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부란 무엇인가
김영민 지음 / 어크로스 / 2020년 8월
평점 :
평점
2.5점 ★★☆ B-
우리나라 사람에게 ‘공부’는 애증의 단어다. 공부하고 싶은 마음은 굴뚝같다. 하지만 막상 하면 슬슬 지겨워지기 시작하다가 끝내 공부에 손을 뗀다. 근면과 성실을 선호하는 우리 사회에서 공부하다가 중도에 포기한 사람들은 ‘실패한 자’, ‘게으른 자’ 쯤으로 취급받는다. ‘실패한 자’, ‘게으른 자’라면서 비아냥거리는 자들은 한때 무언가에 미쳐서 공부했던 사람들을 욕할 자격이 있을까. 스스로 공부해볼 생각을 단 한 번이라도 하지 않은 자는 공부를 조금 했다가 만 사람들을 비판할 자격이 없다.
<중앙SUNDAY>에 1년 7개월여 동안 ‘공부’를 주제로 한 칼럼을 연재한 김영민 교수는 공부를 이중적인 시선으로 바라보는 우리 사회를 이렇게 진단한다.
한국은 일찍부터 입시에 정열을 바친다는 점에서 교육열이 강한 나라이지만, 진정 무엇을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묻지 않는다는 점에서 교육에 냉담한 나라이기도 하다.
(《공부란 무엇인가》 ‘프롤로그’ 중에서, 10쪽)
그동안 기성세대는 자손들에게 공부를 열심히 하라고만 말했지, 공부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려주지 않았다. 수동적으로 공부한 자손들은 기성세대에게 공부 잘하는 방식이 어떤 것인지 묻지 않는다. 시간이 지나면서 자손들은 기성세대가 되고, 그들은 선대로부터 받은 가르침을 고대로 따라 다음 후손들에게 말한다. “딴짓하지 말고 열심히 공부나 해. 너한테 도움 되는 거야.”
《공부란 무엇인가》는 우리가 너무 잘 몰랐고, 너무 쉽게 생각했고, 너무 하고 싶지 않았던 ‘공부’의 의미와 방식을 다시 되짚어보게 만드는 책이다. 이 책은 총 5부로 이루어졌다. 1부(‘공부의 길’)에는 논술문 작성 방식과 작성 시 주의할 점이 나온다. 본격적으로 공부하고픈 사람은 2부(‘공부하는 삶’)부터 먼저 보는 것이 좋다. 2부에서 글쓴이는 공부할 때 갖춰야 할 마음가짐을 알려준다. 3부(‘공부의 기초’)는 2부의 연장선이라 할 수 있다. 3부에 공부하면서 쓰게 될 서평의 의미, 공부하는 삶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일인 ‘질문하기’에 대한 글쓴이의 조언 등이 담겨 있다. 4부(‘공부의 심화’)는 1부와 짝을 이룬다. 글을 좀 더 정교하게 쓰는 방식, 상대방을 비판하거나 상대방에게 비판받을 때 반드시 있어야 할 덕성, 토론 발제를 잘 만드는 법 등이 나온다. 마지막 5부는 글쓴이의 인터뷰다. 책을 처음부터 순서대로 읽지 않아도 된다. 관심 있는 주제의 글을 골라서 천천히 읽으면 된다.
김 교수는 공부하려면 어떤 것을 배우고자 하는 적극성과 자발성이 제일 중요하다고 강조한다(125쪽). 공부를 꾸준히 하려면 체력이 좋아야 한다. 몸이 아주 나빠진 상태에서 공부를 계속해온 사람들이 있다. 예를 들어 레이첼 카슨(Rachel Carson)은 암 투병 중에도 바다와 숲에 가서 생물들을 관찰했고, 《침묵의 봄》을 쓰기 위한 각종 자료를 수집했다. 카슨과 같은 사람들은 정말 위대하다. 하지만 꼭 그런 사람처럼 할 필요가 없다. 건강을 잘 관리하면서 공부해야 한다. 몸이 망가질 때까지 죽을 각오로 공부하다간 정작 공부해서 얻어야 할 소중한 열매를 맺지 못할 수 있다. 누구나 건강상 문제로 공부를 중도 포기해야 하는 상황이 온다. 이런 예상하지 못한 사정을 생각한다면 공부하다가 포기한 사람들을 노력 부족이라는 이유만으로 비난해선 안 된다.
김 교수는 독자를 피식 웃게 만드는 재치 있는 표현을 구사하면서 어려운 주제의 글을 쓰는 재주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재능도 과하면 탈이 나기 마련이다. 다음에 나올 인용문은 평소 그의 글을 좋아한 독자들에게 큰 실망감을 안겨주었으리라.
* 117쪽
나는 이번에야말로 현지 시민 연결 프로그램을 제대로 활용해보고 싶어서, 일본 메이지 시대 문헌을 함께 읽어줄 사람을 물색했다. 마침내 도쿄 대학이 주선한 소개의 자리에 나가본즉, 기본 교양은 물론이고, 기특하게도 옛 문헌을 읽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게다가 육감적인 몸매를 자랑하는 글래머 초미녀 여성이 다소곳이 앉아 있었다‥…는 것은 다 뻥이고‥… 등이 굽은 노령의 남자 한 분이 나를 기다리고 있었다. 꿀벅지‥… 아니, 꿀주름, 꿀검버섯이‥… 넘실대는.
표준국어대사전에 등록된 ‘기특하다’의 뜻은 다음과 같다. ‘말하는 것이나 행동하는 것이 신통하여 귀염성이 있다.’ ‘기특하다’의 유의어는 ‘신통하다’, ‘대견하다’, ‘귀엽다’ 등이 있다. 김 교수는 옛 문헌을 읽는 데 관심이 있는 미녀가 기특하다고 했다. 그가 언급한 미녀는 김 교수의 상상이 만든 인물이지만, ‘기특하다’라는 표현을 실제로 문헌 연구를 하는 여성이 들으면 상당히 언짢게 느껴질 수 있다. 무언가를 공부하고 연구하는 여성들의 목표는 남성학자들에게 인정받거나 귀여움받는 것이 아니다. 또 ‘글래머 초미녀 여성’은 겹말이 있는 비문(非文)이다. ‘미녀’의 ‘녀(女)’는 여성을 뜻하기 때문이다. 상대방의 나이 든 외모를 희화화하기 위해 젊은 여성의 외모와 비교하는 김 교수의 농담이 지나치다.
프로이트(Freud)는 상대방에게 감추고 싶은 리비도(libido)와 무의식적인 충동이 여러 가지 방식으로 무심결에 드러낸다고 주장했는데, 그 방식에 말실수와 농담이 포함되어 있다. 프로이트의 주장대로라면 김 교수는 연구년을 ‘옛 문헌에 관심 있는 일본의 글래머 미녀’와 함께하고 싶은 속마음을 자신의 글에서 농담으로 드러냈다. 다만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방식은 과학적인 이론이 아니기 때문에 농담에 대한 프로이트식 해석을 김 교수의 본심이라고 규정해선 안 된다.
2부에 김 교수의 강의 방식을 소개한 글이 있다. 이 글에서 김 교수는 자신만의 지도 방식을 고수하고 있는데, 용변을 보기 위해 화장실에 가야 할 학생을 바라보는 그의 시선이 못마땅하다.
* 76~77쪽
수업 도중에 화장실에 가도 안 되냐고요? 물론 안 됩니다. 여러분은 성인이고, 성인의 자부심은 똥오줌을 참을 수 있다는 데 있습니다. 여러분이 한 시간 30분 정도는 생리현상을 관리할 수 있으리라는 사회적 기대가 있습니다. 마치 극장에 들어가기 전에 화장실에 들르듯이, 강의실에 들어오기 전에 화장실에 들르기 바랍니다. 그리고 손을 씻기 바랍니다. 예외적인 사정이 있는 사람은 미리 상의해주기 바랍니다.
아무리 화장실에 미리 다녀왔어도 통제할 수 없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겠지요. 그렇다고 해서 수업 중에 갑자기 손을 들고, “뭔가 나와요!”라고 울부짖는 것은 민망한 일이겠지요. 그런 경우에는 노래를 부르기로 합시다. 수업 중에 불가피하게 화장실에 가야 할 사정이 생긴 사람은 노래를 부르기 시작하는 겁니다. 어디선가 나직하게 들려오는 노랫가락을 듣고 우리는 누군가 곧 강의실 문을 나갈 것을 예감하고 그에 대해 마음의 준비를 하면 강의에 집중력을 잃지 않을 수 있겠지요. 노래를 부르며 강의실을 떠나는 학우의 고통을 공감하고 양해할 수 있게 될 겁니다. 공감과 양해는 규율 못지않게 중요한 시민적 덕성입니다. 노래하는 목소리가 클수록, 곡조가 슬플수록, 그가 처한 상황이 위중하다는 신호겠지요. 저 역시 만에 하나 급히 용변을 봐야 할 사정이 생기면, 장송곡을 부르도록 하겠습니다.
김 교수의 강의를 들어본 학생들의 입장이 궁금하다. 학생들에게 똥오줌을 참으라고 말한 교수를 어떻게 생각할까? 필자가 별일 아닌 일에 너무 예민하게 구는 걸까? 갑자기 생긴 생리적 현상 때문에 화장실에 가야할 학생의 행동을 ‘울부짖는 것’으로 과장한 표현은 그 학생에게 굴욕감을 준다. 화장실에 가는 학생 한 사람 때문에 수업 분위기가 깨지는 상황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그렇지만 차질없이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서 화장실 가는 학생에게 굴욕을 줘야만 할까. 김 교수와 다른 학생들의 눈치 때문에 노래를 크게 부르면서 화장실에 가야 하는 상황이 내심 불편하다. 이런 상황이야말로 화장실 가는 일을 더욱 민망하게 만든다. 정말로 이런 방식으로 강의가 진행된다면 수화가 없으면 의사소통이 어렵고, 노래도 부를 수 없는 청각장애 학생은 김 교수의 강의를 들을 수 없다. 그러면 강의를 듣는 청각장애 학생은 콧노래라도 불러야 하나. 재미있게 한(쓴) 말이 누군가는 전혀 웃기지 않고, 더욱 불편하게 느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