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아무 때나 새로 나온 전자책이 있는지 확인한다. 어제 발견한 신간 전자책은 ‘빅토리안 호러 컬렉션(Victorian Horror Collection) 네 번째 시리즈인 《오비의 빛》이다. 출판사 이름은 ‘올푸리’다. ‘올푸리’는 ‘올풀이’를 발음할 때 나는 소리인데, 올풀이는 ‘작은 규모로 가게 따위를 하는 장사치가 상품을 낱개로 파는 일’을 뜻한다. 내 생각이지만, 출판사 이름의 뜻은 ‘빅토리안 호러 컬렉션’ 출판 의도와 부합된다. ‘빅토리안 호러 컬렉션’은 분량이 짧은 영국(아일랜드, 웨일스 등 과거 영국의 지배를 받은 나라들도 포함된다)의 고딕 호러 소설을 한 편씩 소개하는 시리즈다.

 

 

 

 

 

 

 

 

 

 

 

 

 

 

 

 

 

 

 

* [e-Book] 아서 맥킨 《오비의 빛》 (올푸리, 2019)

 

 

 

《오비의 빛》의 원제는 ‘The Inmost Light’이다. 직역하면 ‘가장 깊은 곳의 빛’이다. 역자는 제목의 의미가 모호하다고 생각했는지 ‘오비의 빛’으로 의역했다. 오비는 일본 여성들이 기모노를 입을 때 두르는 띠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소설 제목에서 말하는 오비(奧秘)는 국어사전에 등재된 단어다. ‘가장 깊은 비밀’이라는 뜻이다.

 

 

 

 

※ 아서 매켄의 작품을 수록한 책들

 

 

 

 

 

 

 

 

 

 

 

 

 

 

 

 

 

* 정진영 옮김, 《러브크래프트 전집 6: 외전 (하)》 (황금가지, 2015)

『검은 인장의 소설』 수록 (원제 ‘Novel of the Black Seal’)

 

 

 

 

 

 

 

 

 

 

 

 

 

 

 

 

 

 

* 이한음 옮김, 《불타는 피라미드》 (바다출판사, 2011)

『불타는 피라미드(The Shining Pyramid)』, 『검은 인장 이야기-라이스터 스퀘어의 젊은 여성(Novel of the Black Seal)』, 『하얀 가루 이야기(Novel of the White Powder)』 수록

 

 

 

 

 

 

 

 

 

 

 

 

 

 

 

 

 

* 정진영 옮김, 《세계 호러 단편 100선》 (책세상, 2005)

『궁수』 수록 (원제 ‘The Bowmen’)

 

 

 

 

 

 

 

 

 

 

 

 

 

 

 

 

* [절판] 김정미 옮김, 《톨킨의 환상 서가》 (황금가지, 2005)

『공포의 엄습』 수록 (원제 ‘The Terror’)

 

 

 

 

 

 

 

 

 

 

 

 

 

 

 

 

 

* [절판] 윤효송 옮김, 《세계 괴기소설 걸작선 1》 (자유문학사, 2004)

『위대한 목신』 수록 (원제 ‘The Great God Pan’)

 

 

 

 

 

 

 

 

 

 

 

 

 

 

 

 

 

* 정진영 옮김, 《세계 호러 걸작선》 (책세상, 2004)

『악마의 뇌』 수록 (원제 ‘The Inmost Light’)

 

 

 

 

이 작품은 웨일스 출신의 소설가 아서 매켄(Arthur Machen)이 썼다. 켈트인(Celts)의 후예답게 매켄은 시적 상상력으로 환상소설과 고딕 호러 소설을 썼다. 《오비의 빛》은 1894년에 발표했고, 이듬해에 그의 대표작인 《위대한 목신(The Great God Pan)을 발표했다. 이 작품은 뇌수술을 받은 여성이 초자연적인 존재인 목신을 만나 끔찍하게 변화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 러브크래프트 《공포 문학의 매혹》 (북스피어, 2012)

* 러브크래프트 《러브크래프트 전집 4》 (황금가지, 2012)

* 러브크래프트 《러브크래프트 전집 1》 (황금가지, 2009)

 

 

 

 

《위대한 목신》을 수록한 유일한 번역본이 절판되었다. 이 작품의 전체 줄거리는 러브크래프트(H. P. Lovecraft)의 공포 문학 비평서 《공포 문학의 매혹》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러브크래프트의 단편 공포 소설 『안개 속 절벽의 기묘한 집』(《러브크래프트 전집 4》에 수록)은 고대의 신인 노덴스(Nodens)가 등장하는 작품이다. 사실 러브크래프트가 노덴스라는 신을 창조한 것이 아니다. 노덴스는 켈트 신화에 나오는 바다와 치료의 신이다. 《위대한 목신》에 노덴스를 언급한 대목이 있다. 매켄은 러브크래프트에게 영향을 준 작가 중 한 사람이다. 《위대한 목신》의 영향을 받은 러브크래프트의 작품이 『던위치 호러』(《러브크래프트 전집 1》에 수록)이다.

 

‘The Inmost Light’는 정진영 씨가 번역한 적이 있다. 제목은 ‘악마의 뇌’다. 그러나 번역이 좋지 않다. 꼼꼼한 주석을 달았고, 작품 속 인물들이 다니던 런던 구역의 주요 위치를 약도로 표시한 《오비의 빛》과 비교하면, 정진영 씨의 번역은 실망스럽다. 키안티(Chianti) 포도주를 ‘칸티’로, 런던에 속한 구역인 노우드(Norwood)를 ‘노르우드’로 표기되어 있다. 그뿐만 아니라 잘못 번역된 문장도 있다.

 

 

 

 

 “London is always a mystery. In Paris you may say: ‘Here live the actresses, here the Bohemians, and the Ratés’; but it is different in London. You may point out a street, correctly enough, as the abode of washerwomen; but, in that second floor, a man may be studying Chaldee roots, and in the garret over the way a forgotten artist is dying by inches.

 

 “런던은 항상 미스터리입니다. 파리에서라면, ‘여기 여배우가 살고, 저기 보헤미안이 있고, 아무개가 있다’고 말할 수 있지요. 그러나 런던에서는 다르죠. 여자 세탁부가 어디에 사는지 그 거리를 가리킬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그 집 이층점성가가 연구 중이고, 또 다락방에서는 무명의 예술가가 조금씩 죽어가고 있을지 누가 알겠습니까.

 

(악마의 뇌, 정진영 옮김, 88쪽)

 

 “런던은 언제나 미스터리야. 파리에선 이렇게 말할 수도 있네. ‘여기엔 여배우들이 살고, 여기엔 보헤미안들, 여기엔 인생의 낙오자들이 삽니다.’ 하지만 런던에선 달라. 자네는 세탁부들의 거주지라며 한 거리를 그런대로 정확히 가리킬지도 모르지만, 그 건물의 삼층에선 어떤 사람이 칼데아인 혈통을 연구 중일 수도 있고, 길 건너 다락방에선 세상이 잊은 예술가가 시시각각 죽어가고 있는 거야.

 

(오비의 빛, 임명익 옮김, 10쪽)

 

 

 

Raté’는 프랑스어로 ‘낙오자’, ‘실패자’를 뜻한다. 정진영 씨는 ‘아무개’라고 번역했다. 그리고 정진영 씨는 ‘second floor’를 ‘2층’으로 번역했는데, 영국에서 쓰는 ‘second floor’는 ‘3층’이다. 미국의 건물 층수와 영국의 건물 층수의 의미는 다르다. ‘a man may be studying Chaldee roots’도 엉뚱하게 번역되어 있다. ‘Chaldee(칼데아)’는 고대 바빌로니아 남부에 있는 지명이자 그곳에 사는 사람들을 가리킨다. 칼데아의 지식계급에 속한 신관(神官)은 점성가였다. 하지만 원문의 의미를 봐서는 ‘Chaldee’를 점성가로 번역할 수 없다.

 

《오비의 빛》의 저자명을 ‘아서 맥킨’으로 되어 있는데, 이 또한 ‘아서 매켄’ 또는 ‘아서 매컨’으로 표기해야 한다. 간혹 ‘아서 메이첸’ 또는 ‘아서 매첸’

으로 쓰는 역자도 있는데, 이것들도 잘못된 표기법이다.

(2019419일에 취소선을 그음)

 

 

 

 


댓글(5)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크pek0501 2019-04-14 12: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는 완벽한 번역으로 읽고 싶은데... 번역 문학의 한계군요...

cyrus 2019-04-17 13:28   좋아요 0 | URL
서양 고전 문학 작품은 번역이 제일 중요해요. 번역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작품 속 인물을 바라보는 독자의 시선과 작품에 대한 전체적인 해석이 달라지거든요.

2019-04-17 18: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9-04-18 12:12   좋아요 1 | URL
안녕하세요. 답변을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편집자님의 글을 읽고 나니 제가 작가의 이름을 표기하는 것에 ‘맞다/틀렸다’는 식으로 너무 성급하게 단정했다는 걸 알았습니다. ‘맥킨’으로 발음할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습니다. 편집자님 덕분에 새로운 정보를 배웁니다. ^^

저는 책 정보를 잘못 전달한 리뷰가 있으면 다른 분들이 지적한 의견을 반영하면서 고치는 성격입니다. 편집자님의 답변을 첨언해서 <오비의 빛> 리뷰를 다시 고치겠습니다.

2019-04-19 20:22   URL
비밀 댓글입니다.
 
[eBook] 오비의 빛 빅토리안 호러 컬렉션 4
아서 맥킨 지음 / 올푸리 / 2020년 2월
평점 :
판매중지


 

 

 

‘악마의 뇌’라는 제목으로 정진영 씨가 번역한 적이 있는 아서 매켄(Arthur Machen)의 단편소설이다. 그런데 저자 이름이 ‘아서 맥킨’으로 되어 있는데, ‘아서 매켄’ 또는 ‘아서 매컨’으로 써야 한다.

(2019419일에 취소선을 그음)

 

 

번역은 정진영 씨의 번역보다 좋다. 우리나라 독자들에게 생소한 단어의 의미를 설명한 주석이 달려 있다. 그뿐만 아니라 부록으로 작품 속 인물들이 다니던 런던 구역의 주요 위치를 표시한 약도가 있다. 역자와 출판사가 이 전자책 한 권을 만드는데 열심히 준비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저자를 소개하는 글에 연도가 잘못 적혀 있다. 매켄은 1947년에 세상을 떠났다.

 

 

 

추가 사항

2019415일에 오탈자가 수정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자책을 만드는 1인 출판사 페가나북스클라크 애슈턴 스미스(Clark Ashton Smith)의 대표작인 조티크(Zothique)연작을 출간했다. 스미스는 크툴루 신화(Cthulhu Mythos)러브크래프트(Lovecraft)코난 연대기(Conan Saga)로버트 E. 하워드(Robert Ervin Howard)와 동시대에 활동한 미국 장르문학의 거장이다[1]. 그의 작품은 이미 선집 형태로 출간된 적이 있다. 러브크래트트 전집의 특별판으로 소개된 클라크 애슈턴 스미스 걸작선(황금가지)은 총 18편의 단편이 수록되어 있다. 선집을 통해 소개되었던 조티크 연작은 다섯 편이다. 조티크 연작 중 하나이자 좀비(Zombie)가 등장하는 Necromancy in Naat나트에서의 마법이라는 제목으로 좀비 연대기》(책세상)에 선보였다.

 

 

 

 

 

 

 

 

 

 

 

 

 

 

 

 

 

 

 

 

 

 

 

 

 

 

 

 

 

 

 

 

 

 

* 클라크 애슈턴 스미스 조티크(페가나북스, 2018)

* 클라크 애슈턴 스미스 조티크 (샘플 북)(페가나북스, 2018)

* 클라크 애슈턴 스미스 클라크 애슈턴 스미스 걸작선(황금가지, 2015)

* 정진영 옮김 좀비 연대기(책세상, 2017)

 

   

 

 

조티크는 스미스가 창작한 가상의 대륙 이름이다. ‘고대를 뜻하는 앤티크(Antique)의 운을 따서 만든 명칭이라고 한다. 조티크는 과학 기술과 종교가 완전히 사라진 지구 최후의 대륙이다. 그곳에는 악마를 숭배하는 밀교와 고대 마법만이 남아 있다. 스미스는 조티크를 배경으로 한 작품을 많이 남겼는데, 조티크 연작은 단편 16, 1, 희곡 1으로 구성되어 있다. 페가나북스는 조티크 연작 전부 번역했다. 페가나북스 판과 황금가지 판에 수록된 조티크 연작은 다음과 같다. 스미스의 작품 대부분은 환상소설과 공포 문학을 주로 소개한 펄프 픽션 <위어드 테일즈(Weird Tales)>를 통해 발표되었다.

 

 

 

 

* The Empire of the Necromancers (19329, <위어드 테일즈>)

마법사들의 제국

클라크 애슈턴 스미스 걸작선

조티크

 

 

* The Isle of the Torturers (19333, <위어드 테일즈>)

고문자들의 섬

클라크 애슈턴 스미스 걸작선

조티크

 

 

* The Voyage of King Euvoran

(1933, 스미스의 단편집 <이중 그림자>에 수록, <위어드 테일즈> 19479월 호에 게재)

에우보란 왕의 항해

조티크

 

 

* The Weaver in the Vault (19341, <위어드 테일즈>)

지하묘지의 방직공

조티크

 

    

* The Witchcraft of Ulua (19342, <위어드 테일즈>)

울루아의 마법

조티크

 

 

* The Charnel God (19343, <위어드 테일즈>)

납골당의 신 (클라크 애슈턴 스미스 걸작선)

시체를 먹는 신 (조티크)

 

 

* The Tomb-Spawn (19345, <위어드 테일즈>)

무덤 속 괴물

조티크

 

 

* Xeethra (193412, <위어드 테일즈>)

지트라

클라크 애슈턴 스미스 걸작선

조티크

 

 

* The Dark Eidolon (19351, <위어드 테일즈>)

검은 곡두 (클라크 애슈턴 스미스 걸작선)

검은 신상 (조티크)

 

 

* The Last Hieroglyph (19354, <위어드 테일즈>)

마지막 상형문자

조티크

 

 

* The Black Abbot of Puthuum (19363, <위어드 테일즈>)

푸툼의 수도원장

조티크

 

 

* Necromancy in Naat (19367, <위어드 테일즈>)

나트에서의 마법 (호러 연대기)

나트의 강령술 (조티크)

 

 

* The Death of Ilalotha (19379, <위어드 테일즈>)

일라로타의 죽음

조티크

 

 

* The Garden of Adompha (19384, <위어드 테일즈>)

아돔파의 정원

조티크

 

 

* The Master of the Crabs (19483, <위어드 테일즈>)

게의 지배자

조티크

 

 

* Zothique (1951, 시집 <검은 성>에 수록)

조티크

조티크

 

 

* The Dead will Cuckold You (1951년에 쓴 것으로 추정됨, 1989년에 공개됨)

죽은 자가 부정(不貞)을 저지르리라

조티크

 

 

* Morthylla (19535, <위어드 테일즈>)

모르틸라

조티크

 

 

 

 

스미스의 작품 속 인물들은 현실보다는 환상, 삶보다는 죽음에 가까운 곳에 서 있으며, 비이성과 광기의 세계를 대변한다. 그들은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 속에서 헤매거나 꿈과 환상 속 자신만의 세계에 빠져들기도 한다. 그리고 그 세계에는 기괴하게 생긴 괴물들이 나타난다. 이번에 처음으로 소개된 마지막 상형문자는 러브크래프트에서 영감을 받은 코스믹 호러(cosmic horror) 분위기를 제대로 담아낸 작품이다. 아돔파의 정원은 인간의 신체 일부와 식물을 접붙인 괴물이 등장한다. 게의 지배자는 스미스가 절필한 지 10년 만에 발표한 작품이다. 조티크 연작에서 유일한 1인칭 소설이며 흥미진진한 모험소설을 읽는 듯한 느낌이 든다.

 

조티크 연작을 읽기 전에 무료로 구매할 수 있는 샘플 북을 꼭 챙겨 보는 것이 좋다. 이 샘플 북에는 조티크 연작 일부만을 수록하고 있는데, 그냥 지나치면 안 된다. ‘샘플 북이라고 불러도 되는지 모를 정도로 스미스의 생애, 조티크 연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 등이 채워져 있어서 내용이 알차다. 샘플 북이 아니라 해설서이다.

 

다시 한 번 언급하자면 이 책을 만든 출판사는 페가나북스이다. 1인 전자책 전문 출판사이다. 번역, 출판물 제작, 홍보 등 모든 업무를 엄진이라는 분이 다 하고 있다. 2014년에 처음으로 페가나북스를 알게 됐는데, 매년 국내에 잘 알려지지 않은(한편으론 종이책으로 나와도 잘 팔리지도 않는) 장르문학 작품들을 소개하는 엄진 님의 노고에 이 글로나마 감사를 표한다.

 

 

 

 

[] 스미스와 러브크래프트의 관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필자가 쓴 클라크 애슈턴 스미스 걸작선> 리뷰를 참고하면 된다.

http://blog.aladin.co.kr/haesung/96590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에도가와 란포 전단편집 3 - 기괴환상
에도가와 란포 지음, 김은희 옮김 / 도서출판두드림 / 2008년 9월
평점 :
품절


 

 

 

현실은 꿈, 밤의 꿈이야말로 진실.

 

 

이 말은 일본 추리문학의 대가 에도가와 란포(江戸川乱歩)의 시그니처(signature)다. 그는 사인할 때 이 시그니처를 썼다고 한다. 란포의 본명은 히라이 타로(平井太郞)이다. ‘에도가와 란포’는 필명인데, 에드거 앨런 포(Edgar Allan Poe)에서 따온 것이다. 포는 추리소설과 심리적 공포소설의 창시자다. 미국 문학의 약사(略史)를 쓴 적이 있는 보르헤스(Jorge Luis Borges)는 포가 끼친 문학사적 영향을 단 한 문장으로 요약했다. “포는 보들레르(Baudelaire)를 낳고, 보들레르는 상징주의자들을 낳고, 상징주의자들은 폴 발레리(Paul Valery)를 낳았다.” 보르헤스의 말을 빌리자면 포는 에도가와 란포를 낳았다.

 

에도가와 란포 작품의 매력은 우리가 발을 딛고 살아가는 세상이 실은 얼마나 비현실적인가를 보여주는 데 있다. 그의 작품에 빠져들면 어디까지가 상상의 세계이며 어디서부터 현실 세계인지 알 수 없게 된다. 독자들은 상상과 현실 사이에 아슬아슬하게 걸쳐진 외줄에서 쉽사리 내려오지 않는다. 란포가 그려 보이는 작품 속 상황들은 마치 현실 속에서 마주칠지도 모를 불안, 공포, 경악 등의 혼미한 상황 속으로 독자들을 안내한다. 《에도가와 란포 전단편집》 3권(도서출판 두드림, 2008)탐미적 에로티시즘, 그로테스크(grotesque: 기괴함), 그리고 환상성난센스 요소가 가미된 묘사가 주를 이룬 총 22편의 단편이 수록되어 있다.

 

란포의 단편을 읽으면 소재의 창발성에 놀라고, 때론 광기 어린 감정 묘사에 혀를 내두르고, 때로는 기발함에 멈칫하게 된다. 물론 일본 추리 · 미스터리 문학 작품의 범람 속에서 란포의 작품도 진부한 고전이 되어버렸다. 그렇지만 란포는 진지하게 인간의 무서운 환상과 가학적인 충동을 파고듦으로써 공포 문학의 기반을 마련했다. 『고구마 벌레』는 음울하고 어두운 인간의 극단적 욕망과 광기를 현실적으로 치밀하게 묘사한 작품이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스나기 중위는 전쟁으로 양손과 양다리를 잃어 몸체만으로 생활하는 장애인이다. 란포는 전쟁이 인간에게 남긴 정신적 외상의 고통도 보여주는데, 자신만의 색다른 그로테스크한 묘사로 전쟁의 참상을 전달한다.

 

란포의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1920~30년대의 일본의 문화적 분위기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당시 문화계를 지배하던 키워드는 ‘에로 그로 난센스’였다. 『인간 의자』『복면 무도회』는 공통으로 ‘신여성’이 등장하는 작품이다. ‘신여성’은 여성에게 한정됐던 사회, 정치, 제도적 불평등에 문제를 제기하고 자유와 해방을 추구한 근대에 새롭게 나타났다. ‘에로 그로 난센스’ 시대 속에서 신여성은 남성들의 에로틱한 욕망을 충족시켜주는 대상이었다. 남성들은 거리를 활보하는 신여성들을 마음껏 조롱하거나 성적인 자극을 은밀히 즐겼다.

 

『인간 의자』의 요시코는 소설가로 활동하는 신여성이다. 가난한 가구공은 여성의 몸에 과도하게 애착을 보인다. 그는 ‘서양식 의자’를 만들어 그 안에 숨어서 지낸다. 가구공의 의자 위에 여성이 앉으면 가구공은 의자 안에서 여성 몸의 접촉을 통해 나오는 쾌락을 즐긴다. 호텔에 있던 가구공의 의자는 요시코의 집으로 옮기게 된다. 가구공은 요시코의 몸을 탐할수록 점점 그녀에게 사랑의 감정을 느낀다. 가구공은 ‘에로틱한 일탈’을 통해 결핍된 욕망을 채운다. 이런 행위를 하는 사람을 ‘변태성욕자’라고 부른다. ‘에로 그로 난센스’ 시대는 비정상적 행위를 하는 사람들을 ‘변태’로 분류했고, ‘변태성욕자’는 그 시대 언론이 폭넓게 쓰면서 대중에게 깊이 각인됐다.

 

『복면무도회』에 묘사된 신여성은 퇴폐와 타락의 이미지다. ‘20일회’는 에로틱한 유희를 즐기는 비밀 사교 모임이다. 친구 이노우에 지로의 소개로 20일회 정식 회원이 된 화자는 ‘가면무도회’를 가장한 섹스 모임에 참석하는데, 실수로 친구의 아내 하루꼬를 선택해서 그녀와 하룻밤을 보낸다. 의도치 않게 불륜을 저지른 화자는 도리어 친구의 아내를 탓한다.

 

 

  엄연히 남편이 있는 여자가 어떻게 낯선 남자랑 어둠 속에서 춤을 추고, 이런 장소로 올 때가지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단 말인가? 하루꼬 씨가 그런 여자일 줄은 정말 미처 몰랐다. [주]

 

 

하루꼬는 남편이 있는 인텔리 여성이다. 그러나 ‘결혼’은 신여성의 발목을 잡는 족쇄이다. 그녀가 사교를 가장한 퇴폐적인 모임에 참석한 것이 기존의 가부장적 가치관(‘아내는 무조건 남편에게 복종해야 한다’, ‘아내는 집에만 머물러야 한다’)에 균열을 내고 틈을 만드는 전복적인 일이었다고 해도 그리 과언은 아닐 것이다. 신여성들은 여성 자신의 인격과 개성에 대한 존중, 자유연애 등을 외치며 당당하게 구습의 족쇄를 풀려고 했다. 그러나 신여성들은 성적으로 방종하다는 이유로, 남의 가정을 파탄 냈다는 이유로 가차 없이 비난을 받았다. 화자는 자신이 저지른 실수에 대한 책임을 ‘외간 남자를 만나고 다니는’ 하루꼬에게 전가한다. 그러면서 성적 일탈을 저지른 여성에 대한 냉소적인 반응을 보인다.

 

란포는 극단적으로 소외된 사람들, 즉 변태성욕자, 하층민, 무능한 사람들로 넘쳐나는 그로테스크한 시대상을 포착했다. 대부분 공포 문학이 현실에서 동떨어진 공간에서 일어나는 일을 주로 다루었던 데 반해, 란포의 공포 문학은 일상적인 공간을 배경으로 하여 그 안에서 일어나는 비현실적이거나 괴이한 사건들을 결합한다. 란포는 비정상적인 사람들을 알 수 없는 광기의 소유자, 공포와 악의 근원으로 묘사하지는 않는다. 그들은 음울한 존재이지만, 사회에 융합되지 못한 고립된 외로운 인간들이다. 란포는 사회에 배제된 존재들에게 일어나는 음산하고 알 수 없는 기괴함을 묘사할 때 아이러니와 유머를 결합하는데 이는 이들의 숨겨진 욕망의 실상을 더욱 추악하게 보여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란포의 공포 문학 작품은 단순하지만 독특한 서사, 그리고 이 서사를 감각적으로 구현하는 환상적인 묘사가 돋보인다.

 

 

 

[주] 에도가와 란포 지음, 김은희 옮김, 『복면무도회』, 《에도가와 란포 전단편집 3》, 도서출판 두드림, 2008, pp. 1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본 글은 작품에 대한 줄거리, 결말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토 준지 컬렉션 9화 첫 번째 에피소드

화가

 

 

 

 

 

모리 미츠오는 인기와 실력 모두 겸비한 화가이다. 그는 자신의 개인전이 열린 전시장에서 신비한 매력을 가진 여인을 만난다. 그녀의 이름은 토미에. 화가는 토미에와 대화를 나누기 위해 자신의 그림에 대한 감상평을 알려달라면서 접근한다. 토미에는 그림 속 여자 모델이 멍청해 보인다고 말한다. 그리고 자신이 모델이 된다면 아주 좋은 그림이 나올 수 있다고 추파를 던진다.

 

 

 

 

 

 

토미에는 이 세상에 자신만큼 빼어난 외모를 가진 여자가 없다고 말할 정도로 자신감이 넘친다. 그런데 누구도 자신의 아름다움을 완벽하게 표현한 사람이 없다고 말한다. 화가는 토미에의 초상화를 완성했지만, 토미에는 그 그림이 자신의 아름다움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했다면서 조소한다. 그녀는 화가의 자존심을 꺾어놓고 유유히 떠난다. 체면을 구긴 화가는 전시회 일정을 연기하면서까지 ‘완벽한 토미에’를 그리려고 노력한다. 그러나 화가는 토미에가 만족할만한 그림을 그려내지 못해 슬럼프에 빠진다.

 

 

 

 

 

화가는 친구로부터 조각가 이와타 타미오의 근황을 알게 된다. 조각가는 새로운 모델을 만난 이후로 연작 조각상을 발표하여 큰 주목을 받는다. 그 연작 조각상의 제목은 ‘토미에’다. 화가는 조각상을 직접 확인하고 싶어서 조각가의 집을 찾아간다. 그러나 조각가는 ‘토미에는 나만의 것’이라면서 공개를 거부한다. 토미에의 미모에 완전히 홀린 화가는 자신의 욕망을 조절하지 못해 조각가를 죽인다. 화가는 조각가의 작업실에 들어갔으나 그곳에는 산산조각이 나서 널브러진 토미에 조각상들과 겁에 질린 표정을 지으면서 서 있는 토미에가 있었다. 토미에는 조각가가 조각상 전부 부숴버렸다고 울면서 하소연한다. 토미에의 가짜 눈물에 홀린 화가는 ‘완벽한 토미에’를 그릴 수 있을 거라고 확신한다.

 

화가는 토미에의 매력에 완전히 지배당한 채 열심히 그림을 그린다. 토미에는 화가에게 의미심장한 말을 건넨다.

 

 

“나를 좋아하는 남자들은 모두 나를 죽이려고 해요.”

 

 

화가는 토미에에게 완성된 그림을 보여준다. 토미에는 그림 속 여성은 자신이 아니라 ‘괴물’이라고 비난한다. 그러면서 그를 가리켜 ‘최악의 화가’라고 말하면서 멸시한다. 화가는 자신을 비웃는 토미에의 모습에 분노를 폭발하고 그녀의 목을 졸라 죽인다. 미쳐버린 화가는 토미에의 시체를 토막 낸다. 그러나 토미에는 죽지 않는다. 잘린 토미에의 신체 부위는 세포처럼 재생하여 ‘새로운 토미에’가 되어 자란다.

 

 

 

 

 

 

 

 

 

 

 

 

 

 

 

 

 

 

 

* 이토 준지 《이토 준지 공포박물관 1 : 토미에 Ⅰ》(시공사, 2008)

* 이토 준지 《이토 준지 공포박물관 2 : 토미에 Ⅱ》(시공사, 2008)

 

 

 

 

『화가』《이토 준지 공포박물관 1 : 토미에 Ⅰ》에 수록된 이야기다. 토미에는 이토 준지 작품 속 등장인물 중에 가장 많이 알려져 있다. 토미에는 유혹으로 남자를 낚아다 파멸에 이르게 하는 전형적인 팜므 파탈이다. 토미에의 외모에 홀린 남자들은 그녀를 사랑한다고 느끼고 있으나 그것은 정상적인 사랑이 아니다. 그녀의 매력에 헤어 나오지 못한 남자들은 살인 욕구를 느껴 그녀를 잔인하게 살해한다. 그러나 토미에는 불사(不死)의 존재이다. 토막 난 신체 부위는 ‘새로운 토미에’로 부활하기 때문이다. 부활한 토미에‘들’은 치명적인 매력을 뽐내며 남자들에게 접근한다.

 

 

 

 

 

 

 

 

 

 

 

 

 

 

 

 

 

 

* 핼 포스터 《강박적 아름다움》(아트북스, 2018)

 

 

 

 

 

 

 

 

 

 

 

 

 

 

 

 

* E. T. A. 호프만 《모래 사나이》(창비, 2017)

* E. T. A. 호프만 《모래 사나이》(지만지, 2011)

* E. T. A. 호프만 《모래 사나이》(문학과지성사, 2001)

 

 

 

 

토미에의 아름다움에 집착하는 화가의 모습은 ‘강박적 아름다움(convulsive beauty)’을 재현하려는 초현실주의자들의 상황과 비슷하다. 미술사가 핼 포스터는 초현실주의 미술을 재정립하기 위해 ‘강박적 아름다움’이라는 표현을 제시한다. ‘강박적 아름다움’은 ‘익숙한 낯섦(uncanny, 언캐니)’이 주는 ‘경이로운 아름다움’을 의미한다. 언캐니의 정의를 이해하려면 프로이트의 저서를 참고해야 하지만, 이 언캐니를 문학적 효과로 적절히 활용한 E. T. A. 호프만의 소설 《모래 사나이》를 참고하면 이해하기 수월하다(프로이트가 호프만의 소설을 분석하면서 ‘언캐니’ 개념을 도출했다고 알려졌는데, ‘언캐니’를 제일 처음 쓴 사람은 독일의 심리학자 에른스트 옌취다). 《모래 사나이》에 언캐니가 산출하는 감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장면들이 드러난다. 소설의 주인공 나타니엘은 자신이 사랑하는 올림피아와 입을 맞추는 순간, 섬뜩함을 느낀다. 나중에 나타니엘은 그녀의 정체가 사람이 아니라 ‘자동인형’이라는 것을 알게 된 후부터 미쳐버린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관점으로 언캐니를 설명하자면, 언캐니는 ‘억압된 것이 어떤 다른 경험 때문에 다시 나타나는 상황’이다. 초현실주의자들은 에로스(eros)를 삶의 욕망, 즉 ‘삶 욕동’으로 이해하여 찬양했다. 즉 삶과 아름다움을 향한 상승 욕구를 샘솟게 하는 것이 에로스이다. 그러나 핼 포스터는 초현실주의자들이 원하는 삶 욕동 속에 ‘죽음 욕동’이 내포되어 있다고 분석한다. 그는 ‘삶 욕동’과 ‘죽음 욕동’을 서로 대비되는 개념이 아닌 ‘결합 상태’의 개념으로 보았다.

 

 

 내가 보기에 초현실주의는 에로스의 사랑을 내세우면서도, 그와는 반대로 죽음 욕동의 언캐니함이 가리키는 쪽을 향했다. (핼 포스터, 《강박적 아름다움》 9쪽)

 

 

초현실주의자들은 죽음 욕동을 불러일으키는 대상으로 ‘여성’을 지목한다. 초현실주의자들도 세기말적 공포의 기운을 피하지 못했다. 그들은 쾌락과 고통, 사랑과 죽음이라는 주제에 집착하여 여성에게 요부, 즉 ‘팜므 파탈’의 이미지를 부여했다. 초현실주의자들이 양산한 팜므 파탈은 ‘성적인 것(삶 욕동)’과 ‘파괴적인 것(죽음 욕동)’이 결합한 상징이다. 팜므 파탈에는 가부장적 사회에 반기를 들고, 남성을 위협하는 여성에 대한 공포가 반영되어 있다. 초현실주의자들은 팜므 파탈의 유혹이 주는 ‘쾌락’을 선호하면서도 파멸의 길로 몰고 가는 ‘파괴적인 힘’을 낯설어했다. 그리하여 초현실주의자들은 언캐니로부터 아름다움을 해방하기 위해 여성을 ‘처벌’하는 사디즘(sadism)을 지향했다. ‘그녀(팜므 파탈)를 좋아해서 그녀를 괴롭히고 죽이고 싶은 마음’이 드는 것이다.

 

다시 이토 준지의 『화가』로 돌아가자. 화가는 토미에의 아름다움에 집착하여 비정상적으로 창작 욕구를 드러낸다. 그가 토미에를 만나지 않았으면 ‘완벽한 토미에’를 그리는 데 매달리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화가는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데 실패했고, 토미에는 화가의 자존심을 긁는다. 화가는 사랑스러운 토미에가 자신을 무시하고 조롱했을 때 자존심에 상처를 준 불편한 상황을 떠올리게 되고, 결국 그 두려움을 극복하지 못해 토미에를 죽이고 만다. 화가가 그녀를 잔인하게 죽이는 것은 ‘가학적인 처벌’이자 그녀를 파괴하면서 느끼는 일종의 ‘성적인 쾌락’이다. 『화가』는 ‘열린 결말’이다. 이토 준지는 토미에가 부활한 이후 화가의 삶을 독자의 상상에 맡기고 있다. 아마도 토미에 여려 명 부활하면 화가는 영원히 토미에의 ‘강박적 아름다움’에 헤어 나올 수 없을 것이다.

 

‘강박적 아름다움’은 시시포스의 형벌’과 같다. 시시포스는 무거운 바위를 산꼭대기로 올려놓는 형벌을 받는다. 바위를 굴려 산 위로 올려놓으면 바위는 다시 산 아래로 굴러떨어진다. ‘시시포스의 형벌’은 올라가는 방향의 고통과 내려가는 방향의 절망을 무한 반복하는 잔인한 형벌이다. ‘강박적 아름다움’도 아름다움의 발견을 목표로 하는 예술가들이 감내해야 하는 형벌이라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여성을 ‘팜므 파탈’로 설정하여 가학적으로 대하는 초현실주의자들의 반응과 토미에를 잔혹하게 죽이는 『화가』의 결말은 ‘여성혐오(misogyny)’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 특히 이토 준지의 ‘토미에 시리즈’는 여성에 대한 남성의 불안과 공포뿐만 아니라 이러한 감정으로부터 비롯된 여성 혐오의 징후를 확인할 수 있다. 남성 예술가들은 자신의 예술적 욕망을 채우기 위해 여성(모델)을 착취했다. 그리고 자신들만의 '아름다움'을 느끼기 위해 성적 욕망을 조합한 왜곡된 여성의 이미지를 만들어 냈다. 페미니스트 미술 연구가들은 초현실주의자들이 만들어낸 여성의 이미지를 비판의 도마에 올릴 수 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겨울호랑이 2018-04-25 15: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토 준지에게 토미에라는 캐릭터는 단연 에이스급이라 생각됩니다^^:)

cyrus 2018-04-25 20:31   좋아요 1 | URL
<소용돌이> 다음으로 유명한 이토 준지의 작품이 <토미에> 시리즈죠. 애니 2기가 제작된다면 토미에 에피소드가 반드시 나올 거예요. ^^

2018-04-25 16:36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8-04-25 20:34   좋아요 0 | URL
미술을 공부하면 난감할 때가 있어요. 섹슈얼리티를 ‘예술‘로 인정받으려면 어느 정도 선에서 표현을 허용해야 되는지 모르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