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회인가를 보고 거울을 볼 수 없었다. 너무 무서워서 그만 보려고 했는데, 어쩌다보니 마지막화까지 봤다.
악귀,라는 제목이지만, 악귀가 정말 악귀인가 싶은 사건들 가운데, 이입하기 힘든 이야기에 숨쉴 틈이 없이 진지하다고 생각하면서 봤다.
끝까지 보고는, 이야기를 하는 사람들은 젊은이를 타깃으로 할 수 밖에 없어서 이야기가 이런가, 생각했다.
무능한 엄마에 대한 묘사를 나는, 싫어한다. 구산영의 엄마는 산영이가 아기였을 때 이혼하고 그 집을 벗어났고, 친정엄마를 그런 식으로 잃고 나서, 미혼모나 다름없는 상황에서 구산영이 성인이 될 때까지 키웠는데, 왜 저런 식으로 묘사할까 생각했다. 구산영의 엄마가 그렇게 무능했다면, 도대체 무슨 수로 구산영을 키울 수 있었을까. 고등학생 때부터 운동장의 동전을 줍고, 엄마가 친 사고를 수습하는 딸로 묘사되는 구산영은 살고 싶지 않을 만큼 괴로운 것으로 묘사된다.
나는, 이런 식으로 서로가 서로를 얽매는 관계에서, 일방적으로 상대를 묘사하는 무능은 진실이 아니라고 생각하는데, -구산영의 자기 확신이 엄마의 무능을 강화하는 관계였겠지- 이야기는 타깃이 젊은이고, 젊은이의 눈에 구산영의 불운은 엄마의 무능에 있는 것이어야 했을까.
악귀,의 존재에 대한 연민을 일으키는 과거 사건의 묘사는 이야기의 카타르시스를 많이 혼란스럽게 한다. 왜 이런 연민을 불러일으키고도 평화롭게 보내줄 수 없었을까. 악귀의 악행은 자신의 의지가 있었던 걸까. 악귀의 의지는 무엇으로 어디로 향하는 건가.
이용당하는 악귀, 이용하는 무당과 염해상의 할머니 사이에서는 악귀가 불쌍해 보이다가, 다시 구산영과 악귀 사이에서 구산영이 불쌍해지는 거다.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이라는 댓가가 악귀에게 무슨 소용이 있을까. 어머니도 죽고, 아버지와 오빠도 죽고, 그 순간 자신만을 생각했다면 살 수도 있었던 향이가 그 돈들을 보따리에 싸가지고 가서 동생을 살려 달라고 내밀 때, 악귀,라고 부르기에 불쌍한 향이가 왜 어느 순간 '자신만을 위해 살기 원하는' 악귀가 되었을까. 이미 무당은 향이를 그런 존재라고 설명할까. 산영이 마음 속에 작게 솟은 누군가를 죽이고 싶은 마음을 꽉 잡고 실행에 옮길 때, 무엇을 이용하고 있는 걸까. 라이토의 데쓰노트, 같은 걸 젊은이에게 준 걸까, 싶은 생각도 든다.
악귀,의 존재가 그저 증명하지 못하는 어떤 죽음들에 대해 법이나 제도의 한계를 드러내기 위한 것인가,라는 생각도 한다. 법으로는 방법이 없고, 세상에는 그런 일이 있어, 라는 걸까. 싶기도 하다. 이제 무엇이든 할 수 있고, 해결할 수 있다는 확신에 찬 한 시대를 떠나보낸 것인가,라고도 생각했다.
마지막화를 보면서는, 젊은이가 죽고 싶어하는 이유가 '나 자신을 위해 살지 않아서'라고 생각하는가 의문을 품었다. 나는, 젊은이가 '완벽한 삶을 살 수 있다고 상상하기 때문에'https://blog.aladin.co.kr/hahayo/13054698 사는 걸 버거워하는 거라고 생각한다. 사는 건 즐거움의 축제,라기 보다는 고통의 바다,인데, 나도 젊었을 때는 즐거움의 축제일 수 있다고 생각했었다. 나를 착각할 수 있게 한 부모의 보호 아래서 내 자신을 거대하게 상상하면서 인생의 어느 단계 어떤 성취만으로 다음 순간의 평안이 보장된다고도 생각했다. 인생에 무언가를 보장하는 성취 따위는 없고, 매 순간 나의 선택이 다음을 만들고, 다음 순간에는 다른 고통이 있다는 걸 살아가면서 매 순간 느낀다. 스스로를 책임져야 하는 순간이 점점 커지고, 어느 순간 부모조차 너무 작아져서, 삶이 버거운 순간들에 이게 삶이라는 걸 알고 있다.
게다가 보기에 아쉬울 것 없는 삶들도 나름의 고통으로 괴롭다는 걸, 또래의 죽음들 가운데 안다. 자아라는 게 환상에 불과하고, 삶의 어느 순간 자아는 없는 거라는 걸 깨닫게 된다고 생각하는 나는, 나 자신을 위해 살고 싶다,는 산영이의 말은 스스로를 죽여왔던 자신에 대한 다른 말인 건 알지만, 지금 젊은이들이 산영이처럼 자신을 억눌러야 하는 순간들에 그렇게 억울해 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다. 함께 살기 위해 필요한 참음,을 그렇게까지 억울해하면 어떻게 같이 살 수 있어, 싶은 순간들,이 있어서.
이야기의 어떤 면에도 불구하고, '내가 그 동안 너무 나를 억누르고 참기만 했어. 앞으로 안 그럴래'라는 말이 현실의 어떤 세태와 맞물려서 무섭네,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