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찬용의 아트 내비게이션 - 대한민국 1호 도슨트가 안내하는 짜릿한 미술사 여행
김찬용 지음 / arte(아르테) / 2021년 1월
평점 :
품절






평점


3.5점  ★★★☆  B+






미술 입문자는 그림을 어떻게 봐야 할지 몰라서 갈팡질팡한다. 그들은 미술이라는 이상한 세계에서 헤매는 앨리스(Alice)와 비슷한 처지에 있다앨리스는 나뭇가지 위에 앉아서 웃는 체셔 고양이(Cheshire cat)를 만난다. 그녀는 고양이에게 어느 길로 가야 하는지를 묻는다.




* 루이스 캐럴,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이소연 옮김, 펭귄클래식코리아) 중에서, 182

 


앨리스: 죄송하지만 제가 여기서 어느 길로 가야 하는지 말씀해 주실 수 있나요?


체셔 고양이: 그건 네가 어디에 가고 싶은 건지에 따라 크게 달라지지.


앨리스: 어디든지 저는 별로 상관없어요.


체셔 고양이: 그러면 어느 길을 가든 문제없어.




앨리스와 체셔 고양이의 대화는 독자에게 자유와 용기, 모험을 독려하는 메시지로 읽을 수 있다. 남들의 시선에 구애받지 않는 자유로운 마음과 용기만 있으면 누구나 그림을 보고 즐길 수 있다. 그림을 보는 것은 눈으로 캔버스에 들어가 모험을 하듯이 자유롭게 즐길 수 있는 행위다. 14년 차 전시 해설가가 쓴 김찬용의 아트 내비게이션미술에 관심 있는 애호가나 미술에 다가서고 싶은 입문자를 위한 교양서. 저자는 이상한 미술 세계의 앨리스들에게 편안하게 그림을 감상하라고 권한다.



* 29

 

 미술관에서 작품을 안내하거나 강단에서 미술 관련 강의를 하다 보면 미술사 공부를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지 질문을 받곤 합니다. 이 질문에 저는 한결같이 답변하죠. 어디든 상관없으니, 좋아하는 데부터 시작하면 된다고 말입니다


 

저자는 미술을 좋아하는 만큼’ 그림이 보인다고 말한다. 그동안 미술 입문자들은 그림,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구절을 만나면 기가 죽었다. 미술사를 알아야 그림이 보인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그렇지만 저자는 자신만의 관점으로 그림을 감상하는 태도가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아트 내비게이션이 된 저자는 어려운 용어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인상주의, 야수파, 입체주의, 개념미술, 현대미술을 안내한다인상주의는 미술을 본격적으로 이해하는 데 부담 없이 시작할 수 있는 미술사조다. 그렇지만 그림을 볼 용기가 있으면 저자의 안내를 따르지 않아도 된다미술 세계를 모험하는 일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그림에서 시작하면 된다.


김찬용의 아트 내비게이션은 미술이 무엇인지 감이 안 잡히는 사람에게 유용한 책이. 하지만 부족한 점도 있다. 이 책에 언급된 여성 예술가는 총 여섯 명이다. 베르트 모리조(Berthe Morisot), 메리 카사트(Mary Cassatt), 신디 셔먼(Cindy Sherman), 니키 리(Nikki S. Lee), 트레이시 에민(Tracey Emin), 세라 루커스(Sarah Lucas). 저자가 비중 있게 소개한 예술가는 신디 셔먼과 니키 리다. 나머지 네 명은 이름만 언급되었다. 호기심이 많은 독자와 미술 애호가는 그들이 누군지 알아보려고 한다그러나 대다수는 전시 해설가의 안내에 열중하기 때문에 예술가 이름을 그냥 지나치기 일쑤이다. 예술가 약력이 없는 저자의 안내가 아쉽다. 이름만 언급된 남성 예술가들도 있다. 책에 이름만 나온 예술가들이 누군지 간략히 알려주는 주석이나 인명사전 형식의 부록이 있었으면 좋았을 것이다.


저자는 1911년에 일어난 모나리자도난 사건에 대한 비화를 알려주는데, 그는 파블로 피카소(Pablo Picasso)가 절도 용의자로 지목되었다고 말한다.



* 24


 당시 20세기 천재 예술가로 이름난 파블로 피카소가 용의자 중 하나로 지목되었기에 언론에서도 대대적인 보도가 이어지며 중요한 이슈로 떠올랐다고 합니다. 시인 기욤 아폴리네르(Guillaume Apollinaire)의 비서가 루브르 박물관에서 훔친 이베리아 조각상을 아폴리네르의 친구였던 피카소에게 팔았고, 이러한 이력이 발각되면서 피카소가 <모나리자> 도난 사건의 용의자로 몰렸던 거죠.

 사건 발생 28개월 만에 이탈리아 출신의 빈센초 페루자가 진범으로 밝혀졌고 <모나리자>는 다시 루브르 박물관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피카소 역시 누명을 벗게 되었고요.



이 이야기에 중요한 사실이 하나 빠졌다. 실제로 모나리자도난 사건 용의자로 지목된 사람은 피카소와 아폴리네르였다. 피카소는 용의자로 의심만 받고 금방 풀려났지만, 아폴리네르는 부당한 판결을 받아 억울하게 6일 동안 옥살이를 했다. 다행히 그도 누명을 벗었다. 하지만 언론은 아폴리네르를 불법 체류자라고 주장하는 악의적인 기사를 냈으며, 실제로 파리 경시청은 아폴리네르의 추방을 논의하기도 했다아폴리네르는 비서를 잘못 만나는 바람에 인생이 한 번 꼬이고 말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1-03-21 21:2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그냥 좋아하는 것에서 시작할 수는 있지만 더 좋아하게 되려면 역시 선생님들의 안내가 필요하더라구요. ^^ 그래서 이런 책들이 끊임없이 출판되는 거겠죠.

cyrus 2021-03-24 10:10   좋아요 0 | URL
미술 입문자가 자전거를 처음 타기 시작한 아이라면, 도슨트는 그 아이를 도와주는 부모와 같다고 생각해요. 처음에는 도슨트의 안내에 의지해야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미술이 점점 좋아지면 혼자서 즐길 수 있어요. ^^
 



어린이라는 세계를 읽었을 때 내가 좋아하는 화가의 그림들이 보고 싶어졌다그 화가가 세상을 묘사하는 방식은 어린이가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과 비슷하다.

















* 김소영 어린이라는 세계(사계절, 2020)




* 어린이라는 세계, 한 명은 작아도 한 명중에서, 200

 


 만일 어린이가 보는 방식으로 보고 싶다면 내가 작아지는 것보다 주변의 모든 것이 커진다고 상상하는 쪽이 낫다




어린이는 주변 사물을 실제보다 크게 보는 성향이 있다. 어린이라는 세계를 쓴 저자 김소영은 어린이의 부풀리기는 무시할 수도, 웃을 수도 없는 매력이 있다고 말한다(24). 앞서 내가 언급한 화가는 사물과 모델을 크게 그렸는데, 상당히 어설퍼 보여도 그 그림에도 나름 무시할 수 없는 매력이 있다이 화가의 정체는 앙리 루소(Henri Rousseau).



























[e-Book, 밀리의 서재]

* 김정일 엮음 내 손 안의 미술관, 앙리 루소(피치플럼, 2020)

 

[품절]

* 앙겔라 벤첼 앙리 루소: 붓으로 꿈의 세계를 그린 화가(RHK, 2006)

 

* 코르넬리아 슈타베노프 앙리 루소(마로니에북스, 2006)

 

* 재원 편집부 엮음 앙리 루소(재원, 2005)

 

* 오승우 엮음 루소(서문당, 1994)

 



루소는 1844년에 가난한 양철공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중학생 시절에 데생과 성악으로 상 받은 일을 제외하면 딱히 특출한 학생이 아니었다. 집안 형편이 너무 어려워서 미술교육을 받지 못했다루소는 처가의 소개로 세관 공무원이 되어 일했다. 비록 하급 관리직이었지만, 한가한 시간이 많았다루소는 쉬는 시간에 그림을 그렸다그가 주로 그림을 그린 날은 일요일이다. 그래서 루소를 일요일의 화가라고 불린다전업 화가가 되려면 미술학교에 입학하거나 미술관 출입 허가증이 있어야 한다. 미술관 출입 허가증이 있으면 미술관에 전시된 거장들의 작품을 모사할 수 있다. 하지만 아마추어 화가 루소는 일을 포기할 수 없어서 미술을 제대로 배울 기회를 미뤘다. 25년 동안 세관원에 근무한 루소는 본격적으로 전업 화가가 되기 위해 49세에 일을 그만두었다. 미술관 출입 허가증을 받았지만, 매달 나오는 연금만으로는 미술학교에 다니면서 생활할 수 없었다. 루소는 생계를 이어가기 위해서 ‘N잡러(여러 직업을 가진 사람)가 되었고, 화실에서 어린이들에게 음악과 미술을 가르치기도 했다







학자들은 파리의 온실 속에 있는 열대 식물이 루소의 그림에 영향을 주었다고 말한다. 실제로 루소는 온실을 자주 방문했으며 상상력을 가미해서 실제로 가보지 않은 열대우림을 그렸다. 그렇지만 나는 화실에서 어린이들과 함께 지낸 시간도 루소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한다. 루소는 그림을 그리는 어린이들이 사물을 어떻게 바라보면서 묘사하는지 관찰했을 것이다.















원근법을 모르는 어린이는 자기가 보는 그대로 대상을 그린다. 또 대상을 보면서 느낀 것을 꾸밈없이 그린다. 따라서 어린이의 그림에 있는 대상은 실제와 거리가 먼, 단순한 형상이다. 어린이의 그림에는 어린이 특유의 부풀리기단순함이 공존한다. 이 두 가지 특징은 루소의 그림에도 나타난다. 그래서 사람들은 원근법을 무시하고, 모델을 실제보다 크게 또는 작게 그린 루소의 그림을 이해하지 못했다.


루소의 그림 솜씨가 서투르다고 무시하지 마시라. 루소는 자신보다 실력이 뛰어난 동료 화가에게 경쟁심을 느끼기로 유명한 파블로 피카소(Pablo Picasso)가 인정한 화가이다. 피카소는 자신의 화실에서 루소를 위한 성대한 연회를 열었다. 연회의 이름은 루소의 밤이다. 이 연회에 참여한 사람들은 루소와 피카소가 친하게 지낸 젊은 문인과 예술가들이다. 기욤 아폴리네르(Guillaume Apollinaire), 마리 로랑생(Marie Laurencin), 조르주 브라크(Georges Braque), 거트루드 스타인(Gertrude Stein) 등이 루소를 찬양하기 위해 연회에 참석했. ‘루소의 밤은 루소가 세상을 떠나기 2년 전에 열렸다. 그날 밤은 루소가 화가로서 긍지를 제대로 느낀 최고의 순간이었다.


서양미술을 알고 싶은 사람에게 가장 먼저 추천하고 싶은 화가는 앙리 루소다. 루소의 그림은 단순해서 좋다. 그의 그림을 보면서 왜 저렇게 그렸는지 해석할 필요가 없다. 어린이가 보는 방식으로 루소의 그림을 감상하면 그림 속 세상이 유치하다기보다 색다르게 느껴진다.






교열 보이 cyrusMini 미주알고주알

 


* 루소(서문당), 28: 도로네

* 루소(서문당), 35: 로벨로 도로네

 

로베르 들로네(Robert Delaunay)

* 루소(서문당), 46: 막스 자곱 

막스 자코브(Max Jacob)


* 루소(서문당), 46: 도루드, 스타인 

거트루드 스타인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파랑 2021-03-18 11:3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어린이가 보는 방식‘에 대해 처음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좋은 지식 습득~! 감사합니다^^

cyrus 2021-03-18 14:08   좋아요 1 | URL
별말씀을요, <어린이라는 세계>를 읽고 나서 잊고 있었던 과거의 내 모습이 어땠는지 되돌아볼 수 있어서 좋았어요. ^^
 





어제 공개한 에드워드 O. 윌슨(Edward Osborne Wilson)창의성의 기원에 대한 서평의 분량이 많아져서 그 글에 언급하지 못한 내용이 있다. 윌슨은 창의성의 기원에서 인문학과 과학의 통합(통섭)이 이루어지면 새로운 계몽 운동이 일어나 활기를 잃은 인문학이 부흥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 에드워드 윌슨 창의성의 기원: 인간을 인간이게 하는 것》 (사이언스북스, 2020)




17~18세기 유럽 사상가들이 이성의 힘으로 구습을 타파하는 계몽 운동을 일으켰다면 새로운 계몽 운동은 과학의 힘으로 인문학의 한계(윌슨의 견해에 따르면 현재 인문학은 극심한 인간중심주의에 빠져 있다)를 보완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레드스타킹 2021년 첫 번째 필독서]

* 마리아 미스, 반다나 시바 에코페미니즘(창비, 2020)

 

[절판]

* 캐롤린 머천트 자연의 죽음(미토, 2005)




오래전부터 계몽주의 사상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이를 넘어서려는 목소리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마리아 미스(Maria Mies), 캐럴린 머천트(Carolyn Merchant)와 같은 생태주의 여성학자들이 바라보는 17~18세기 계몽 운동은 극심한 백인 남성중심주의가 지배한 사조다계몽 운동의 등장에 탄력을 받은 백인 남성 중심의 가부장제 자본주의 체제는 자연과 여성을 식민화 대상으로 취급하여 착취한다. 에코페미니즘의 공동 저자 중 한 사람인 마리아 미스가 그 책에 실린 자신의 글에 여러 차례 인용한 문헌이 캐럴린 머천트의 저서 자연의 죽음이다.


나는 책을 읽을 때 시시콜콜한 것까지 의심하고 따져본다. 다음 문장은 창의성의 기원에서 인용했는데 책을 보는 독자에게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창의성의 기원》 106~107

 

 실험적인 미술과 비평이라는 온실 기후에서 별난 하위문화가 갑작스럽게 제멋대로 싹트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 잘 가꾼 잔디밭에서 대담하게 버섯과 민들레가 자라나는 것과 비슷하다. 그것들 자체는 일관적인 설명을 거부한다. 다다이즘, 극사실주의 토마토 수프 깡통, 포스트모던 철학과 문학, 헤비메탈과 무조 음악이 그렇다.


[원문]

 

 In the hothouse climate of experimental arts and criticism, it is not  surprising that bizarre subcultures sprout abruptly and randomly, like courageous mushrooms and dandelions on an otherwise well-tended lawn. They defy coherent explanation itself: Dadaism, hyper-realistic cans of tomato soup, postmodernist philosophy and literature, heavy metal and atonal music.



현대미술에 관심이 있는 독자라면 토마토 수프 깡통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눈치챘으리라. ‘토마토 수프 깡통팝 아트(pop art)의 대가 앤디 워홀(Andy Warhol)의 대표작 중 하나인 캠벨(Campbell) 수프 통조림시리즈를 말한다.







워홀은 미국의 대중문화에 미술을 슬쩍 걸침으로써 한 시대를 풍미한 예술가다. 자신이 즐겨 먹은 캠벨 수프 통조림부터 시작해서 인기 연예인의 얼굴기성품, 심지어 자신의 모습까지 실크스크린(silk screen) 기법으로 종이 또는 캔버스에 옮겼다. 실크스크린은 짧은 시간 안에 대량의 이미지를 만들 수 있는 판화 기법이다. 하나의 이미지를 복제하는 워홀의 제작 방식은 그가 예찬한 자본주의적 생산 방식과 흡사하다팝 아트가 태동하기 시작한 미국은 날이 갈수록 비대해지는 자본주의 제국이었다. 공장을 짓고, 제품을 대량 생산했다. 여기에 맞춰 대중은 공장에서 생산한 제품들을 소비했다대중이 문화를 소비하는 주체가 되면서 고고한 상류층만 즐기던 고급문화는 철 지난 문화로 전락한다. 상업성과 대중성을 추구하는 팝 아트는 기존 예술의 엄숙주의를 거부한다.
















* 강홍구 앤디 워홀: 거울을 가진 마술사의 신화》 (재원, 1995)



평점

3점  ★★★  B




워홀과 관련해서 지금 내가 가지고 있는 책은 얇은 분량으로 된 앤디 워홀 뿐이다. 이 책을 쓴 강홍구는 서양화를 전공한 중견 사진작가다. 그는 워홀의 실크스크린 작품을 사실주의로 볼 수 없다고 말한다. 



앤디 워홀》 73

 

 워홀의 사진 이미지 실크스크린 작품들은 리얼리즘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지만 본질적으로 리얼리즘이 아니며 심지어 리얼리즘의 한 단면도 아니다. 왜냐하면 워홀의 작품이 갖는 리얼리즘은 일어난 사건 자체가 진짜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사진을 이미지로 옮긴다는 점에서 획득된 것이기 때문이다.



워홀의 예술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좀 더 알아봐야겠지만, 워홀의 토마토 수프 깡통은 극사실주의로 볼 수 없다고 잠정 결론을 내린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1-03-17 10:55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앤디 워홀이 극사실주의라뇨. 저도 당연히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앤티 워홀은 자연을 그대로 표현할려고 한 작가가 아니라 우리가 예술에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 상위/하위 문화의 경계의식 같은 인간의 통념이나 경계를 파괴하고자 한거지 자연을 사실적으로 표현할려고 작품을 만든게 아니잖아요. ^^

cyrus 2021-03-17 11:01   좋아요 1 | URL
제 글에서 언급하지 못한 내용을 바람돌이님이 잘 말씀하셨어요. ^^
 



자화상은 외모만을 그리는 그림이 아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것, 즉 자신의 내면을 악착스럽게 확인하기 위한 그림이다. 자화상을 그리려는 화가는 거울로 자신의 외모를 보고, 거울에 드러나지 않은 자기 내면을 살핀다자신의 진짜 얼굴을 보는 행위는 구체적인 삶의 이력과 솔직한 욕망을 발견하는 일이다


화가는 자기 내면에 있는 욕망과 자의식을 캔버스에 표출한다. 동시대인들이 알려고 하지 않은 자신의 진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래서 자화상은 한 인간이 살아온 과정을 집약한 역사책이다. 관람자는 자화상에 남은 화가가 살아온 자취를 읽는다. 그리고 자화상은 자신의 내면을 확인하고 싶은 누군가를 위한 거울이 된다관람자는 자화상을 향해 질문을 던진다. “거울아, 거울아. 너는 누구니? 나도 너처럼 될 수 있을까?”

 



















* 유성애 철학자의 거울: 바로크 미술에 담긴 철학의 초상(미진사, 2021)




17세기 바로크 시대의 화가들은 거울을 든 철학자 그림을 그렸다. 철학자의 거울은 바로크 시대에 유행한 철학자 그림 속에 반영된 화가들의 관심사를 들여다본 책이다. 저자는 바로크 화가들이 철학자를 그린 이유를 살펴보면서 남성 철학자그림이 많은 것에 의문을 제기한다. 천국과 지옥을 상상하면서 그린 남성 화가들은 왜 여성 철학자를 그리지 않았을까? 철학자 그림에 묘사된 여성은 철학을 이해 못 하는 존재, 또는 철학자를 방해하는 치명적인 유혹자다남성 화가들은 여성에 대한 편견이 반영된 전통을 답습했다.
















* [절판] 주디 시카고, 에드워드 루시 스미스 여성과 미술: 열 가지 코드로 보는 미술 속 여성(아트북스, 2006)




페미니즘 미술을 대표하는 예술가 주디 시카고(Judy Chicago)는 르네상스 시대의 완벽한 남성상은 영혼의 거울이 될 수 있는 사람이었다고 말한다. 거울을 든 남자는 항상 생각하고 글을 쓰는 철학자 이미지와 부합한다. 주디 시카고와 함께 여성과 미술》(Women and Art: Contested Territory, 1999)을 집필한 미술평론가 에드워드 루시 스미스(Edward Lucie-Smith)알몸으로 거울 앞에 앉아 화장에 열중하는 여자의 모습을 그린 그림에 남성 중심적 시선이 반영되었다고 지적한다남성 화가가 묘사한 거울을 보는 여성은 자신의 아름다운 외모를 가꾸는 데 열중한다. 특히 거울을 보는 늙은 여성은 젊음과 아름다움에 대한 선망에 집착하는 존재로 해석되기도 한다.

















* 프랜시스 보르젤로 자화상 그리는 여자들: 여성 예술가는 자신을 어떻게 보여주는가》 (아트북스, 2017)




하지만 여성 화가들은 남성 화가들의 낡은 전통을 답습하지 않았다. 여성 화가들은 독창적인 자화상을 그려왔다. 여성과 미술에 언급된 프랜시스 보르젤로(Frances Borzello)<우리 자신을 바라보다: 여성의 자화상>(Seeing Ourselves: Women’s Self-Portraits, 1998)은 주목받지 못한 여성 미술가들의 자화상을 소개한 책이다. 이 책은 자화상 그리는 여자들이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었다.








* 김정희, 권지현, 이도, W.살롱 커뮤니티 참여자들 W.살롱 에디션 Vol. 4: WANT_욕망하고 있네》 (tampress, 2021)


평점

4.5점   ★★★★☆   A




* 김정희, 권지현, 이도, W.살롱 커뮤니티 참여자들 W.살롱 에디션 Vol. 1: 밥_신화를 걷어내다》 (tampress, 2020)



※ 《W.살롱 에디션 Vol. 1: 밥_신화를 걷어내다서평

https://blog.aladin.co.kr/haesung/12413249





지난달에 대구의 출판 스튜디오 ‘tampress’에서 발간된 W.살롱 에디션 Vol. 4: WANT_욕망하고 있네글로 쓴 자화상이다이 책을 만들고 편집한 김정희 작가는 이 책의 머리말에서 를 향한 야망과 욕망을 꺼냈다고 말한다작가의 야망과 욕망은 물질적인 것이 아니요, 이기적인 것도 아니다. 내가 원하는 것, 내가 정말로 하고 싶은 것이다. W.살롱 에디션 Vol. 4집필에 참여한 글쓴이들은 자신의 욕망이 무엇인지 스스로 질문하면서 탐색한다그러면서 여성이라는 명사에 타인이 부여한 욕망의 의미를 해체하고 거부한다. 특히 권지현 작가는 여성의 욕망이 성적 욕망으로 귀결되는 인식을 비판한다이도 작가는 단편 소설 결국 하지 못한 말에서 ’, ‘아내’, ‘엄마라는 역할에 갇혀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하지 못한 중년 주부의 모습을 그린다. 소설 속 주부는 여성의 야망과 욕망을 일탈로 바라보던 구시대가 만든 슬픈 자화상이다. 이야기의 화자인 주부의 딸은 욕망을 숨긴 어머니의 슬픈 자화상자신이 무얼 원하는지 잘 아는 진짜 자화상으로 탈바꿈하기 위해 나선다.


주디 시카고는 여성 미술가들의 그림이 생명줄과 같았다고 말했다. 여성 미술가의 자화상은 주디 시카고에게 여성도 미술가가 될 수 있다는 확신을 심어주었다. 그는 여성 미술가의 그림을 거울로 삼아 자기 자신의 욕망을 발견했다. W.살롱 에디션 Vol. 4에 실린 글(이 된 자화상)은 타인의 방해를 받지 않고 욕망을 분출하고 싶은 여성을 위한 거울이자 생명줄이 되어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철학자의 거울 - 바로크 미술에 담긴 철학의 초상
유성애 지음 / 미진사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점


4.5점   ★★★★☆   A






영국의 철학자 버트런드 러셀(Bertrand Russell)1912년에 발표한 책 ‘The problems of philosophy’는 국내에 철학이란 무엇인가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었다. ‘철학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철학을 본격적으로 공부하기에 앞서 철학의 정의를 살펴보게 만드는 기본적인 주제이기도 하다지금까지 러셀을 포함한 철학자들은 자신이 생각한 철학의 정의를 밝혔다.


철학자의 거울철학자는 누구인가라는 제목(또는 부제)을 붙여도 되는 책이다철학자를 실제로 만나본 적이 없는 사람은 철학자의 정의를 떠올리지 못한다철학자의 거울을 쓴 저자 유성애는 철학을 전공했으며 15년 전부터 예술과 관련된 공부를 해오고 있다철학자는 누구인가는 인간이 누구인지 알고 싶어하던 철학자들도 하지 않은 질문이다하지만 아무도 궁금해하지 않는 질문을 한 사람들이 있었다그들은 바로 17세기에 활동한 화가들이었다.


17세기는 바로크(baroque) 시대. 이 시기에 활동한 화가들은 거지 철학자(beggar philosopher)’ 그림을 즐겨 그렸다거지 철학자로 가장 많이 묘사된 인물은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디오게네스(Diogenes)디오게네스는 키니코스학파(Cynics, 견유학파)에 속한 철학자다. 그는 떠돌이 개처럼 자유로운 생활을 했으며 나무통 속에 살았다. 디오게네스의 동시대인들은 그를 괴팍한 거지라고 비웃었다. 하지만 17세기에 들어서면서 디오게네스는 세습적인 욕망에서 완전히 자유로운 인간상으로 주목받는다그림 속 철학자는 인간다운 삶을 살아왔던 존재이다바로크 시대 사람들은 철학자를 존경했으며 그들처럼 살고 싶어 했다. 그들은 화가에게 자신의 소망이 반영된 그림을 제작해달라고 부탁했다. 화가는 주문자가 바라는 대로 철학자의 초상화 또는 철학자 옆에 있는 주문자의 초상화를 그렸다.


철학자로 분장한 자신의 모습을 그린 화가들도 있다. 자화상에 자신의 지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싶은 화가의 개인적인 소망이 투영되어 있지만, 실제로 몇몇 화가는 인문주의자들과 대화를 나눌 수 있을 정도로 철학에 관심이 많았다화가는 철학자가 되지 못해도 철학이 무엇인지는 알고 있었다. 17세기 화가들이 그린 철학자는 누군가에게 진리를 가르치려고 하는 직업인이 아니다. 진정한 자기 자신의 모습을 확인하기 위해 계속 고민하고, 반성하는 인간이다. 그래서 그림 속 철학자의 모습은 후줄근하다


철학자의 거울은 독자에게 철학적인 모험을 부추긴다. 그 모험은 평생 치러야 할 조용한 전투와 같다. 진짜 나를 찾기 위해 외부 세계와 맞서 싸워야 하고끊임없이 성찰해야 하기 때문이다. 저자는 자신의 책을 모험기라고 했다. 그는 질문이 철학자의 무기라고 말한다. 그는 자신을 위해 무기를 사용한다. 철학자 그림을 거울로 삼아 글을 쓰면서 자신의 진짜 모습을 찾기 위한 질문을 던진다. 이런 게 바로 문행일치(文行一致)’.






Mini 미주알고주알

 

 

* 250

 

 아름다움의 여신 비너스와 세 우아미[]가 함께하고 있다. 아글라이아(Aglaea), 에우프로쉬네(Euphrosyne), 탈리아(Thalia).

 

 

[] 아글라이아, 에우프로쉬네, 탈리아는 비너스(Venus)의 시중을 드는 우미(優美)의 여신들이다. 이 세 사람을 가리켜 카리테스(Charites)’ 또는 삼미신(The Three Graces)’이라고 부른다.





* 260


 신체 차이가 남성과 여성을 구분 짓는 절대적 척도일까? 리베라의 작품 속 인물은 남녀의 경계를 무너뜨린다. 벗겨진 이마, 검고 긴 수염으로 덮인 얼굴은 영락없는 남자다. 하지만 수염 아래로 여성의 젖가슴이 드러나 있다. 반인반마(伴人半馬), 켄타우로스[]를 보는 듯하다.

 


[] 그리스 신화에서 양성(兩性, 남녀추니)을 상징하는 인물은 헤르마프로디토스(Hermaphroditus). 그리스 신화에 남성의 상반신과 말의 하반신으로 이루어진 켄타우로스(Centaur)가 많이 등장하지만, 여성 반인반마도 있다. 이들을 켄타우리데스(Centaurides)라고 부른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미 2021-03-15 09: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일단 버트런트 러셀의 책을 주섬주섬 담아가렵니다ㅋㅋ

cyrus 2021-03-15 14:26   좋아요 0 | URL
러셀의 책을 읽지 않았지만, <철학자의 거울>이 러셀의 책보다 읽기 쉬운 책이에요. <철학자의 거울>의 전체적인 내용도 좋아요. ^^

미미 2021-03-15 14:33   좋아요 1 | URL
아하! 그렇다면 읽기 쉬운 <철학자의 거울>을 우선순위로 찜요! 어려운책은 당분간 피할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