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logue du vent et de la mer" from La Mer by Claude Debussy
NBC Symphony Orchestra
Arturo Toscanini, conductor
New York 13.IV.1940

 

 

 

 

 

 

 

 

 

 

 

 

 

 

 

 

 

 

 

 

 

 

 

 

 

문득 궁금중이 생겼다. 간혹 책, 그러니깐 시집을 읽다가 별 내용도 아닌 시구를 보는 순간, 이것과 연상되는 음악의 멜로디가 특정 그림의 이미작가 떠오르는 적이 있으신지..?

 

종종 시집을 읽다보면 정말 멋지고 인상 깊은 시구를 접하게 되는 것도 독서의 소소한 기쁜 일이지만 단 몇 줄의 구절 덕분에 잠시 세월의 망각 속에 잊혀지고 있었던 음악의 멜로디나 그림이 떠오른다면 그 기쁨은 더욱 배가 될 것이다. 프루스트의 소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서 주인공마르셀이 아무 생각 없이 마들렌을 맛 보는 순간 감미로운 행복감에 엄습되는 것처럼 말이다.

 

분명 현재 읽고 있는 시의 문장과 갑작스레 떠올린 과거에 대한 기억의 존재들(좋아했던 음악이나 그림들)과는 연관성이 없어도 시집이라는 매게체를 통해서 또 하나의 익숙하면서도 신비스러운 추억을 재회하게 된다. 정말 보고 싶은 친구가 있었는데 뜻밖의 장소에서 만나게 되면 너무나도 반가우면서도 그를 떠나보내기가 싫을 때가 있다. 추억 속의 재회도 마찬가지다. 우연하게 찾아온 추억이라는 정겨운 손님을 그냥 쉽게 떠나보낸다는 것은 너무나도 아쉬운 일이다.  

 

 

 

 

 

 

 

 

 

 

 

 

 

 

 

 

 

 

 

 

 

 

 

 

 귀스타브 쿠르베 「파도」1869년

 

 

 

 1


 바다가 감당할 길 없는 불길이라는 걸

 예전엔 물랐었다.

 열광의 도가니요

 광기의 샘이라는 걸 -

 

 

 아마 수평선 때문일 것이다

 그 불타는 무한

 불타는 그 한숨 때문일 것이다

 

 

 저 한없이 열린 공간을

 감당할 생물은 없다

 거대한 용광로의 열기에

 나도 막막히 달아오를 뿐.

 

 

 

 - 정현종 「바다의 열병(熱病)」중에서 -

 

 

 

 

정현종의 「바다의 열병(熱病)」은 총 2부로 구성된 짧은 시다. 특히 이 시의 1부에 해당하는 문장들을 보는 순간, '바다'의 푸른 이미지가 아니라 '바다'가 만들어 내는 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딱 시의 문장들을 보는 순간, 클로드 드뷔시의 [바다]의 멜로디가 생각났다. 신기하게도 멜로디는 정확하게 무엇인지 기억은 안 났지만 문장 속 단어들을 보는 순간, 그냥 드뷔시의 음악이 생각났다.  '감당할 길 없는 불길' , '열광의 도가니', '열광의 샘' , '불타는 무한' . 

 

정말 오랜만에 드뷔시의 [바다]를 인터넷에 검색해서 들어보게 되었는데 3악장인 '바람과 바다의 대화'와 절묘하게 어울렸다. 선율의 도입부에서부터 불길함이 감도는 팀파니의 트레몰로는 이제 막 바다 위에 몰려오는 거대한 바람의 등장을 예고하고 있다. 바람에 의해 파도가 크게 출렁이듯이 음악은 후반부에 진행될수록 점점 '열광의 도가니' 속으로 빠지게 된다. 아니, 드뷔시의 음악을 처음 듣는 사람에게는 이 멜로디가 '열광'이라기보다는 '불길함이 감도는 자연의 광기'에 가까우리라.

 

드뷔시는 프랑스의 인상주의 음악을 대표하는 근대 음악가 중의 한 사람이다. 치 인상주의 화가들이 빛이 대상에 비쳐졌을 때의 순간적인 인상을 화면에 포착한 것처럼 대상을 보고 느낀 인상을 음표로 옮겼다. 그래서 그의 음악은 듣는 순간 자연스레 이미지가 연상돼 감상자들을 음악과 미술의 이중적 유희의 세계에 들어서게 된다. 하지만 인간의 감성은 서로 상반된 이미지의 대상을 통해서 공감각적으로 연계한다는 것은 보통 쉬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그 당시 정형적이면서도 조화로운 선율의 입맛에 길들인 사람들에게는 드뷔시의 음악은  낯설게 느껴지는 '소음'에 가까웠을 것이다. 아니, 그가 만들어 낸 '소음'이 단순히 귀로만 듣어서는 안 되며 음감의 공간을 뛰어넘어 또 다른 이미지가 연상되는 시각적 공간을 발견하지 못했다. 그저 '음악'만 듣고 자란 사람들은 자신의 귀에 들려오는 멜로디를 '음악' 그 자체로 들으려고만 했다.

 

나는 지금까지 살면서 바다에 많이 가보지도 못한 편이다. 비록 많은 횟수는 아니지만 두 세 번 직접 본 '바다'에 대한 이미지는 지금도 내 머릿속에 남아 있다. 누군가는 바다 한 두 번 가는 걸 가지고 '바다'가 떠올리고 느낄 수 있냐고 반문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몰라서 그렇지 인간이 한 번 경험에 의해서 형성하게 된 기억은 오랫도안 지속될수록 강력하다. 망각의 어둠 속에 남아 있던 기억의 잔상들을 우연찮게 떠올리는 이유가 그런 것이다. 남자는 실패한 첫사랑을 잊지 못하며 여자는 자신에게 실연의 상처를 안겨 준 못난 사랑을 마음 한 구석에 간직하고 있는 것 또한 경험에 의한 기억이 우리의 삶에 작용하고 있는 보이지 않는 힘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그리고 이에 덧붙여서 [바다]에 대한 숨겨진 에피소드를 소개하자면 정작 드뷔시는 바다에 가본 적이 딱 한 번뿐이라는 점이다. 그의 유일한 경험은 영국에 갈 때 도버해협을 건넌 아주 짧은 시간에 불과했을 뿐이었다.
그 짧은 경험에 의한 기억만 가지고 3악장으로 이루어진 위대한 음악이 탄생되었던 것이다.

 

오늘 덕분에 정현종 시인의 시 구절 덕분에 내가 좋아했던 드뷔시의 음악을 오랜만에 감상할 수 있어서 좋았다. 나른한 매너리즘이 감도는 주말에 드뷔시의 푸른 열기에 달아오를 수 있다. '광기의 불꽃'이 아닌 '정열의 불꽃' 속에서 10년 전의 클래식 음악에 대한 열정을 기억의 숯더미 속에서 찾게 되었다.

 

이런 멋진 시를 만들어주신 정현종 시인님. 정말 고맙습니다.

 

 

... 그리고 이번 경험을 통해서 얻은 또 하나의 결론. 나는 '인상주의자'에 가깝다는 사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2-05-28 17:4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05-28 21:43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