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화를 볼 때, 모든 갈등이 끝났는데, 16화는 뭘 하려나, 싶었다. 

결혼을 하려나. 주인공 커플도 서로의 마음을 확인하고, 양가부모의 허락도 받았고, 서브커플도 맺어졌다. 프로포즈를 벌써 두 번쯤은 한 것도 같고, 도대체 16화는 뭘로 채우려나, 싶었는데 내심 결혼하려나 기대도 했는데, 역시 그런 일은 벌어지지 않았다. 

연애지상주의자들이 연예계에 가득한가. 두 번이나 청혼받은 석류는 받기만 한 게 미안하다면서 청혼도 했으면서 당장 결혼하기보다 결혼을 미루고, 아직 젊은 자신의 부모들에게 드레스를 입힌다. 이건 뭘까. 

티비라는 올드매체의 시청자가 젊은 커플보다 커플의 부모세대이기 때문에, 결혼이 평화롭고 다시 한 번 드레스를 입기를 원했던 걸까. 정말 지금 젋은 세대들은 결혼이 그렇게까지 두려운 걸까. 석류와 승효가 결혼을 미룬 이유는 못 해본 연애를 원없이 하고 싶다, 이고, 모음이랑 단호가 결혼을 하지 못하는 이유는 모음이가 남극기지로 파견갔기 때문이다. 

젊은이는 결혼을 왜 하는 걸까. 젊은 여성들은 왜 결혼이 두려운 건가. 연애와 결혼의 차이는 뭔가. 정말이지 내가 궁금해서 누구라도 붙들고 물어보고 싶은데, 이런 질문은 너무 무례해서 할 수가 없다. 

나는 연애가 정말 너무 귀찮은 사람이라서, 젊은 커플들의 결혼거부증을 이해할 수가 없다. 좋아서 죽겠다면서, 정말 네가 너무 좋다는 로맨스의 결말들이 이러니까 내가 또 이해가 안 되는 거지. 영원히 너만 사랑하면서 늙고 싶다면서 왜 결혼을 두려워하는가 싶은 판타지 속의 젊은 연인들- 사내맞선 하태커플도, 선재업고 튀어의 솔선커플도, 일타스캔들의 열선커플도 그랬다-을 모르겠다. 아니면, 나같은 올드한 시청자들이 마음대로 상상할 수 있게 '결혼하자'에 '좋아'라고 대답하는 장면에서 드라마를 끊지 않는 지금의 세태를 모르겠다. 그게 더 멋있나? 역시 모르겠구나. 사랑보다 중요한 게 있다고 믿는 로맨스 창작자들인 건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선재업고 튀어,가 종영하고도 유튜브로 영상을 보고 있다. 

대만 팬미팅에 선재 등신대를 업고 온 팬에게 웃으며 손하트를 만드는 변우석 영상도 보고, 팬미팅 사진이라는 사진들도 좀 본다. 김혜윤이 나온 틈만나면,도 본다. 

왁자지껄한 팬미팅과 선재에 대한 열광을 보면서 애초에 내가 드라마를 보고 무슨 생각을 했었는지 생각했다. 

1,2회차 선재가 자살,했다고 생각한 나는 사랑에 대해 쓰려고 했었다. 오래 사랑한 사람이 나를 아예 기억하지 못할 때의 절망에 대해서 쓰려고 했었다. 심지어 팬으로 나를 사랑한다고, 살아있어줘서 고맙다고 말하는 때의 절망에 대해서 쓰려고 했다. 안전하게 짝사랑만 하려는 세태에 대해서 쓰려고 했었다. 

수십, 수백, 수천, 수만, 수십만의 열광적이랄 수 있는 사랑을 받는 류선재는 단 한 사람 임솔의 팬심에 절망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사랑이란 참으로 이상하고 잔인한 감정이라서. 

류선재의 죄책감과 뒤엉킨 애달픈 짝사랑은 임솔의 뒤늦은 팬심이 오히려 슬프다. 

열아홉 솔이는 선재의 마음을 알 수 없고 알아도 받을 리 없고, 지금 선재를 좋아한다고 사랑한다고 말하지만 그 감정은 나란히 서서 마주 볼 수도 있는 독점적인 관계의 마음이 아니라, 먼발치에서 보내는 누군가와 나눠 가지는 팬의 마음이다.  

드라마의 도입에서 나는, 그 마음의 불균형이 가져오는 파국이, 드라마가 말하려는 걸 수 있다고 생각했다. 강태성을 따라다니느라 선재를 보지도 못하는 열아홉 솔이처럼, 자기 주변의 꽤나 멋질 수도 있는 누군가를 알아차리지도 못하는 팬심은 좋지 않다고 말하는 거라고 생각했다. 

다 늦게 내가 처음 매혹당한 어떤 이야기의 의도가 떠오른 것은, 지금 세계를 열광시킨다는 선재에 대한 이슈 때문이다. 

이야기가 하고자 하는 어떤 주제는 이야기가 보여주는 이미지 가운데 퇴색하고, 오히려 반대 쪽으로 현상을 강화시킨다. 

등신대를 업고 온 팬은 자신을 짝사랑하는 이웃집 총각의 애달픈 사랑을 모르는 채로, 류선재의 팬미팅에 가 있을 수도 있는 게 아니겠는가. 사람들이 두렵고 위험한 미지의 존재를 받아들이는 사랑 대신, 안전하고 무해한 가짜 사랑으로 도피한다. 독점적이고 밀도높은 지속적인 관계를 찾아낼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선재업고튀어, 재밌습니다!

변우석은 멋지고, 김혜윤은 정말, 정말 정말 예쁩니다!

저는 이걸 초5 딸이랑 같이 봅니다. 


인생1회차 솔이는 사고로 다리를 잃고 병실에서 갓 데뷔한 보이밴드 멤버 선재의 전화를 받습니다. 퉁명스럽고 쌀쌀맞게 받았지만, 그래도 건네는 선재의 따뜻한 말에 다시 살 마음을 먹고 선재의 팬이 됩니다. 솔이에게 선재는 하늘에 뜬 별과 같은 존재라서, 콘서트가 끝난 한강 다리 위 고장난 휠체어를 탄 채 만난 선재에게 바들바들 떨면서 살아있어줘서 고맙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그 날 밤 선재의 죽음을 뉴스로 듣고는 첫번째 타임슬립을 합니다. 

솔이의 타임슬립으로 운명은 조금씩 달라지고, 각각의 선재와 솔이는 조금씩 다른 경로로 다시 만납니다. 

저는 내내, 인생 1회차 선재의 죽음이나 2회차 선재의 죽음이 자살일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오랫동안 좋아한 솔이가 자신을 전혀 알아보지 못하는 것은 깊은 절망일 거라고도 생각했구요. 그런데, 딸래미는 저 사람이 범인이잖아, 그럴 리 없어,라고 말해줍니다. 1회차 선재의 죽음이나 2회차 선재의 죽음의 경위는 이미 지나가버렸고, 드라마는 그걸 알려줄 리 없지만, 3회차 선재의 죽음?이 드러난 것처럼 범인의 보복살해방식이 달랐던 걸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절망한 사람을 죽이기는 좀 더 쉬워서, 1회차 선재나 2회차 선재는 상처없이 스스로 죽인 거라 오해받을 상황에 죽음을 맞은 걸 수도 있으니까요. 알려줄 리 없는 사실이지만, 그 죽음들을 솔이가 알면 알 수록 자신의 잘못이라고 생각하는 것도 그럴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선재는 어떠한가요. 사랑에 대한 판타지의 응축이라는 면에서, 선재의 지고지순함은 너 대신 죽은 거라면, 나는 괜찮다고 어제는 세번째 타임슬립한 솔이한테 이야기합니다. 

1회차 선재는 고백도 못하고 짝사랑한 이웃집 여자애가 위험에 처해서 교통사고를 당하는 걸 눈 앞에서 보고, 그 아이를 구하고도 '죽게 내버려두지, 왜 살렸냐'는 원망을 듣습니다. 그러고도 '살아달라'고 '꼭 살아있어달라'고 모르는 사람인 채로 당부하는 아이돌이 됩니다. 이제 그 이웃집 여자애는 휠체어를 타고, 꼭 살아있어달라던 그 아이돌의 팬이 되어, 아무 것도 아니던 선재의 마음은 끝끝내 모르는 채로, 팬으로의 사랑을 말할 뿐입니다. 

2회차 선재는 타임슬립한 솔이의 어마어마한 사랑을 짧은 순간 받고, 어리둥절한 채로 내쳐져서는 역시나 아마도 솔이의 사고를 목격하고 역시 또 죄책감을 품고 살아가다가, 자신을 모르는 오랜 사랑 앞에서 절망감을 품은 채로 영문 모르게 죽습니다. 

3회차 선재는 살았고, 솔이에게 사고는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솔이는 선재의 팬이 아니고, 선재는 경쾌하게 살아가다가 솔이를 다시 만나 사랑하게 됩니다. 그러다가 범인의 칼을 맞고는 위중한 상태에 빠집니다. 

다시 솔이는 세번째 타임슬립을 합니다. 이제 조금은 다른 시기, 대학생 시절로 갔습니다. 이게 10회차까지의 이야기입니다. 


지고지순한 첫사랑을 품은 남자애의 환상은 얼마나 강력한지, 사랑하지만 사랑받을 자격은 없다고 생각하는 여자애의 사랑은 얼마나 달콤한지, 시간이 어긋난 사랑 속에서 그 둘이 마주보는 순간은 또 얼마나 짜릿한지 이걸 보는 내가 너무 단 사탕을 먹은 것 같은 느낌이 됩니다. 

열아홉 남자애의 마음과 서른 넷 여자애의 마음이 만나는 게 지금 시대가 그런 것 같았습니다. 뭐 그렇지만 정말 그런가, 는 잘 모르겠습니다.  

열아홉의 잔인한 마음은 나 좋다는 사람은 보이지 않고, 자기 마음 가는 대로 흐르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사실 1회차 솔이가 선재의 마음을 모르는 건 너무나도 당연하기는 합니다. 선재는 솔이의 오해를 내버려뒀고, 한 번도 마음을 알려준 적 없으니까요. 그런 솔이가 잔인하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다시 걸을 수 없다는 절망감을 자신을 구해준 사람에게 쏟아냈다는 것도, 그 사람이 그 앞에 서 있었다는 것도 솔이의 잘못은 아닐 수 있습니다. 그저 그런 때가 있는 거니까요. 타인의 마음을 찬찬히 돌아보는 심정 같은 건 살아가면서 익히는 어떤 게 아닌가. 사랑이라는 감정의 잔인함은 자신의 마음에 생기기 전에는 타인의 감정 따위 보이지 않는 게 아닌가, 말입니다. 

타임슬립처럼 불가능한 이야기를 끊임없이 만들고 보는 이유는, 어긋나는 시간에 대한 한탄일 겁니다. 어긋나는 시간들 속에서 용케도 살면서 사랑하는 모든 사람들이 대단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내 마음의 시간과 네 마음의 시간이 어긋나도 어긋난 채로 감당하는 마음들도 대단하구요. 

다시 또 월요일의 이야기를 기다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드라마를 보다가, 불화하는 부자관계와 이 때문에 촉발되는 부부관계의 갈등묘사를 만났다. 


[혼례대첩]에서 절대 악의 축은 정경부인인데, 남편보다 정치적으로 뛰어난 인물로 묘사된다.  ( https://program.kbs.co.kr/2tv/drama/thematchmakers/pc/detail.html?smenu=e126f2 ) 세자의 혼사를 막고, 자신의 조카인 대군을 세자로 만들려고 하고, 더하여 이전에 이미 세자를 독살하려는 실패한 음모를 꾸미기도 했다. 그런데, 정치적 야심가인 정경부인은 시끌벅적한 성혼의 소동극 가운데, 정치적 동지이자 대외적인 자신의 대리인인 남편이 자신의 아들을 살해했다는 걸 알게 된다. 부인은 자신의 아들을 살해한 남편을 살해한다. 정치적 판단,으로 묘사되지 않는다. 자신의 아들을 살해한 남편에 대한 분노가 묘사될 뿐이다. 남편은 아들을 살해했고, 아내는 남편을 살해한다. 


[밤에 피는 꽃]에서도 절대 악의 축인 좌의정은 정치적으로 갈등하는 선왕을 시해했다. 선왕은 좌의정을 피해 자신의 군대에 임무를 주어 궁을 내보냈다. 좌의정은 밀명을 받아 길을 나선 왕의 군인 중 한 명의 누이를 자신의 며느리로 삼는다. 단, 아들은 이미 자신의 사랑을 찾았다며 집을 나간 뒤이니, 이 며느리는 며느리라기보다 인질이다. 자신의 아들을 아내에게 죽었다고 하고, 집을 나가는 아들에게 다시 돌아오면 죽인다고 한 뒤다. 아내에게 죽었다고 한 아들이 15년만에 돌아와 자신의 자리를 찾으려 한다. 좌의정에게 이는 용납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어머니는 남편이 찾고 있다는 말을 믿었고, 아들이 죽었다는 말도 믿었다. 이제 살아돌아온 아들을 기쁘게 끌어안으며, 자신이 자리를 비운 사이에 아버지와 아들이 어떤 날선 말을 주고받는지 아예 모른다. 


부부 사이의 비밀은 어디서 생기는가. 

왜 아버지는 아들과 불화하는가. 

왜 이야기는 이런 상황들을 묘사하는가. 

고릴라 이스마엘을 읽고, 서양의 이야기들이 더 피와 살이 튄다,(https://blog.aladin.co.kr/hahayo/603247 ) 고 생각했다. 피와 살이 튀는 동물적인 이야기 가운데, 부친 살해의 서사 가운데, 앞으로 나아간다. 예수가 동정녀 마리아에게 태어나는 이유는, 부계를 단절하기 위해서이고, 시간축이 사라진 서양의 서사 가운데, 아들인 단독자는 아버지를 죽여야만 자신의 세상을 가질 수 있다. 

문명을 말하는 동양의 이야기들은 긴 시간축에 가문을 만들고, 효와 충을 말한다. 자신의 세상 따위는 존재하지 않는다. 

아들이 아비와 적대하는 것은 자연인가? 

어미가 딸과 적대하는 것은 자연인가?


자연을 거스르기 위한 문명으로 효가 필요했던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무대에서 끝내지. 

이상한 엔딩이네. 

"야, 아빠가 애들을 패면 애들이 가출하고, 아빠가 다정하면 애들이 저 나이가 되도록 독립을 안 하는 거라니?"

아이들이 보는 드라마라 같이 봤는데, 아이들한테 이런 소리나 하게 되더라. 

무인도에서 15년을 버티고 살아남은 목하나, 폭력적인 친부로부터 도망쳐서 살아남은 기호나, 이제 아빠가 필요없을 나이인데도 왜 그렇게까지 하는 걸까. 애도 아닌데. 그렇게까지 했어야 할까. 


검사실의 대질신문 장면에서, "아, 솔로몬의 재판에서 아이를 찢어 달라던 여자가 생모일 수도 있었겠네." 그랬다. 희박하다고 해도 그럴 수도 있겠네. 아이를 보호할 사람에게 아이를 맡겨야 한다는 면에서, 솔로몬의 재판은 다른 이야기일 수도 있겠네. 싶었다. 


기이하게 다정한 새 아버지의 묘사 가운데, 그 아버지가 목하에게까지 다정한 아버지가 되어 주고, 드라마의 마지막이 목하와 기호의 새롭고 독립된 가족이 아니라, 목하까지 포섭한 그 아버지의 가족이라는 것에 놀랐다. 


친구에게 '너는 원가족에 유대가 약해?'라고 질문 받았을 때 '유대의 강약이 문제가 아니라, 거기서는 내가 쫄따구니까 대장이 하고 싶었다고!' 라고 대답했던 터라. 저 기이한 행복의 묘사에 좀 무서웠다. 

나는 이제 아이가 아니라 부모니까, 내가 아이들을 너무 다정하게 대해서 독립하지 않는다면 큰일인데,라는 생각을 했다. 내가 대장인 이 가정에서 아이들이 안정감도 만족감도 느꼈으면 좋겠지만, 그렇다고 아이들이 독립해서 대장이 되어 보겠다고 결심하지 않는다면 너무 무섭다.

다정한 부모도 폭력적인 부모도 답은 아니고, 적당한 부모가 되어야 하고, 아이는 자랐으면 어른이 되어야지!!! 무슨 아이처럼 이 행복이 영원했으면,으로 끝을 냈을까, 싶은 결말이었다. 


서목하의 공연무대로 끝내는 편이 나는 더 좋았을 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