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말해줘야 할까 - 오은영의 현실밀착 육아회화
오은영 지음, 차상미 그림 / 김영사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늘 말씀드리지요? 마음은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 생각도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마지막 결정이에요. 욕구를 잘 조절해서 현실에 맞게 상식적으로 마지막 행동을 했다면 그것으로 된 거예요. (-)

우리는 언제나 마음을 해결해주려고 합니다. 가깝고 소중한 사람에게 더한 것 같아요. 갖고 싶은 장난감을 사지 못해서 속상한 아이의 (-)마음은 그냥 두어야 합니다. 마음은 해결할 수도 없고, 해결해줘서도 안 되는 거예요. 마음을 해결할 수 있는 사람은 그 마음의 주인뿐이에요.

마음의 해결이란 불편한 감정이 소화되어 정서의 안정을 되찾는 거예요. 그런데 우리가 하려는 마음의 해결은 그렇지 않습니다. 그냥 ‘끝’을 보는 겁니다. 상대가 징징거리는 행동을 멈추고, 상대가 쏟아내는 속상함과 아쉬움의 말을 ‘그만’ 하는 거예요. (-)

왜 그렇게 상대의 마음을 해결해주려고 할까요? 상대의 불편한 마음 이야기를 들으면 내 마음이 불편해지기 때문이에요. 그 모습을 보고 그 말을 들으면 내 마음이 계속 불편해져서 견딜 수가 없으니, 상대가 그 마음을 표현하지 못하게 하려는 겁니다. 결국 내 마음이 편하고 싶은 거예요.(-) 내 마음이 편하고 싶어서 상대의 정서를 억압하는 거예요.

상대의 마음도, 나의 마음도 그냥 좀 두세요. 흘러가는 마음을 가만히 보세요. (-) ‘아, 지금 내가 불안하구나’ ‘아, 아이가 지금 기분이 좀 나쁘구나. 기다려주어야겠구나’라고(-)

 

 

그 상황에서 필요한 말만 하세요. 불필요한 말을 지나치게 많이 주고받다보면 서로 에너지를 너무 많이 소모하게 돼요. (-) 그러려면 상황의 핵심을 잊지 않아야 합니다. ‘씻기 싫어도 씻어야 하는 것 가르치기!’ 이 상황의 핵심입니다.

 

 

(-)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기준을 적용하면 좋은 의도여도 아이가 죄책감을 느낄 수 있어요. 문제 상황에서는 늘 간결하게 말하면서 아이가 억울하지 않게 정당성과 타당성을 가르쳐야 합니다.

 

 

대개 아이들은 문제 상황에 처하면

본인이 결정적인 원인을 제공했어도

무척 당황해요. 굉장히 두려워합니다.

 

어린아이만 그런 것이 아니에요. 제법 큰 아이도 그렇습니다.

아이는 그 순간 부모가 자신을 안심시켜주기를 바랍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랑한다고 부모가 말해주기를 바랍니다.

우리도 그때 그랬어요.

 

 

어떤 장소나 상황에서 하면 안 되는 행동은 다른 사람과 함께 평화롭게 살아가기 위해서 지켜야 하는 원칙입니다. 그 원칙은 나의 기분 상태, 나의 선호, 나의 선택과 관계가 없어요. 다른 사람들의 그것과도 관계가 없습니다. 다른 사람이 있든 없든, 쳐다보든 쳐다보지 않든, 좋아하든 싫어하든 지켜야 하는 것이지요.

따라서 이것을 가르칠 때는 “원래 원칙이야. 사람들과 함께 살아가기 때문에 하지 말아야 하는 행동이 있어.”라고 말해줘야 합니다. ‘아 그런 행동은 하지 말아야 하는구나’ 하고 배워 ‘자신’이 배운 것을, ‘자신’이 스스로 생각해서, ‘자신’이 결정해서, ‘자신’이 행해야 해요. 즉, 배우고 행하는 주체가 ‘아이 자신’이 되어야 합니다. 이 과정은 아이의 자기 주도성을 키우는 데 굉장히 중요해요.

“그렇게 행동하면 사람들이 너를 좋아하겠어?”라고 말하면 행동의 주도권이 타인에게 있는 겁니다. 도덕성 발달단계에서도 가장 하위단계이지요. 하지 말아야 하는 행동은 다른 사람과 상관없이 언제나 하지 말아야 합니다. (-)

 

 

 

아이들은 자기 나이에 맞게 이렇게도 했다가 저렇게도 했다가, 이 문제도 일으켰다가 저 문제도 일으켰다가 합니다. 그게 자기 나이답게 인생을 사는 거예요. 그런데 자기 인생을 살면서 요리조리 부모를 건드려요. 정확히 말하면 부모의 마음을 건드립니다. 마음이 건드려지는 것은 사실 나의 해결되지 않은 숙제 때문이에요. 내 숙제입니다.

아이의 문제 행동 때문에 마음이 힘들다면 그 문제는 ‘내 숙제’입니다. 내 숙제가 버겁다고 아이를 탓하진 마세요.

 

 

말은 기술이 아닙니다. 그 상황에서 왜 그렇게 해야 하는지를 깊이 이해할 때, 아이가 편안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말이 나와요.

 

 

아무리 궁금한 마음이 앞서도 부모가 걱정하는 그것을 콕 집어 묻지 마세요. 사람은 누구나 감시받는 것을 싫어합니다. 자신이 잘못한 것을 말하기도 불편해합니다. 아이도 그래요.

 

 

마음을 알아달라는 것은

마음대로 하게 해달라는 것이 아니에요.

나의 마음이 있다는 것, 나의 생각이 있다는 것을

받아들여 달라는 겁니다.

내 마음과 내 생각은 나의 것임을 인정받고 싶은 거예요.

그것이 정말 사랑하는 당신의 것과 달라도

당신에게만큼은 나 자체로 존중받고 싶은 겁니다.

 

 

아이가 긍정적인 감정을 말해요. 누구나 받아주기 쉽습니다. 아이가 부정적인 감정을 말해요. 듣고 있기가 힘듭니다. 마음이 불편해지거든요. (-) 감정을 말했는데 야단을 맞으면 다음부터는 아이가 마음을 솔직하게 털어놓지 않을 수 있어요.

(-)

우리가 아이와 대화할 때 (-) 사랑하는 아이가 잘못 생각하는 것 같으면 불안해서 견디지를 못해요. 빨리 깨닫게 해주려고 애씁니다. 애쓰다보면 압박하게 됩니다. 그래서 “야, 너 그렇게 생각하면 안 돼. 잘못된 생각이야”라고 말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