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레트와 함께하는 여름 함께하는 여름
앙투안 콩파뇽 지음, 김병욱 옮김 / 뮤진트리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협찬받고 쓴 서평이 아닙니다.





평점


4점  ★★★★  A-





콜레트(Colette)는 팔방미인이다. 그녀는 자신보다 몇십 살 많은 남자와 한참 어린 젊은 남자들을 만나 사귀었다. 여자들도 콜레트의 발랄하면서 풍성한 매력에 푹 빠졌다. 이 정도로 콜레트는 아름다웠다. 콜레트는 다재다능한 사람이었다. 소설, 극작가, 신문 기자, 음악 및 영화 평론가, 무언극 배우, 뮤직홀 댄서였다. 부업으로 자신의 이름을 내건 화장품 회사의 코디네이터로 일했다. 그녀의 메이크업 기술을 배울 수 있는 미용학원도 생겼다


2019년에 키이라 나이틀리(Keira Knightley)가 콜레트로 분한 영화가 개봉되었다. 영화는 남성 중심 세상 한가운데에 당당하게 돌진하면서 살아온 콜레트의 삶을 보여준다. 하지만 국내에 보부아르(Simone de Beauvoir)프랑수아즈 사강(Francoise Sagan)보다 늦게 당도한 콜레트는 여전히 미지의 작가로 알려져 있다. 영화가 만든 작가 콜레트는 빼빼 말라서 생기가 없다주변 사람들과 온 세상을 뒤흔든 그녀의 팔팔한 팔방미인 면모를 빛나게 해주지 못한다. 콜레트와 함께하는 여름발랄하고 풍성한 매력을 가진 콜레트를 만날 수 있는 책이다


콜레트는 복잡하면서도 모순적인 인간이다. 그런 자신의 삶을 거대한 풍경 같은 인간의 얼굴(238쪽)이라 했다. 콜레트의 글에 거대한 삶의 흔적이 또렷하게 남아 있다. 콜레트와 함께하는 여름의 저자 앙투안 콩파뇽(Antoine Compagnon)은 콜레트가 쓴 소설, 수필, 자서전 등을 읽으면서 콜레트라는 거대한 인간의 얼굴을 복원한다


콜레트는 네 개의 얼굴을 가진 사람이다. 콜레트를 유명하게 만든 ‘<클로딘(Claudine)> 시리즈는 그녀의 첫 번째 남편 윌리(Willy)의 그늘 안에서 태어난 작품이다. 클로딘은 천진난만한 시골 소녀다. 클로딘은 숲을 자유롭게 누비면서 점잖은 사람들을 만나면 짓궂은 장난을 치는 목신 판(Pan)을 닮았다. 클로딘의 얼굴은 시골에서 태어나고 자란 소녀 콜레트의 앳된 얼굴이다.


콜레트의 어머니 시도(Sido)는 윌리만큼이나 콜레트의 삶에 적극적으로 개입한 애증의 존재다. 콜레트에게 어머니는 사랑스러운 방해자[주1]. 시도는 죽을 때까지 딸을 보호하려고 했다. 시도는 마구잡이식으로 연애하고, 출산을 거부하는 딸을 못마땅하게 여겼다. 콜레트는 자신을 모성’과 ‘요조숙녀라는 울타리에 가두려는 어머니를 미워했다. 하지만 식물을 애지중지하게 여기는 마음은 어머니를 닮았다콜레트의 소설에서 등장하는 작가의 분신은 자연을 사랑하고 존중한다. 훗날 콜레트는 어머니가 내 인생의 주요 등장인물이라고 말했다(39쪽). 젊은 콜레트는 글을 쓸 때마다 어머니의 존재를 지웠다. 그래서 그녀의 소설에 주인공의 어머니가 없다. 세월이 흘러 어머니의 빈자리를 느낀 콜레트는 자신의 삶이 시도의 일부였다는 사실을 인정한다. 그리하여 완전히 잊힐 뻔한 콜레트의 사랑스러운 방해자시도라는 소설에서 다시 태어난다. 시도는 동식물을 좋아하는 콜레트의 얼굴이다


지지(Gigi)는 영화와 연극으로 만들 정도로 콜레트의 말기 작품 중에서 가장 유명하다. 지지는 콜레트의 다른 작품들에 묘사된 여성처럼 능동적인 삶을 살아가지만, 결국 자신이 사랑하는 남자와 결혼한다. 콜레트는 결혼제도를 부정적으로 인식했지만, 세 번이나 결혼했다지지는 자유연애주의자와 아내라는 양면적 정체성을 동시에 가진 콜레트의 얼굴이다.


마지막 네 번째 얼굴은 이 세상을 온몸의 피부로 느끼면서 글 쓰는 콜레트의 진짜 모습이다. 콜레트는 소설을 쓰면서도 문학을 불신했다. 콜레트가 거부한 문학은 오로지 상상력을 동원해 허구로만 채워진 픽션(fiction)’이다. 콜레트의 작품에서 확인할 수 있는 () 문학작가 자신의 삶을 그대로 보여주는 팩션(autofiction: 자서전과 소설의 결합)’이다.


작가 콜레트는 편견과 가십으로 만들어진 신화이자, 대중이 오해하기 쉬운 픽션적인 존재다. 이 가공의 존재가 널리 알려질수록 대중은 콜레트가 자신의 명성을 높이려고 스캔들을 일으킨 논란의 작가로 인식한다. 그렇지만 콜레트와 함께하는 여름이 보여준 팔방미인 콜레트는 몸을 활발하게 움직이면서 자신이 살아있음을 스스로 확인하는 존재이다. 콜레트는 자신에게 향한 타인들의 시선과 주변 상황에 따라 예민하게 반응하는 사람이다. 그녀는 자신의 마지막 작품인 <파란 등대>에서 내가 가만 내버려 두면, 우울한 순례 같은 것이 되어버릴 것이다라고 썼다(244쪽). 침울한 인간은 움직이지 않으려고 한다. 살아 있어도 살아 있다고 할 수 없는 존재가 된다. 허무주의에 잠식당한 우울한 순례자의 최후는 살아가기를 완전히 멈추는 결말을 스스로 선택하는 상황이다. 콜레트는 스스로 움직였다. 오직 살기 위해서 여러 분야에 뛰어든 삶은 우울한 순례를 멈출 수 있는 그녀만의 대처 방식이었다


콜레트는 활활 타오르는 불처럼 살았다온몸과 정신이 금방 식어버리지 못할 정도로 아주 뜨겁게. 삶이 완전히 식을 때까지 콜레트는 뜨겁게 사랑했고, 뜨겁게 무대 위에서 춤을 췄고, 뜨겁게 파란 종이 위에 글을 썼다파란색(blue)은 콜레트의 삶을 상징한. 파란색은 서늘하고 무기력하다. 그렇지만 콜레트의 파란색은 뜨겁다.






[주1] 최근에 나온 책인 줄리 필립스의 나의 사랑스러운 방해자: 앨리스 닐, 도리스 레싱, 어슐러 르 귄, 오드리 로드, 앨리스 워커, 앤절라 카터돌보는 사람들의 창조성에 관하여(돌고래, 2023)의 제목을 그대로 따온 표현이다. 이 책에서 말하는 사랑스러운 방해자어머니가 된 작가가 돌봐야 하는 자녀를 뜻한다.






※ cyrus의 주석




* 46

 




 키플링의 정글의 책[2]에 나오는 동물들이 그렇듯 사람처럼 말한다.

 

 

[2] 정글 북






* 54~55

 




 콜레트는 자신의 몸과 붓의 자유를 외쳤다. 그녀는 뇌일리에 있는 나탈리 바르네[3]의 집이라든가, 니스에 있는 르네 비비앙의 집 활인화에 출연했다.

 

 

* 58

 

 콜레트는 몇 차례 동성애를 경험하고 나서(클로딘의 부부생활에 레지로 등장하는 조지아나 나탈리 바르네[3]), 미시와 5년 동안 연인 관계로 지냈다.

 

 

[3] 35~36쪽에 콜레트의 여자친구 내털리 클리퍼드 바니(Natalie Clifford Barney)가 처음으로 언급된다. 나탈리 바르네내털리 바니의 동일 인물이다. 이름표기를 통일해야 한다.






* 55






폴리 베르베르 극장 → 폴리 베르제르(Folie Bergère) 극장






* 104

 

 콜레트는 저널리즘의 먹물이 피에 밴 사람이었다. 훗날 그녀가 죽었을 때 장 폴앙[4], 그녀는 소설 속으로 길을 잘못 든 대기자였다라고 음흉스레 말하게 되는 것도 그래서다.

 

 

[4] 장 폴랑(Jean Paulhan)’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 244

 





트루먼 카포트 트루먼 카포티(Truman Capote)





* 247

 




 그녀에게 글쓰기는 늘 지겨운 일이었고, 오직 생계를 꾸리기 위해 기쁨 없이 몰두한 활동이었던 같다.[5]

 

 

[5] 활동이었던 같다.






* 250

 




 1950년에는 <피가로>, 발자크는 내 청소년기의 종교였고, “[6] 초기 교육의 가이드였다고 털어놓는다.


 

[6] 발자크(Honore de Balzac)는 콜레트가 존경하는 작가다. ‘에 주격 조사 나 보격 조사 가 붙을 때 쓴다. 따라서 는 곧 를 뜻하므로 초기 교육의 가이드라는 표현이 어색하다 초기 교육의 가이드로 써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방지기 생활 수집
김정희 지음 / 탐프레스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점


4점  ★★★★  A-






혹시 어느 지역의 책집(책방, 서점)에 가게 되면 그곳에 숲노래라는 분이 쓴 글이 있는지 꼭 확인하길 바란다. 그분의 본명은 최종규. 태어나면서 처음 받은 이름보다 숲노래라는 이름이 더 유명하다. ‘숲노래’의 뜻은 숲을 즐겁게 노래하는 슬기로운 사랑으로 살림을 가꾸는 새로운 어른이다. 숲노래님은 시골에서 아이들을 돌보면서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는 일을 한다. 그리고 사진기와 함께 날마다 전국 곳곳에 있는 책집 마실을 간다. 누리집(블로그)에 책집과 책집지기(책방지기) 이야기를 알뜰히 써서 남긴다. 그뿐만 아니라 책집지기를 위한 글을 손수 써서 선물로 주기도 한다<서재를 탐하다>(서탐), <읽다 익다>, <담담책방>, <직립보행>에 가면 숲노래님의 책집 사랑이 듬뿍 묻어있는 글 선물을 만날 수 있다.


나도 숲노래님처럼 책방 마실 가는 것을 좋아한다. 책방 마실 간 날에 잊지 못할 경험을 하게 되면 반드시 글로 써서 남긴다. 그러니 내 이름을 술고래최해성이라고 해두자.[주] 술고래의 뜻이 뭐냐고. 특별한 뜻은 없다. 억지로 의미를 부여하자면 술을 즐겁게 마시면서 책 읽으며 글 쓰는 어른이다.


술고래가 자주 가는 대구 책방 여러 곳에 가면 책방지기들한테서 종종 듣는 말이 있다.○○ 책방에 가보셨어요? 거긴 어때요? 그곳에 한번 가보고 싶은데 () 책방을 지켜야 해서 방문하기 힘드네요.’ 책방지기는 항상 다른 책방지기들이 어떤 사람인지 더욱 궁금해하며 자세히 알고 싶어 한다이런 질문을 받으면 술고래는 ○○ 책방(들) 직원으로 변신한다. 그러면 책방에서 진행되고 있는 각종 프로그램과 독서 모임, 책방지기의 성격과 독서 취향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내 증언만으로는 책방 분위기와 책방지기의 성품을 고스란히 전달하지 못한다. 책방지기의 생생한 목소리가 있어야 한다.


그래서 책방지기 생활 수집 출간이 무척 반갑다. 책방지기 생활 수집대구 책방 <서탐>과 출판사 <탐프레스> 살림꾼 김정희가 쓰고 그린이다<서탐>과 김정희를 알고 싶은 책방지기들에게 나는 이 책을 권하고 싶다. 책 속에 담긴 글에 책방지기 김정희의 목소리가 스며 들어 있다


저자는 본인을 이렇게 소개한다. 두 개의 삶을 쪼개면서 살아가는 사람. 저자는 24시간을 읽고 쓰고 그리는책방지기, 두 아이와 반려묘를 돌보는 엄마로 살아가고 있다이 책의 1부는 저자가 꾸밈없이 솔직하게 풀어 쓴 ‘<서탐> 자서전이다. 저자는 서울에서 살다가 대구로 건너와 책방을 열게 되기까지 살아온 여정과 엄마로서 살아가면서 느낀 것들을 조각조각 모아 붙인다. 2부는 <서탐> 인생 2막에 일어난 이야기들로 구성되어 있다. 책방 안에서 채워진 읽고 쓰고 그리는 일상이 책방 밖으로 넘쳐 퍼지면서 모든 사람과 함께하는 일상 예술로 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책방에 오는 손님 중 한 명은 책방을 열고 싶은 사람이다. 그들이 책방에 들어서는 순간 제일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책이 아니라 책방지기다. 책방을 열고 운영하는 데 필요한 실속 있는 정보를 얻기 위해 책방지기에게 이것저것 물어본다. 책방에 대한 이상적인 낭만에 빠져 있거나 단지 책 읽는 게 좋아서 책방을 차리고 싶은 독자는 책방지기의 노동 가치 썰을 읽어보길 권한다. 이 글에서 저자는 책방을 운영하면서 마주하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설명하기 위해 자본주의 세계의 냉혹한 현실을 분석한 마르크스(Karl Marx)를 소환한다. 책방지기가 되고 싶은 독자는 이 글을 가볍게 보지 않았으면 한다.


숲노래님은 책방지기 생활 수집을 소개한 글(서평)에 저자의 문장 일부를 가져와서 우리말로 새로 썼다. 우리말 모으는 일을 하는 숲노래님다운 글이다. 술고래는 책을 읽다가 무심코 지나치기 쉬운 오자나 고쳐야 할 표현을 발견하면 서평을 통해 고쳐 쓴다. 나는 책을 읽으면 크게 중요하지 않은 사소한 단어를 수집하는 별난 버릇이 있다. 앞으로도 계속 돈 안 되는 일에 매달리는 비효율적 인간이라는 시선을 견디면서(즐기면서) 글을 쓸 것이다. ㅅ ㄱ ㄹ




* 30




 

모임 모임

 

 

 


* 159

 




어슐러 k. 르 귄 어슐러 K. 르 귄

 




[] 흰고래(白鯨)가 등장하는 허먼 멜빌(Herman Melville)의 소설 모비 딕첫 문장. “내 이름을 이슈메일이라고 해두자(Call me Ishmael).” (31쪽, 김석희 옮김, 작가정신, 2011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각의 박물학
다이앤 애커먼 지음, 백영미 옮김 / 작가정신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점

 

1점  ★  F





 모든 작가는 믿을 만한 독자가 있어야 합니다. 작가가 작업하고 있는 것에 대해 동감하고 작품을 가능한 훌륭하게 만들기를 원하는 사람 말입니다. 그렇지만 독자는 솔직해야만 합니다. 이것이 독자가 갖추어야 할 근본적인 자격입니다. 절대 거짓말을 해서는 안 되며 거짓으로 위로해서도 안 되며, 칭찬받을 만한 작품이 아닌 경우에는 절대로 칭찬을 해서도 안 됩니다

 

(폴 오스터, 작가란 무엇인가 1중에서, 181~182쪽)




읽고 싶은 책이 있으면 구매한다. 가끔은 잘 만든 책인지, 아닌지를 내 눈과 머리로 직접 확인하고 싶어서 살 때도 있다. 이렇다 보니 지난달에 꽤 많은 책을 샀다. 3월에 주문한 책들의 목록에 감각의 박물학이 포함되어 있다. 나는 이 책을 읽고 싶어서라기보다 꼼꼼하게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문했다.

 

나는 절판된 감각의 박물학이 재출간된다는 소식을 접했을 때 반가운 마음이 들었다. 이 책의 저자 다이앤 애커먼(Diane Ackerman)의 명성을 예전부터 알고 있었고, 저자가 쓴 다른 책 새벽의 인문학: 하루를 가장 풍요롭게 시작하는 방법(반비, 2015, 절판)이 좋았다. 감각의 박물학은 다이앤 애커먼에게 많은 상을 안겨주었을 뿐만 아니라 그녀를 글 잘 쓰는 저자로 독자들에게 각인시켜준 책이다. 이 책은 다이앤 애커먼의 대표작이다.

 

저자의 대표작이 나와서 무척 반가웠지만 한편으로는 의아했다. “갑자기 왜 이 책이 나온 거지?” 감각의 박물학1990에 출간되었다. 이 책이 나온 지 삼십여 년이 지났다. 대부분 사람은 유명한 저자가 썼고, 연세가 지긋한 책을 고전이라 부르면서 우대한다. 이 책의 분홍색 띠지에 독보적인 고전이라는 문구가 박혀 있다. 나는 이 문구를 떼어내고 싶다. 출판사는 감각의 박물학고전으로 과대 포장했다.

 

나는 번역서를 사기 전에 제일 먼저 원서의 출판 연도를 확인한다. 출간된 지 오래된 책일수록 철 지난 낡은 지식이 남아 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니 이런 책에서 신선한 지식을 찾는 일은 시간 낭비다. 물론 과거의 지식이 무조건 틀린 건 아니다. 그렇지만 지식에도 유통기한이 있다. 유통기한이 지난 지식은 다양한 관점이 혼재하는 복잡한 현실에 맞지 않는다. 이구동성으로 옳다고 확신했던 지식은 시간이 지나면서 오류로 판명될 때도 있다.

 

출판사는 감각의 박물학개정판이라고 주장한다. 대부분 출판사는 책 표지를 싹 다 바꾸고, 책값을 조금 높게 책정해서 개정판을 낸다. 그런데 내가 생각하는 개정판의 의미는 겉뿐만 아니라 그 안의 내용에도 변화를 준 책이다. 사실이 아닌 내용에 전혀 손을 대지 않은 책을 개정판이라고 할 수 있을까? 독자들 앞에서 감각의 박물학을 개정판이라고 홍보하는 출판사의 자신감은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

 

나는 감각의 박물학2004년에 나온 구판과 비교해서 읽어봤. 개정판에 인명 표기가 달라진 부분이 있었고, 구판에 없었던 옮긴이 주가 개정판에 추가되었다. 그런데 겨우 이것만 가지고 개정판이라고 주장하면 안 된다.

 

내가 책방을 운영하는 사람이라면 감각의 박물학을 정가로 절대로 팔지 않겠다. 책 속에 그대로 남아 있는 오류와 고쳐지지 않은 역자의 오역감각의 박물학의 매력을 떨어뜨린다. 책 내용에 변화를 준 개정판이라면 몰라도 고작 겉만 바꾼 책은 돈 주고 사는 게 아니다. 저자가 책을 다시 쓰지 않는다면 역자가 그 일을 대신해야 한다. 개정판을 출간하려는 역자는 구판을 처음부터 끝까지 다시 읽어야 한다. 그러면서 원서 속에 남아 있는 오류와 유통기한이 지난 지식이 있는지 확인한다. 저자가 잘못 알고 있는 내용이 있으면 주석을 달아서 독자들에게 솔직하게 알려줘야 한다.




* 53~54

 

 그 잔인한 제조법은 다음과 같다. “어린 갈까마귀 한 마리를 둥지에서 꺼내 완숙 달걀을 40일 동안 먹인 다음 잡는다. 그리고 은매화 잎새와 화장 분, 아몬드 오일을 넣고 증류한다.” 더할 나위 없다. 그 악취 그리고 에드거 앨런 포를 인용하고 싶은 참을 수 없는 충동을 빼면, 그 향수를 뿌린 이들은 분명 영원의 처마 위에 앉은 탐욕스러운 미인이 될 것이다.

 

[<A Natural History of the Senses> 26]

 

 Here is the ghoulish recipe: “Take a young raven from its nest, feed it on hard-boiled eggs for forty days, kill it, then distill it with myrtle leaves, talcum powder, and almond oil.” Splendid. Except for the stench, and an overwhelming desire to quote Poe, you’ll surely be a ravenous beauty perching on the eaves of forever.

 


에드거 앨런 포(Edgar Allan Poe)의 시 <The Raven> 갈까마귀라는 제목으로 알려져 있지만, 정확한 제목은 까마귀


‘raven’은 국내에 서식하지 않은 큰까마귀이며, 갈까마귀의 영문명은 ‘Daurian jackdaw’. 큰까마귀는 까마귀 중에서 가장 큰 종이라면, 갈까마귀는 가장 작은 종이다.

 




* 56


 동물들에게 사냥꾼의 냄새는 경고가 된다. 사냥꾼에게 동물의 냄새는 유혹적이다. 일종의 자기방어로 냄새를 흘려보내는 동물도 있다. 얼룩 스컹크는 앞다리로 서서 지독한 악취를 공격적으로 쏘아 보낸다.

 

[<A Natural History of the Senses> 27]


 For an animal who is prey, the odor of its hunter will warn it; for the hunter, the odor of its prey will lure it. Of course, some animals exude an odor as a form of defense. Spotted skunks do a handstand and squirt would-be attackers with a horrible stench.

 

스컹크는 악취를 내뿜지 않는다. 고약한 냄새가 나는 분비물을 내뿜는다.




* 107


 피라미드 모양의 바벨탑은 죽음이 예정된 존재가 도달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높이, 신들 가까이로 뻗어 올라갔고, 사제들은 그 꼭대기에 향을 지폈다.

 

 [<A Natural History of the Senses> 56]


 Atop the famous ziggurat-shaped Tower of Babel, which stretched closer to the gods than mortals could reach, priests lit pyres of incense.

 


지구라트(Ziggurat)는 고대 메소포타미아에 세워진 신전이다. 지구라트는 높이 솟은이라는 뜻을 가진 고대 아카드어에서 유래되었다. 하늘에 있는 신을 지상과 연결하기 위해 탑과 같은 형태의 지구라트가 만들어졌는데, 구약성서》 「창세기에 묘사된 바벨 탑의 원형으로 보고 있다. 이라크에 있는 우르의 지구라트(Ziggurat at Ur)’는 보존 상태가 아주 좋은 유명한 지구라트다. 역자는 지구라트를 피라미드와 비슷한 형태의 건축물로 착각했다.




* 140

 

 자이레의 피그미족 아기는 적어도 하루의 절반은 다른 사람과 신체적 접촉을 한다.

 

자이르(Zaire)1971년부터 1997년까지 존재했던 국가로, 콩고민주공화국의 옛 국명이다.




* 151


 옛날 남자 지도자들은 남성다움의 상징으로 머리를 길게 길러 늘어뜨렸다(사실 카이저차르긴 머리를 의미한다).

 

 

저자는 카이저(kaiser)차르(tsar)의 어원을 긴 머리라고 주장한다. 그 견해의 출처가 궁금하다. 그런데 이 책에 저자가 글을 쓰면서 참고한 문헌 목록이 없다


카이저와 차르의 어원은 로마의 지도자 율리우스 카이사르(Julius Caesar)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카이사르는 대머리로 유명하다. 따라서 카이저와 차르의 의미가 정말로 긴 머리와 연관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하지만 긴 머리와 덥수룩한 수염이 남성 군주의 강인한 남성성을 상징하는 신체적 기호인 건 확실하다. 유럽의 귀족과 군주들은 치렁치렁한 가발을 착용했다독일의 황제 빌헬름 2(Wilhelm II)의 수염카이저라는 용어를 세상에 널리 알리게 했다. 당대 남성들과 지도자들은 빌헬름 2세처럼 수염을 길렀다.



* 160


 공상과학소설에서는 우주비행사의 체온을 떨어뜨려, 유리집 속에서 잠자는 벌거숭이 곰처럼 장기간 수면 상태에 들게 하는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그 가족은 극구 부인하고 있지만, 그의 유언에 따라 죽은 후 사체를 동결시켰다는 말이 그럴듯하게 떠돌고 있다. 월트 디즈니는 마법의 얼음 왕국에 누워 재생을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 미국저온학협회에 소속되어 있는 트랜스타임주식회사에서는 사망 직후의 사체를 동결 처리하는 일을 한다. 죽음의 수수께끼가 풀리고 병으로 죽은 사람을 되살릴 수 있는 미래가 오면, 그때 생명을 되찾게 해주겠다는 것이다.


[<A Natural History of the Senses> 90]


 Science-fiction stories often involve an astronaut whose body temperature has been lowered, sleeping in suspended animation like a naked bear in a glass den. Walt Disney’s family swears it isn’t true, but a popular folk myth for some time now has it that Walt arranged to be frozen when he died and is lying in a magic kingdom of ice, awaiting his rebirth. Trans Time, Inc., a member of the American Cryogenics Society, does freeze people right after death, promising to bring them back to life in a later era, when the mysteries of death are scrutable and the carnage of their diseases.

 


자신을 냉동으로 보존해달라는 디즈니의 유언은 낭설이다.




* 229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대지의 여신 가이아가 짜낸 젖은 은하수가 되었다.

 

[<A Natural History of the Senses> 131]


 A mythic Gaia poured milk from her breasts and they became the galaxies.

 

 

그리스 신화에 묘사된 은하수의 유래는 헤라(Hera)의 가슴에서 나온 모유로 알려져 있다. 제우스(Zeus)는 자기가 바람을 피워서 태어난 헤라클레스(Heracles)에게 젖을 주기 위해 자고 있던 헤라 몰래 젖을 물렸다. 헤라클레스가 젖을 빠는 순간, 그의 강력한 힘을 느낀 헤라가 잠에서 깨어났다. 헤라의 가슴에 뿜어져 나온 모유가 하늘에 퍼지면서 은하수가 되었다고 한다.




* 245


 어떤 사람들은 유전적으로 아스파라거스를 먹고 나면 향기로운 소변을 보고(프루스트가 지나간 것들의 기억에서 묘사한 대로), 아티초크를 먹으면 심지어 물도 달게 느끼는 사람이 있다.



이 문장을 보는 순간 궁금증이 생겼다. 프루스트가 쓴 소설 중에 저런 제목이 있었어? 아니면 프루스트의 단편소설 제목일까? 지나간 것들의 기억으로 번역된 원문은 ‘Remembrance of Things Past’. ‘Remembrance of Things Past’최초로 출간된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In Search of Lost Time)의 영문판 제목이다.  




* 249


 입은 육체라는 감옥을 단단히 봉하고 있다. 입을 통하지 않고서는 아무것도 도움을 주거나 해를 끼치지 못하고, 그래서 진화 과정에서 입이 제일 먼저 생긴 것인지도 모른다. 굼벵이, 곤충 등 모든 하등동물에게도 입이 있다.

 


하루살이, 누에나방, 깔따구 등과 같이 입이 퇴화한 곤충들도 있다.




* 322






 

아서 클라크의 2001 오디세이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 344





 수컷 두꺼비고기(조기어류의 하나옮긴이) 저음의 소리를 지른다.



구판(293)에 없는 옮긴이 주가 개정판에 추가되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오자가 생겼다.




* 390

 

 예술가들은 예술의 유기적 형식을 항상 자연에서 구해왔으므로 펄서’(규칙적으로 전파를 방출하는 천체의 하나. 빠르게 자전하는 중성자별로 추측된다옮긴이)라는 폭발음의 곡조를 발견하는 것도 놀라운 일은 아니다.

 

펄서가 중성자별이라는 사실이 수많은 연구와 관측을 통해 밝혀졌다.




* 487~488

 

 태양계의 행성 중 절반 정도가 고리를 가지고 있다는 발견은 얼마나 즐거운 충격이었던가. 토성뿐 아니라 목성, 천왕성, 해왕성, 어쩌면 명왕성에도 고리가 있다. 그리고 그 고리들은 서로 다르다.

 


여전히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2006년 국제천문연맹(IAU)은 명왕성을 태양계의 아홉 번째 행성이 아닌 왜행성으로 분류했다.


전문 용어에 대중에게 편견을 불러일으키는 부정적인 의미가 반영되었다면 바뀔 수가 있다. 그런데 개정판에 지금은 잘 쓰지 않는 전문 용어가 고쳐지지 않은 채 그대로 남아 있다.

 

 

* 75

정신분열증 환자들 조현병 환자들

 

* 161

온혈동물 정온동물 또는 항온동물

냉혈동물 변온동물

 

* 313

간질 뇌전증


* 434쪽 

할로윈[비표준어] 핼러윈

 



책에 문제가 될 만한 내용이 더 있지만, 글의 분량이 길어져서 따로 쓰려고 한다. 아직 끝난 게 아니다. 이 책을 비판한 내 견해가 틀릴 수 있다. 틀린 견해나 내가 잘못 알고 있는 것이 있으면 댓글로 꼭 알려주시라. 내 글에 대한 정오표를 남기겠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4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 연 2023-05-05 02: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렇게 인상깊은 후기는 처음봐요!
혹시 블로그는 안하시나요? 블로그를 하신다면 구독해 보고 싶을만큼 좋은 분석이네요

cyrus 2023-05-05 09:05   좋아요 0 | URL
예전부터 네이버 블로그에도 서평을 등록하려고 생각은 했었어요. 그런데 알라딘 블로그에 글을 등록하는 일이 너무 익숙해져서 네이버 블로그에 눈길을 주지 못하고 있어요. ^^;;

다은이즈 2023-08-15 13: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개정판 나왔다길레 살려다가 이 글보고 그냥 구판에 머물기로 했습니다.

cyrus 2023-08-15 15:27   좋아요 0 | URL
다행입니다.. ^^

-두부공자 2023-11-05 12: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보다 서평이 더 감명이 깊습니다
 




영국 문예지 <런던 리뷰 오브 북스>(London Review of Books, LRB)의 편집장 메리케이 윌머스(Mary-Kay Wilmers)의 에세이 선집 서평의 언어7월 초에 샀다. 8월 초부터 읽기 시작했고, 시간 나는 대로 틈틈이 읽고 있다. 서평의 언어에 수록된 모든 글의 분량이 너무 짧지도, 그렇다고 길지도 않아서 일주일 내로 다 읽을 수 있을 거라 예상했다. 그런데 생각보다 독서 진도가 더디다.







                              평점


         3점  ★★★  B







* 메리케이 윌머스 서평의 언어: <런던 리뷰 오브 북스> 편집장 메리케이 윌머스의 읽고 쓰는 삶(돌베개, 2022)




여유로운 시간을 쪼개가면서 여러 책을 동시에 읽다 보니 책 읽는 속도가 느린 것도 있다. 사실 서평의 언어를 느리게 읽게 만드는 원인이 책 속에 있다. 윌머스의 글에 미국 및 유럽의 역사나 명사(名士)와 관련된 일화 등이 언급된다. 이 내용들을 모르면 금방 읽을 수 없다.


윌머스의 글을 처음 접한 국내 독자들의 눈과 머리는 영국적인 색채가 낯설다. 글의 색채를 독자들이 좀 더 편하게 느낄 수 있게 역자는 역주를 많이 써야 한다. 혹자는 역주가 너무 많으면 독자는 본문과 역주를 같이 읽게 되고, 독서에 몰입할 수 없다고 말할 것이다. 하지만 역주가 너무 적어도 문제다. 역주가 없으면 독자는 글 속에 있는 생소한 단어나 문장을 이해하지 못한다. 대부분 독자는 모르는 단어나 이해하기 어려운 문장을 만나면 그냥 넘기는데, 나처럼 문장 속 생소한 단어에 호기심을 가지거나 그 의미를 알아야 직성이 풀리는 독자는 그냥 못 지나친다. 이런 유형의 독자는 윌머스의 글을 느리게 읽는다.


서평의 언어에 표시된 역주가 총 몇 개인지 세어보지 않았다. 역주 개수를 일일이 세보고 싶지 않다. 한 편의 글에 들어있는 역주 개수가 많은 편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역주를 더 써넣어야 할 글이 몇 편 있다. 그중 한 편이 나는 영국 시민이었소라는 제목의 글이다윌머스는 나는 영국 시민이었소에서 유명 인사들의 부고를 소개하고, 그 부고를 작성한 사람과 부고가 쓰인 시대적 배경을 나름 분석하면서 비평한다. 나는 영국 시민이었소역주 없이 언급된 용어나 인물명은 다음과 같다.



오나시스(29~30), 마우마우 무장투쟁(38), 베런슨(41), 프리드리히 블룸(41), IRA(42), 위트릴로(46)

 


솔직히 말해서 나는 오나시스위트릴로만 누구인지 정확하게 안다. 오나시스(Aristotle Onassis)선박왕이라는 별명으로 알려진 그리스의 사업가다. 위트릴로(Maurice Utrillo)는 프랑스의 화가다. 나머지는 몰라서 인터넷에 검색해서 확인해봤다.


경건함에 버금가는은 백과사전 편찬자의 글 쓰는 방식을 분석한 글이다. 윌머스는 이 글에서 <피어스 실링 백과사전>에 실린 여러 개 항목을 인용한다. <피어스 실링 백과사전>위키피디아(Wikipedia)와 같다고 보면 된다. 백과사전 항목에 편찬자의 주관적인 생각과 잘못된 정보가 여과 없이 반영되어 있다윌머스가 인용한 백과사전 항목 중에 그런 내용이 있다.



* 81


 유대인에 대해서는 오늘날 () 예술과 문학 분야에서 가장 위대한 이들 몇몇을 배출했다는 말과 함께 스피노자, 멘델스존, 하이네, 베토벤, 슈베르트를 언급한다.

 


백과사전 편찬자는 베토벤(Beethoven)과 슈베르트((Schubert)를 유대인 출신 음악가라고 했는데, 두 사람은 유대인이 아니다.




약속들 중에서, 257


 하드윅의 에세이는 클래리사와 태스를 비롯한 문학작품 속 여성 주인공들의 운명, 그리고 이들이 남성과 일탈적 관계를 맺은 대가로 치른 형벌을 이야기한다.

 


클래리사는 영국의 작가 새뮤얼 리처드슨(Samuel Richardson)의 서간체 소설 클러리사 할로(Clarissa; or, The History of a Young Lady)의 주인공이다. 작품 분량이 대하소설만큼 방대한데, 8권으로 된 번역본(김성균 옮김, 지만지, 2012)이 있다.

 


 

약속들 중에서, 261~262


 몰 플랜더스내 지나친 자만심이 나의 몰락을 불러왔으며, 어쩌면 나의 허영심이 그 원인이었으리라라는 대사가 몰락한 모든 자매를 대변한 셈이다.



몰 플랜더스(Moll Flanders)다니엘 디포(Daniel Defoe)가 쓴 소설 제목이자 매춘부인 주인공의 이름이다.
















* 윌리엄 셰익스피어 자에는 자로(동인, 2014)



약속들 중에서, 266

 

 진심만을 말하는 여성들도 있으나(준 대로 받은 대로에 등장하는 수다쟁이 이저벨라가 좋은 예다), 대다수 여성은 그렇지 않다.



준 대로 받은 대로 윌리엄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의 희극 작품이다. 원제는 ‘Measure for Measure’. 번역된 제목이 여러 개가 있는데, 가장 많이 알려진 제목은 자에는 자로.
















* 로버트 브라우닝 로버트 브라우닝 시선(지만지, 2012)


* 엘리자베스 배럿 브라우닝 엘리자베스 브라우닝의 사랑 시(지만지, 2011)



* 무슨 이런 어머니가중에서, 373

 

 그를 가르친 선생들은 대개 케케묵은 취향을 지니고 있었으며 이들이 우러러보던 작가들은 그가 좋아하는 작가들브라우닝, 예이츠, 제임스과는 달랐다.



브라우닝은 과연 누굴까? 엘리자베스 B. 브라우닝(Elizabeth B. Browning, 1806~1861) 아니면 로버트 브라우닝(Robert Browning, 1812~1889)? 두 사람은 부부다.


<런던 리뷰 오브 북스>에 실린 글의 날짜가 맞지 않는다. 저자나 편집자의 착오인가? 책에는 나르시시즘과 그 불만(Narcissism and Its Discontents)의 게재 날짜가 ‘198186로 되어 있다(118). 죽음과 소녀(Death and the Maiden)‘19811217에 실렸다고 나와 있다(141). <런던 리뷰 오브 북스> 공식 홈페이지(https://www.lrb.co.uk/)에 들어가면 두 편의 글이 발표된 날짜를 확인할 수 있다나르시시즘과 그 불만<런던 리뷰 오브 북스>에 실린 날짜1980221이며 죽음과 소녀198186이다.


오자도 있다. 총제적 난국이다. 아니, 진짜 무슨 이런 책이 다 있지?



『서평의 언어』 중에서, 103




 

핸리 헨리




나르시시즘과 그 불만』 중에서, 112





 메이미 핀저의 경우는 더 복잡하다. 아름다운 외모를 가진 유대인 여성 핀저는 1995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나 열세 살에 학교를 그만두고 백화점에서 일하게 된다.


[원문]


 She was a good-looking Jewish girl, born in Philadelphia in 1885. When she was 13 she had to leave school to work in a department store.

 

19951885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로 2022-10-15 15: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책 읽다가 짜증 나서 안 읽고 있는데 다른 사람도 이 책 별로라니까 왜 반갑죠!! ^^;;

cyrus 2022-10-15 20:04   좋아요 0 | URL
저만 안 좋게 본 건 아니었군요. 안심이 드네요. ㅎㅎㅎ

바람돌이 2022-10-15 18: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평집은 내가 모르는 책이 너무 많으면 재미가 없더라구요. 어느정도 섞여 있어야지.... 다른 나라 사람이 쓴 서평집은 아무래도 우리 나라 독서경향과 또 다를테니까 읽기가 힘들거 같아요. 그래서 전 이 책 소개가 나왔을 때도 굳이 왜? 햇거든요.

cyrus 2022-10-15 20:07   좋아요 0 | URL
맞아요. <서평의 언어>와 몇 편의 글을 제외한 나머지는 그다지 인상적이지 않았어요. 읽어야 할 문학 작품들이 엄청 많다는 걸 뼈저리게 깨달았어요. ㅎㅎㅎ

2022-10-15 18:50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22-10-15 20:09   좋아요 1 | URL
이 글을 9월 초에 쓰기 시작했는데, 게을러져서 다 못 쓰고, 한동안 방치되었어요. 글을 마무리하는 과정에서 첫 문장을 고쳐 쓰지 못했어요. 오타 알려줘서 고마워요. ^^

그레이스 2022-10-15 22: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읽다 만 책!이예요.

건수하 2022-10-16 10: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읽어봐야지 하고 있던 책이었는데 사이러스님 글 보니 지나쳐도 되겠다 싶네요.. 찾아보며 읽으신 것 공유해주셔서 감사해요 :)

꼬마요정 2022-10-16 16: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cyrus님 글 읽고 이 책 다 읽었습니다. 그냥 모르는 건 모르는대로 넘겼어요 ㅎㅎ 말씀처럼 너무 정보가 없어서 다 찾다가는 이 책 못 읽을 것 같아서요. 확실히 성향이 우리나라랑 다른 것 같아요. 인상깊은 글도 있구요. 덕분입니다. 고맙습니다^^

sonn71 2022-11-03 19: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가지 궁금한데요. 평점을 무슨 기준으로 매기나요? 본인 취향인가요? 아니면 다른 기준이 있나요? 몇몇 오탈자 찾아내는 건 잘 하시네요. 그런데 본인이 이해하지 못한다고 ˝무슨 이런 책이 있지?˝하고 내던지는 비뚤어진 독서습관이 있나요?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면서 서평을 하는 건 넌센스아닌가요? 그러면 교정보는 수준의 저급한 감상문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잘 모르면 아는 척 좀 하지 마세요. 위키백과 수준의 상식을 누가 모릅니까? 다시 물을께요. 평점을 무슨 잣대로 매기나요?
 
다클리 - 미국 고딕의 검은 영혼
릴라 테일러 지음, 정세윤 옮김 / 구픽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점


4점   ★★★★   A-






미국의 작가 러브크래프트(H. P. Lovecraft) 에세이 공포문학의 매혹》(홍인수 옮김, 북스피어, 2012)은 이런 문장으로 시작된다.



 The oldest and strongest emotion of mankind is fear, and the oldest and strongest kind of fear is fear of the unknown.


 가장 오래되고 강력한 인간의 감정은 공포이며, 그중에서도 가장 오래되고 강력한 것이 미지에 대한 공포이다.

 

(홍인수 옮김, 9)



러브크래프트는 자신이 내린 공포의 정의에 부정할 심리학자는 거의 없을 거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 문장은 심리학자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인정한다우리는 정체를 알 수 없는 것을 마주치면 긴장한다. 긴장감이 팽팽해지면 공포감은 더 커진다러브크래프트가 생각한 미지의 존재는 예측하기 어려운 존재. 그들은 우리가 알지도 못하고, 어디에 속하지도 않은 영역 속에 있다미지의 존재가 의인화된 것이 괴물이다괴물로 알려진 존재는 공공의 적이 된다.


그런데 러브크래프트가 생각하지 못한 것이 있다. 그는 공포감을 불러일으키는 대상을 미지의 영역으로 한정시켰다. 우리가 괴물을 무서워하는 이유는 괴물의 정체를 모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지(旣知)의 존재,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존재 역시 괴물로 치환된다그 괴물은 우리의 일상에 가까이 있거나 때론 숨어 있기도 하다. 


고딕 소설(Gothic novel)은 공포문학의 초기 양식이다. 고딕은 하늘로 향해 뾰족하게 치솟은 첨탑이 있는 중세 시대의 건축물을 뜻하는 단어였다. 고딕 소설은 음산한 분위기를 풍기는 고딕 스타일의 건축물을 배경으로 한다. 고딕 소설의 주인공은 이곳에서 초자연적 현상을 경험한다. 러브크래프트는 공포문학의 매혹에서 고딕 문학의 계보를 설명하면서 앤 래드클리프(Ann Radcliffe)를 거론한다러브크래프트는 잔혹함과 공포를 불러일으키는 소설 속 장면을 효과적으로 묘사한 래드클리프의 필력을 극찬한다. 래드클리프는 결말에 가서야 등장인물들을 벌벌 떨게 만든 망령의 실체를 장황하게 설명하면서 밝힌다. 러브크래프트는 기괴한 환상을 와장창 깨뜨려버리는 작가의 글쓰기를 짜증 나는 습관이라고 표현하면서 비판한다. 러브크래프트는 래드클리프를 비판하면서 다시 한번 책의 첫 문장에 있는 공포의 정의를 상기시킨다.


그렇지만 러브크래프트가 생각하는 공포의 정의와 이를 반영한 비판적인 견해가 무조건 옳다고 볼 수 없다. 러브크래프트보다 먼저 태어난 래드클리프도 공포의 정의를 내렸다. 그녀는 공포의 본질적인 의미를 명백하게 보이는 잔혹성이라고 규정한다. 러브크래프트가 낯설고 불확실한 미지의 존재를 마주하면서 생기는 공포를 선호했다면, 반대로 래드클리프는 예측 가능한 기지의 존재의 행동을 볼 때 느껴지는 공포를 주목했다. 래드클리프가 창조한 망령은 처음에 보이지 않는 불확실한 존재였다가 실체가 드러나는 순간 ‘명백하게 보이는 존재가 된다. 따라서 우리와 가까운 명확한 존재도 괴물이 될 수 있다.


릴라 테일러(Leila Taylor)다클리: 미국 고딕의 검은 영혼》(Darkly: Black History and America’s Gothic Soul, 2019)1927년에 나온 공포문학의 매혹을 더 낡아빠진 책으로 만들어버린다. 재미있게도 테일러는 미국 고딕을 분석한 자신의 책에 단 한 번도 러브크래프트를 언급하지 않는다. 러브크래프트는 에드거 앨런 포(Edgar Allan Poe)와 함께 미국 공포문학의 양대 산맥으로 꼽힌다. 하지만 생전에 러브크래프트는 흑인을 무척 싫어한 인종차별주의자였다. 그는 흑인과 혼혈인이 미국을 세운 백인인 앵글로 색슨족(Anglo-Saxon)을 위협하는 존재로 인식했다. 그의 소설에 등장한 공포스러운 존재는 백인 중심 공동체의 평화를 파괴하는 사악한 인종으로 묘사되어 있다. 테일러가 러브크래프트의 인종 혐오를 까기 위해 의도적으로 배제한 것인지 알 수 없지만, 흑인을 ‘미국의 괴물로 보이게 만드는 미국 고딕을 비판한다.


흑인성(Blackness)은 흑인을 괴물로 만드는 데 적합한 여러 가지 설정을 담고 있다가난, 범죄, 마약 중독, 난잡한 성생활. 이 모든 것은 백인의 인종적 편견이 반영된 흑인성이다. 백인은 흑인성을 두려워했다. 일상적인 공포를 억누르기 위해 흑인을 멸시했고, 그들을 철저히 배제하는 정책을 만들었다. 과격한 백인 우월주의자들은 미국의 괴물을 집단 폭행했고 처형했다.


테일러는 흑인에 대한 백인의 두려움이 수백 년에 걸쳐 전략적 공포로 길러져 왔다고 말한다. 노예로 살아온 흑인은 자신을 가혹하게 대한 백인을 증오한다. 백인은 흑인에게 보복당할 수 있다는 막연한 두려움을 느낀다. 흑인의 피 한 방울이 섞이면 더러워진 백인의 피는 흑인의 피라고 믿는다. 흑인은 백인 사회에서 환영받지 못하는 보이는 괴물이 된다.


흑인을 차별하는 사회제도가 사라졌어도 흑인에 대한 암묵적인 차별과 공포는 여전히 백인들의 마음속에 남아 있다. 흑인과 백인이 아닌 다른 인종을 테러리스트나 야만적인 악마 숭배자로 묘사되는 영화는 계속 나오고 있다. 미국의 백인은 무서운 흑인’ 또는 ‘문란한 흑인 여성이라는 편견을 버리지 못한 것일까. 그들은 흑인 인어 공주의 등장을 달갑지 않게 여긴다. 심지어 백인에게 차별당한 아시아인들마저도 흑인 인어 공주를 비난하는 ‘반 흑인 여론에 동참하고 있다. 흑인 인어 공주를 원하지 않는 사람들은 인어 공주가 하얀 피부와 금발의 아름다운 백인으로 영원히 남길 바란다. 상상의 존재의 외모에서 느껴지는 아름다운 매력을 보호하기 위해서 백인성(whiteness)과 순혈주의를 내세우고 있다. 따지고 보면 인어는 인간과 물고기의 몸이 합친 괴물이다다른 인종의 피 한 방울도 섞이는 것을 싫어하는 순혈주의자들이 백인 여성의 피와 인간이 아닌 물고기의 피가 섞인 ‘잡종 괴물 인어 공주를 선호하고 있다니. 코미디에 가까운 모순이다.


다클리공포를 협소하게 정의한 러브크래프트의 한계를 반박하는 동시에 그가 공포문학의 매혹에서 다루지 못한 것을 보여준다. 미지의 존재에만 집착한 러브크래프트는 인종 차별주의가 반영된 흑인에 대한 전략적 공포를 외면했다. 미국의 소설가 랠프 엘리슨(Ralph Ellison)이 표현한 것처럼 백인은 자신들의 눈에 보이는 흑인을 투명 인간(Invisible Man)으로 취급했다. 여기에 테일러의 견해를 덧붙이면 흑인은 미국의 투명한 괴물’이. 백인은 흑인에 대한 공포감을 해소할 수 있다면 그들을 때려죽여도 되며 수상한 행동을 하면 총으로 쏴도 된다고 생각한다. 이렇듯 흑인을 억압하는 전략적 공포는 명백하게 보이는 잔혹성’에 해당한.


공포와 괴물의 정의는 시대가 변하면서 끊임없이 변주된다. 미국 백인 국민을, 미국 백인 국민에 의한, 미국 백인 국민을 위한, 말 그대로 순수한 미국 고딕과 공포 장르는 없다. 괴물을 분류하는 기준은 개인 또는 한 집단의 주관적인 판단과 편견이 뭉쳐진 이분법적 사고다. 이 비합리적인 기준을 해체하면 누구나 괴물이 될 수 있다. 순혈주의가 만든 고딕과 공포 장르는 불편하다. 자신을 가해자가 아닌 피해자로, 타자를 괴물로 몰아세우면서 공포를 즐긴다는 것 자체가 기이하면서도 더 무섭다.





※ 미주(尾註)알 고주(考註)



* 원서에 도판이 있지만, 번역본에는 모든 도판이 빠져 있다.

 

 


* 53




 

 9학년 때 영어 선생님이 오래된 포(E. A. Poe) 작품집을 주셨다. 오래전에 잃어버리기는 했지만, 붉은색 표지는 해지고 종이는 누렇게 변한 그 책을 약간 경외감을 가지고 받았던 건 기억난다. 비싼 건 아니었지만 그 낡은 책은 대형 서점에서 바로 산 것과는 달리, 대물림되거나 우연히 발견된 것처럼 특별하게 느꼈다. 갈까마귀’[주1]는 내가 처음으로 (그리고 유일하게) 암송한 시였다.



[1] 포의 시 ‘The Raven’까마귀(큰까마귀)’로 번역해야 한다. 갈까마귀의 영문명은 ‘Daurian jackdaw’. 큰까마귀와 갈까마귀는 학명도 다른 종이다.





* 58

 

 내가 어렸을 때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보지 않았다. 부모님은 내가 백마 탄 왕자/잠자는 숲속의 공주 같은 쓰레기에 세뇌되는 걸 원치 않았고 당시에 흑인 공주가 없었다. 월트 디즈니(Walt Disney)에 대해 처음 배운 사실은 그는 파시스트였다로 기억한다.[2] 어쨌든 나는 그런 종류의 판타지에 흥미가 없었다.

 


[2] 월트 디즈니와 관련된 음모론이 상당히 많다. 디즈니가 독일의 나치(Nazi)를 지원하는 반유대주의자라거나 백인 우월주의 단체인 KKK의 회원이라는 소문이 있다. 모두 억측일 뿐 사실이 아니다. 디즈니가 파시스트였다라는 주장 역시 근거 없는 소문이다.





* 203~204

 

 현대 폐허의 숭고함은 그것이 가진 상대적인 새로움에 있다. 옛 건물의 용도와 이력은 친숙하고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우리가 사는 세상이 먼지로 돌아갈 것이라는 데서 오는 매혹과 혐오 사이의 이분법을 만들어 낸다. 우리는 우리 자신이 무너져 가는 모습을 본다. 우리는 우리 자신의 죽음을 바라보고 있으며, 사진, 폐허 포르노 웹사이트, 다큐멘터리, 공포 영화를 통해 우리 자신의 장례식을 애도하는 사람이 된다. 이렇게 문명의 종말을 흘낏 보는 것에는 묵시록 이후의 세상을 맛본다는 음침한 즐거움이 있다. 유진 태커(Eugene Thacker)는 이같이 모호한 구역을 우리 없는 세상(world-without-us)”이라 불렀다.[주3] 이는 인간 없는 세상, 인간이 하찮은 존재가 된 장소는 어떻게 될 것인지 살짝 엿보는 것이다.

 


[3] 우리 없는 세상”이라는 용어는 유진 새커의 저서 이 행성의 먼지 속에서: 철학의 공포(김태한 옮김, 필로소픽, 2022)에 나온다.






* 220




 

 외계인에서 복제된[주4] 인간들이 지구를 지배하게 될 게 명백해지고 진짜 인간 생존자들은 몇 안 남은 상황에서 복제인간에 대항하는 유일한 방법은 깨어 있는 것뿐이었다.



[4] 오자. 외계인에게 복제된



댓글(7)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2-10-10 14:4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지배자의 입장에서 타자를 가혹하게 억압한 경험은 그 지배자에게는 타자의 저항에 대한 공포가 내재되어 있을거 같아요. 그런 공포를 지배자 - 백인들은 흑인을 괴물로 나타내는 것으로 또 해소하는거겟죠. 미국 문화에 대한 또 다른 측면을 볼 수 있는 책일듯하여 흥미가 갑니다.

cyrus 2022-10-15 11:41   좋아요 1 | URL
네, 이 책의 주요 내용을 잘 말씀하셨어요. ^^

청아 2022-10-10 16:3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자신과 비슷한 것에 대한 질투도
마찬가지일까 생각해봅니다.
어쩌면 나와 비교 할 수 있는
대상을 질투하고 혐오하는 것일지 모른다고요.^^

cyrus 2022-10-15 11:44   좋아요 1 | URL
맞아요. 상대방의 약점이 내 약점과 비슷하다면 애써 그 상대방과 비교해서 그를 깔보려고 하죠. 그러면 내 약점이 사람들의 눈에 덜 띄게 되죠. ^^;;

2022-10-10 16:3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10-15 11:5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10-15 14:09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