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윤리를 말하다 - 유전학적으로 완벽해지려는 인간에 대한 반론
마이클 샌델 지음, 강명신 옮김 / 동녘 / 2010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생명의 윤리를 말하는 것보다 윤리의 생명을 말하는 것이 앞서지 않을까? 윤리란 인간의 윤리이기 때문에 인간을 바라보는 입장에 따라 그 양태가 변화하며 그 생명이 결정된다. 그렇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고대와 중세, 근대 그리고 현대의 윤리적 입장들이 커다란 변화를 겪을 수 밖에 없었다. 그렇다면 샌델의 윤리적 입장은 어떤가? 나는 이 짤막한 책을 읽으면서 몇 가지 비판적인 의문을 품게 되었다.

샌델의 핵심 논변은 인간의 삶이란 ‘선물로 주어진 것이기 때문에’ 타인의 조작을 허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자신의 논변이 종교의 영역으로 한정 지을 수 없다고 강변한다. 이러한 생각은 ‘세속적’으로도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나는 이러한 주장에 의문이 든다. 이러한 생각은 ‘통념적’인 것은 될 수 있어도 ‘탈 종교적’이라는 의미에서 ‘세속적’이라고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꼭 신이 아니더라도 자연이 인간에게 삶을 준 이상 생명에 대한 경건한 마음을 가져야 한다고 샌델은 생각하지만 자연이란 그저 물질과 에너지의 집합체라고 생각하는 다니엘 데넷과 같은 자연주의적 다윈주의자에게 그런 입장은 자연을 신격화하는 우상 숭배로 여겨질 것이다.

샌델은 우생학을 반대한다. 그것을 본질상 타인의 조작을 허용하지 않는 인간의 자유에 대한 중대한 도전이라 여기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질문이 역으로 가능하다. -인간은 과연 자유로운 존재인가? - 인간이 자유의지를 지닌 존재라는 서구 자유주의 철학의 기본 가정은 존 그레이가 지적하듯이 기독교 전통에서 기원한 것이다. 오히려 벤자민 리벳의 고전적인 연구처럼 현대 과학은 인간에게 자유 의지가 없다고 주장한다. 또한 인간이 자기결정적인 주체라는 인식은 언어가 만들어낸 효과이라는 것이 현대 구조주의 사상의 주된 요점 중 하나이다. 그렇다면 유전자 조작은 인간의 자유를 도전하지 않는다. 애당초 자유는 없기 때문이다.

인류는 다른 동물에 대해서는 거리낌없이 우생학적 수단을 사용한다. 인류는 자신의 필요를 위해 가축들을 품종 개량하는데 수많은 노력을 투자하며 그것을 당연시한다. 그러나 인간을 ‘품종 개량’하는 것은 죄악시한다. 과연 무엇이 다른가? 샌델의 책은 그러한 시도가 인간의 존엄성을 파괴한다는 것을 입증하려는 열망에 찬 저술이다. 그러나 다윈이 알려준 사실은 인간 역시 다른 동물과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인간의 이성이나 감성에서 인간의 (타 동물 종에 대한) 우월성의 기반을 찾으려는 시도는 스티븐 제이 굴드가 설득력 있게 논구하듯이 다윈주의의 함축과 충돌할 수 밖에 없다.

결국 문제는 인간관이다. 샌델이 전제하고 있는 인간관은 근대 서구 휴머니즘의 인간관이다. 서구 근대 휴머니즘의 인간관은 다음과 같다. ‘인간은 고귀한 존재다. 자유로우며 이성을 지녔으며 따라서 다른 동물에 비해 본질적으로 우월하다.’ 존 그레이가 지적하듯이 이러한 입장은 기독교의 잔재 속에서 형성된 유사 종교일 뿐이다. 니체나 다윈, 프로이트 등이 그려내는 인간 상은 이런 입장을 더 이상 허용하지 않는다.

나 역시 우생학에 찬성하지 않는다. 그리고 유전자 조작을 통해 후손을 만들어내는 것에 대해 불쾌감을 느끼고 있다. 샌델 역시 이러한 불쾌감의 근거를 분석하려는 마음에서 이 책의 저술을 기획하게 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나는 유전자 조작을 반대하는 샌델의 논변에 상당한 결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느끼는 불쾌감의 정당함을 논증하려는 시도는 올바른 근거 위에 서있어야 한다. 따라서 우리는 이 책에 담긴 논변에 만족해서는 안 된다. 이보다 더 넓게, 그리고 더 깊게 사유하는 지적 모험을 시작해 나가야만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을 옹호하다 - 마르크스주의자의 무신론 비판
테리 이글턴 지음, 강주헌 옮김 / 모멘토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적 기독교가 아닌 근대 이후의 주류 신학계가 행한 기독교 해석의 옹호일 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트겐슈타인 규칙과 사적 언어
솔 크립키 지음, 남기창 옮김 / 철학과현실사 / 200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참으로 감탄이 나오는 책이다. 비트겐슈타인 사상의 주요한 주제를 구석구석 상세하고 심도 깊게 풀어나가는 책이다. 또한 매우 명료하다. 비트겐슈타인을 더욱 사랑하게 되었다. 다른 철학자를 해석하는 것 또한 매우 독창적인 작업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여지없이 보여준 걸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완전한 진리
낸시 피어시 지음, 홍병룡 옮김 / 복있는사람 / 200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단 제가 이 책을 완독하고 느낀 것은 이 책의 행간 곳곳에서 자연신학의 망령이 배회하고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낸시 피어시가 이원론을 극복하는 도구로 지적 설계를 끌어들이면서 마치 지적 설계가 기독교를 확증하는 것처럼 말하며 무신론자에서 유신론자로 전향한 앤터니 플루를 언급하고 있습니다만, 사실 플루는 기독교인이 된 것이 아니라 이신론자가 된 것이지요.

더군다나 피어시는 마치 불신자가 자신의 모순율로 다양한 세계관 중에서 적합한 세계관을 선택할 수 있는 것 처럼 말하는데 이건 반틸이 가장 강력하게 반대하는 방식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된다면 그 순간 기독교는 자연주의의 수준으로 떨어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예컨데 월터스토프가 하나님의 무시간성과 시간성을 이해하지 못하고 배격하는 것처럼...

그리고 가장 이 책에서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은 피어시가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의 "언어의 감옥" 논제를 별 논증도 없이 잘못된 것이라고 배격하는 것이었습니다. 인간이 철저한 언어적 존재라는 것은 현대 철학의 가장 중요한 논제 중 하나이며, 피어시가 자랑스럽게 언급하는 플란팅가의 작업 역시 이 논제를 기반으로 이루어진 작업인데 말입니다. 언어의 감옥을 부인하면 다시 "소여의 신화"가 복원되고 그것이 자연인의 인식의 기초로 작동할 것이 틀림 없다고 생각합니다.

반틸이나 비트겐슈타인, 데리다, 그리고 로티 등이 주장하는 것 처럼 자연인의 언어가 실재를 표상할 능력이 있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면 더 이상 자연신학이 들어설 공간이 없을터인데 낸시 피어시는 이런 현대의 기본적인 통찰도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피어시가 개혁파 전통을 계속 언급은 하지만 개혁파의 가장 주된 원리 중 하나인 인간의 전적인 죄악됨, 무능력성은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그네 2015-01-02 14: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그럼 님은 이런 세계관 책 중에 어떤책이 가장 좋으셨나요?
 
나쁜 사마리아인들 - 장하준의 경제학 파노라마
장하준 지음, 이순희 옮김 / 부키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놀라운 책이다.

이 책은 정말이지 쉽고 명료하게 쓰여졌으며 경제 발전을 보장한다는 신자유주의자의 주장이 기초적인 상식에도 어긋나는 헛소리라는 것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만약 당신이 이 책을 읽는다면 더 이상 신자유주의자들에게 이 나라를 맡기고 싶다는 생각이 들지 않을 것이다. 물론 나쁜 사마리아인들인 강대국들이 개도국들에 신자유주의주의 정책을 강요하는 현실이 과연 고분고분 바뀔지는 의문이다. 하지만 신자유주의에 대한 이 날카로운 해부는 진지하게 사회를 고민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읽어야만 할 것 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