라 믿는 것을 위해 정책 토론장에 고의로 잘못된 정보를 전달할지 말지를 고심하는 것조차 자만심의 극치다. - 7%
존 케리 당시 국무장관은 연설 도중 인간이 초래한 기후변화를 대량 살상 무기에 비유하면서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과학은 명쾌합니다.(...) 오바마 대통령과 저는 '평평한 지구 학회'같은 모임에 신경 쓸 시간이 없습니다." 하지만 과학은 확정적이지 않다. 공개 토론은 과학적 절차의 핵심이다. 과학자가 토론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반과학적이라는 딱지가 붙을까 봐 두려워해야 한다는 건 말이 안 된다.- 10%
과학이 어떻게 정보 전달이 아닌 설득을 위해 사용되는지, 그리고 비전문가들이 그 설득에 어떻게 현혹되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불쾌한 사례다. -25%
미래에 어떤 상황이 벌어지든 평가보고서는 허리케인 데이터에 대한 설명을 누락시켜 대중을 속이고 있다. 이는 워싱턴 DC의 국립아카데미 건물 앞에 우뚝 서 있는 아인슈타인의 다음과 같은 유명한 격언에 반하는 것이다. "진리를 탐구할 권리에는 의무가 함께 수반된다. 사실이라고 인식한 것은 티끌만큼도 숨겨서는 안 된다." -41%
매우 불확실한 미래 예측으로 공포를 조장하는 헤드라인을 뽑는 것과 기존 데이터를 왜곡해 기후 관련 죽음의 공포를 조장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다. - 55%
확실한 것은 언론, 정치인, 때론 평가보고서들마저 과학이 기후와 재앙에 대해 말하는 사실을 뻔뻔스럽게 잘못 전달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잘못은 해당 보고서를 작성하고 생각 없이 검토하는 과학자들, 보고서 내용을 무비판적으로 따라읊는 기자들, 이런 일들이 일어나도록 허락한 편집자들, 그러한 재앙의 호들갑을 부채질하는 활동가와 단체들, 그리고 대중의 침묵 하에 기만을 일삼는 전문가들이 만들어낸 것이다. 이러한 기후에 대한 수많은 인식 오류가 지속적으로 반복되면서 그것들을 합의된 '진실'로 바꿔 버린 것이다. - 59%
안타깝게도 뉴스의 보도 주기는 미친 듯이 빨라지고 기자와 편집자는 그 어느 때보다 시간에 쫓기고 있다. 현대 미디어의 다양성과 보편성은 신선한 '콘테츠'에 대한 수요뿐 아니라 기사를 제일 먼저 게재하려는 경쟁도 증가시켰다. 과학자들과 마찬가지로 기자도 편견을 버려야 한다는 직업적 규범이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편견이 깨끗이 사라지는 건 아니다. - 60%
물론 이는 기후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며, 정치적으로 회색 지대를 혐오하는 유권자들에게도 일부 책임이 있다. 불확실성으로는 지지 기반을 다지기 힘들다. - 60%
언론은 NGO에 권위를 부여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들 또한 그들만의 기후 에너지 의제를 가진 이익 집단이다. 지지자를 결집하고 돈을 모으고 캠페인을 진행하고 정치적 힘을 휘두르는 강력한 정치행위자다. 많은 NGO에서 '기후위기'는 존재의 이유 그 자체다. 또한 더 공격적인 단체들에게 의제를 빼앗기는 것도 걱정해야 한다. - 62%
그리고 내 경험상 사람들은 자기 전문이 아닌 영역에 대해서는 자신이 선택한 미디어를 믿고 신뢰하는 경향이 있다. - 62%
"누가 개발도상국에게 탄소를 배출하지 않도록 돈을 지불할 것인가?"라고 묻는 것은 당연하다. 나는 이 간단한 질문을 많은 사람들에게 15년이 넘도록 했지만 아직 납득할 만한 답을 듣지 못했다. - 71%
절약을 장려하는 확실한 방법은 규제를 강화하거나 가격을 인상하는 것이다. 하지만 둘 다 정부가 추진하기에는 어려운 조치다. - 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