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근대의 책 읽기 - 독자의 탄생과 한국 근대문학, 개정판
천정환 지음 / 푸른역사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근대의 책 읽기>(푸른역사)은 1920~30년대에 책읽기의 근대사를 다룬다. 1920년대를 거치면서 근대적인 의미의 책 읽기 문화가 확고하게 자리잡고 제도화되었기 때문이다


 첫 째는1919년 3.1 운동이후 근대적 학교교육이 확실하게 대중을 장악하였다. 문맹률이 낮아지고, 출판산업의 규모가 크게 커지며 신문.잡지의 구독이 일반화 되었다. 두 번째는 1920년대 중반 이후 책 읽기가 사람들의 ‘취미’의 하나로 자리잡았다. 세 번째는 새롭게 출현한 ‘신문학’이 본격적으로 독자를 확보하는 시기가 1920년대이다. 조선일보(1920년3월5일), 동아일보(1920년4월1일), 개벽(1920년), 조선문단(1924년) 등이 창간되었다.


 '근대'란 현대 바로 이전 약 1세기를 이른다. 일반적으로 산업혁명 이후인 18세기, 19세기부터라고 본다. 근대는 왕정이 끝나고 전개되는 시대로 개인 의식, 자본주의 및 시민사회의 성립이 특징이다. 즉 왕정사회를 극복한 시대로 개인을 존중하며, 정치적으로는 민주주의, 경제적으로는 자본주의의 모습을 가진다.  


 책을 읽는다는 것은 각 개인들이 텍스트를 대면하여 책 속의 세계를 해석하고 전유하는 주관적이며 정신적인 행위만은 아니다. 그것은 복잡한 사회적 행위이다. 독자가 어떤 책과 작품을 선택하는가, 두번째는 책을 읽어가는 해석과 해독 과정이다. 세번째는 책을 읽은 뒤 그 영향에 의해 자신의 삶을 재구조화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의 수용은 투쟁이다. 독자를 둘러싼 문화적 권위와 권력들이 치열하게 경쟁하며 독자들의 선택과 해석에 영향을 미친다. 이 투쟁의 과정을 거쳐 선택된 이후의 책 읽기는 기본적으로 지배적인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관습을 수용하고 학습하는 과정이며, 독자 스스로 책의 의미를 일상생활의 공간에서 재구성하는 '의미의 실천'이다. 


 따라서 독자는 때로는 문화적 권위와 힘에 복종하고 한편 저항하면서 책을 선택하고 해석한다. 이에 어떤 독자들은 베스트셀러를 찾아 읽거나 베스트셀러만 빼놓고 읽는다. 2404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길모퉁이 카페>(테일소담출판사) 를 읽고 있다. 직전에 읽었던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민음사)과 대비된다.  '가벼움'은 문장 문장의 정교함 보다는 줄거리에 집중된다면 사강의 이 소설의 내용은 내게는 진부하지만 샘플한 문장과 작가의 정교한 시각이 잘 다금질 된 단검같다.


 상단에 있는 네 권은 직장 생활 중 점심시간에 읽었던 책들이다. 그 시간은 딴 나라를 다녀 온 뇌의 여행이었다. 독서 습관은 우리의 사고를 유연하게 연결시켜 준다. 좋은 음식을 골라 먹는 것과 같다.  2404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마다 독서의 취향이 다르다. 자신의 나이 대와 공간의 경험에 따라 다르다. 전문적인(논문 작성, 투고, 연설 등) 독서가 아니라면 편하게 권장하고 싶은 것은 "하루에 한 권의 책 읽기" 다. 그렇게 실행한 기록이 <혼자 책 읽는 시간>(웅진) 이다. 

 

 매일 책을 손에서 떼지 않는다는 것과 잠깐 시간이 지나서 그 책을 다시 읽어 본다. 어떤 독자는 한 번 읽는 책을 팔아버리거나 다시 읽지 않는다는 사람도 있다. 필요하면 새 날에 다시 읽으면 된다. 즉 하루 하루 완독을 권장한다, 


  재미없거나 관심분야가 아니거나 너무 어렵거나 아니면 번역글이 마음을 불편하게 하거든 다음에 읽으면 된다. 구지 기록에 남기거나 어떤 줄거리를 정리하려는 틀에 억메이면 하루 완독이 어렵다. 그냥 타인의 말을 경청하듯 읽으면 된다. 2404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작가의 이 시는 <서른, 잔치는 끝났다>(창비)의 첫 번째 작품이다. "선운사에서"가 밤에 뜬 달과 같다면 "서른, 잔치는 끝났다"는 한 낮의 해와 같다. 1980년를 전후하여 치열했던 청춘들에 대해 연민을 갖게 한다. 최근에 그의 에세이를 몇 권 읽었는데 감회가 새로웠다. 그 시를 다시 읽어 본다.


 꽃이 피는건 힘들어도

   지는건 잠깐이더군
   골고루 쳐다볼 틈 없이
   아주 잠깐이더군

 

 그대가 처음
  내속에 피어날때 처럼
  잊는것 또한 그렇게
  순간이면 좋겠네

 

 멀리서 웃는 그대여
  산 넘어가는 그대여

 

 꽃이
  지는건 쉬워도
  잊는건 한참이더군
  영영 한참이더군.

 

  - '선운사에서', 최영미 -


https://blog.aladin.co.kr/gigo/58005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민음사)는 20년 여간 4판에 119쇄를 펴냈다. 작가 '밀란 쿤데라'의 작품들은 소설 : 농담, 우스운 사람들, 삶은 다른 곳에, 이별의 왈츠, 웃음과 망각의 책,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불멸, 느림, 정체성, 형수, 에세이 : 소설의 기술, 배신당한 유언들, 커튼, 만남, 희곡 : 자크와 그의 주인. 그는 체코슬로바키아에서 태어났으며 1975년 프랑스에 정착했다. 죽기 얼마 전 프랑스에서 체코로 국적을 옮겼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펠릭스 2024-11-10 19: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민음사) 6부 대장정 중 24장
˝ 자신의 집으로 초대한다는 토마시의 편지를 받은 것은 시몽이 시골에서 산 지
이 년도 넘었을 때였다. 만남은 화기애애했으며 시몽은 편안하게 느껴서 더 이
상 말을 더듬지 않았다. 아마도 그는 두 사람이 서로를 그다지 이해하지 못한
다는 것을 눈치채지 못했을 것이다. 넉 달이 지났을 무렵 그는 전보를 받았다.
토마시와 그의 부인이 트럭에 깔려 죽었다는 것이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민음사) 7부 카레닌의 미소 중 7장
˝ 당신의 임무는 수술하는 거야! ˝
˝ 임무라니, 테레자, 그건 다 헛소리야. 네게 임무란 없어.
누구에게도 임무란 없어. 임무도 없고 자유롭다는 것을 깨닫고 나니
얼마나 홀가분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