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의 백두산 천지-중국 측에서 바라본 광경>

 

-----------------------------------------------------------------------------------------------------------

 
 그리고 다음은, 중국의 동북공정(東北工程)과 관계해서 여러 사람들의 견해를 정리한 것을 참고로 올려드리므로, 관심이 계신 분은 참고바라며, 그리고 편의상 번호를 붙여서 소개합니다. 그리고 또, 다소 위의 글과 중복되는 것도 있다는 것도 미리 알려드립니다.

 6) 그리고 또, 그 배경에는 현(現) 중국의 <힘의 논리(論理)>가 있었던 것이었으며, 그리고 또, 그 동북공정(東北工程)이 문제가 되었던 것은, 바로 그 고구려(高句麗)와 발해(渤海)를 둘러싼 역사적인 인식 때문이었고, 그것은 또 그때까지는 별 문제가 없었던, 그러니까 중국도 그것을 과거에는 한국사(韓國史)에 속한다는 것을 인정을 했던 부분이었지만, 그러나 갑자기 그 동북공정(東北工程)이라는 것이 등장하면서 태도를 일변시켰던 것이, 바로 그 문제의 발단이라고 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또, 중국은 과거와 달리, 그 동북공정(東北工程)에 입각해서 <수(隋)와 당(唐)이 고구려(高句麗)와 다투었던 것은, 단지 중국을 통일하기 위한 한 과정이었을 뿐이었다>라고 하는 입장을 취했고, 그 이유로는 또, 그 고구려(高句麗)와 발해(渤海)가 중국의 제국(諸國)들과의 관계에서, 책봉(冊封)과 조공(朝貢)의 관계였기 때문에, 그래서 또, 중국의 입장에서는, 그 <고구려(高句麗)와 발해(渤海)를 중국에 통합 또는 복속시키기 위해서 그런 전쟁을 하게 되었다>라고 하는 논리를 폈던 것이다.

 7) 하지만 또 그렇게 되면, 한국사(韓國史)는 아예 없어질 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될 수도 있는데, 그러자 한국(韓國) 측에서는 그 논리 자체만으로 경악(驚愕)했고, 그래서 각계의 반발을 불러일으키기도 했었지만, 하지만 역시, 과거부터 <고구려(高句麗)가 조선사(朝鮮史)의 자랑>이라고 떠들어대던 북한(北韓)은 그에 대해서 별 반응을 보이지 않았었다. 그래서 또 역시, 남북한(南北韓)의 동조는 기대하기 어려운 상태에 있으며, 그러자 또, 그런 중에서도 중국의 동북공정(東北工程)은 착착 진행되어가고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이제 한반도(韓半島)에서는 눈을 뻔히 뜨고서도 자국(自國)의 역사가 중국에 약탈(掠奪) 당하고 있는 현장을 지켜보고 있을 뿐이지만, 하지만 또 계속 그렇게 두고만 보고 있다가는, 정말이지 앞으로 어떤 결과가 생길지는 장담할 수 없는 것이 지금의 현실인 것이다.

 8) 그리고 또, 2007년에 중국은, 동북(東北) 쪽의 요녕(遼寧)과 길림성(吉林省)에 있는 고구려(高句麗) 산성(山城) 2곳과 발해(渤海)의 산성 2곳을 <전국중점보호문물(全國重點保護文物-문화재와 유물)>로 확정, 발표했던 바 있었다. 그리고 또, 그 고구려(高句麗) 산성(山城)은 요녕성(遼寧省) 심양시(瀋陽市) 소재(所在)의 석태자산성(石台子山城)과 길림성(吉林省) 돈화시(敦化市) 소재의 성산자산성(城山子山城)이었고, 그리고 발해(渤海)의 산성은 길림성(吉林省) 길림시(吉林市) 소재의 용담산성(龍潭山城)과 화전시(華甸市) 소재의 소밀성(蘇密城)이었다. 그리고 또 그것은, 1961년에 제1회 발표되었던 이후 6번째의 발표였으며, 그리하여 중국이 <중점보호유적지>로 지정했던 고구려(高句麗)와 관련된 지역은 7곳, 그리고 발해(渤海)와 관련된 유적(遺蹟)들은 모두 8곳으로 늘어나게 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또, 그 외에도 중국은 <중국의 지도부(指導部) 거주지(居住地)> 등이 있는 중남해(中南海) 등, 1080곳을 <보호문물(保護文物)>로 확정했던 것이다.

 9) 그리고 또, 앞에서도 언급이 되었지만, 중국은 그에 멈추지 않고, 신라(新羅)와 백제(百濟)도 <중국사(中國史)의 일부(一部)>였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고, 그것은 또, 그 동북공정(東北工程)을 주도했던 중국의 <사회과학원(社會科學院)>의 한 연구소인 <중국변강사지연구센터(中國邊疆史地硏究center)>가 작성했던 공식연구서(公式硏究書)에서 그렇게 기술(記述)했다고 한다. 그리고 또 그것은 2001년에 출판되었던 <고대중국고구려역사총론(古代中國高句麗歷史叢論)>이란 책의 내용에 포함되었던 것이라고 했는데, 그래서 또 그와 관련된 내용도 잠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것이 기술(記述)되어 있다고 한다. <중국은 백제(百濟)와 신라(新羅)에 대해서 무력을 사용하지 않았고, 그래서 또, 중국에 순종했던 국왕과 통치자들을 선택해서 회유(懷柔)했던, 이른바 이민족(異民族)들에 대한 간접적인 통제정책이었던 기미정책(羈縻政策)이라고 부르는 방법으로 통치했다>라고 기술(記述)했고, 그래서 또 그 기미정책(羈縻政策)에서는 <주변 민족들의 영토를 중국의 행정구역(行政區域)에 편입해서, 자치(自治)를 인정했다>라고 했으며, 백제(百濟)에 관해서는 <고구려(高句麗)와 같이, 고대중국의 변경에 있었던 소수민족(少數民族)이었던 부여(夫餘)인의 일부가 세웠던 정권(政權)>, 그리고 또 신라(新羅)에 대해서는 <당(唐)은 백제(百濟)가 멸망했던 660년 이전에는 기미정책(羈縻政策)으로, 그리고 그 이후에는 직접(直接)통치를 행했다>라고 기술(記述)되어 있다고 한다. 그리고 또, 신라(新羅)는 <중국의 진(秦)이 멸망한 후, 그 사람들, 즉 그 망명자(亡命者)들이 한반도로 건너가서 세웠던 정권(政權)>이었기 때문에, 그래서 <중국의 번속국(藩屬國)으로, 당(唐)이 그 관할권(管轄權)을 가지고 있었다>라고 기술(記述)되어 있다고 한다. 그리고 또 덧붙여서, 그 <고대중국고구려역사총론(古代中國高句麗歷史叢論)>이란 책은, 위의 <변강사지(邊疆史地)연구센터>가 2002년에 동북공정(東北工程)을 시작하기 바로 직전에, 그 중심인물이었던 마대정(馬大正)과 이대룡(李大龍) 등, 국경문제 전문가들에 의해서 집필되었던 것이라고 하며, 그래서 또 <고대중국고구려역사속론(古代中國高句麗歷史續論)-2003년>과 함께, 동북공정(東北工程)의 기본방침 또는 방향을 정했던 책으로 알려져 있다.

 10) 그런 한편, 한국의 국정(國定)교과서에서의 내용을 두고 중국(中國)에서도 비판을 하고 있다고 하고, 그 내용은 또, 한국에서 <단군왕검(檀君王儉)의 고조선(古朝鮮) 건국 시기를 이전보다도 명확하게 기술(記述)해서, 한반도의 청동기(靑銅器)문화가 시작되었던 시기를 500년에서 천년으로 앞당겼던> 것이 그 이유라고 하며, 그래서 또 중국에서는 그것을 두고 <진중(鎭重)함을 결여한 행동>이라고 비판했다. 그리고 또, 1990년대 한국의 역사교과서에서는 <한민족(韓民族)의 선조들이 기원전 8천년 즈음에 파미르고원으로부터 한반도로 이주했고, 그 후에 만주족(滿洲族)에 문화를 전수(傳授)했으며, 중원(中原)의 황하(黃河)문명에도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기원전 7천년 경에는 일본문명을 창조했다>라고 했다고 하면서, 그것은 <황당무계(荒唐無稽)>한 내용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리고 또 <기원전 7천년에 일본문화를 창조했다>는 것으로부터는, 일본의 지식인들이 반발했고, 그래서 또 그것은 <자문화우월주의(自文化優位主義)>라거나 <에스노센트리즘(ethnocentrism)> 즉 <자민족절대주의> 또는 <민족중심주의>와 <소중화주의(小中華主義)>라는 자존심이 상반(相伴)되어서 <한국은 과거 자신들의 부끄러웠던 역사를 필연적으로 부정할 수밖에 없었던 결과물이었다>라고 비판했던 사람도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또 <한국은 과거 중국의 속국(屬國)이었던 때와, 일본의 통치를 받았을 때, 그리고 최빈국(最貧國)이었던 때 전부를 부정하고 싶은 사고의 발상이 그런 결과물을 낳았으며, 그것은 또, 그러했던 과거와는 달리, 지금은 눈부신 경제발전을 이루어서, 세계에서 그만큼의 기상이 높아져있는 때문>이라고도 했다. 그래서 또 역시 <이제 한국은 그런 경제력을 바탕으로 해서, 과거 자신의 종주국(宗主國)이었던 중국에 도전(挑戰)하려고하고있다>라고까지 주장을 했다. 그리고 또, 그에 대해서는 한국의 일부 매스컴에서도 비판을 했다고 하며, 그 이유는 또 <단군신화(檀君神話)를 역사적인 사실로 인정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는 것이 그 주된 내용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또 <민족(民族)관념(觀念)을 우선시하기 위해서, 학술적인 근거를 무시하려는 것은 곤란하다>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11) 그리고 또, 중국은 백두산(白頭山)이란 이름 자체를 없애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백두산 주변에 있는 학교의 이름들을 장백산(長白山)을 붙인 이름으로 변경하고 있다고 하며, 그것은 또, 길림성(吉林省) 산하(傘下)의 <장백산보호개발구관리위원회(長白山保護開發區管理委員會)>의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또 그 지역은, 백두산(白頭山)의 북쪽 등산로의 입산(入山) 매표소(賣票所)가 있는 안도현(安圖縣)과, 서쪽의 등산로 매표소가 있는 무송현(撫松縣) 지역이라고 하며, 그 조치로 인해서 우선적으로 <백하임업국고급중학교(白河林業局高級中學校)>가 <장백산제1고급중학교(長白山第1高級中學校)>로 이름을 바꿨고 <무송현제7고급중학교(撫松県第7高級中學校)>는 <장백산제2고급중학교(長白山第2高級中學校)>로 이름이 바뀌었다고 한다. 그리고 또 그 변경 이유로는 <보호개발구(保護開發區) 관할구역(管轄區域) 내(內)의 사회사업자원(社會事業資源)을 정비(整備)하려는 목적>이라고 밝혔다지만, 그러나 그것은 명백히 백두산(白頭山)이란 이름 자체를 없애려는 의도가 분명한 것으로 보고 있다.

 12) 그리고 또, 북한(北韓)의 태도에 대해서도 잠시 살펴보고 넘어가면, 북한(北韓)은 미국(美國)에 대해서는 <우리의 자주권과 존엄을 침해하는 날치기> 또는 <공화국을 압살(壓殺)하려는 극악한 적(敵)> 등의 표현을 사용했고, 일본의 역사왜곡에 관해서는 <비열(卑劣)한 철면피(鐵面皮)의 범죄행위>라고 표현했으며, 독도(獨島)의 문제에 관해서는 <당당하게 남북(南北) 또는 북남(北南)이 공동대응하자>라는 주장을 펼쳤지만, 그러나 왠지, 중국의 동북공정(東北工程)에 대해서는 침묵을 지키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또, 중국의 관제(官製)학자들이 주장하는 대로 <한반도의 한강(漢江) 유역까지는 중국의 영토다>라고 하는 주장을 북한(北韓)은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이 아닌가 하고 의심을 하는 사람도 있다. 그래서 또 역시, 한국 측에서 북한에 남아있는 고구려(高句麗)유적에 대한 공동연구의 제안에도, 북한(北韓)은 여전히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13) 그리고 또 그런 것은, 과거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입장도 비슷한 태도를 보였던 적이 있었고, 그래서 또,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중국의 동북공정(東北工程)과 그에 따른 역사왜곡이 진행되고 있었던 중에도 공식적인 비판을 자제(自制)했던 것인데, 그래서 또 당시, 노무현(盧武鉉) 정부가 탈미친중(脫美親中)의 정책을 취한 것이 아닌가 하는 분위기가 감지되기도 했다.

 14) 그리고 또, 중국이 동북공정(東北工程)을 통해서 <북한(北韓)의 영토(領土) 중, 반 이상은 원래 중국의 땅이었다>라고 주장했던 것과 관련해서, 중국이 북한(北韓)의 핵문제 해결에 대해서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은, 북한(北韓)이 붕괴된 후에, 자신들이 그 북한(北韓)을 확보하기 위해서란 주장이 있으며, 그 때문에 또 북한(北韓)의 국경지대에 중국은 대규모의 군부대를 배치해두었던 것이라고 한다. 그래서 또, 그런 맥락으로 북한(北韓)의 신의주특구(新義州特區) 구상(構想)을 반대했던 것도, 그 개발이 성공하게 되면, 중국의 동진정책(東進政策)에 차질이 생길 것을 염려했던 때문이었다고 한다.

 15) 그리고 또 중국은 현재, 동북(東北) 3성(省)을 본격적으로 개발한 후, 동진(東進)해서 러시아의 연해주(沿海州)까지 진출해있는 상태이며 그것은 또, 시베리아철도(TSR)를 이용해서, 유럽과 연결되는 지리적인 이점(利點)과 에너지자원에 착안(着眼)을 한 것으로, 그리하여 인도와 아프리카로 이어지는 <경제영토(經濟領土)>의 확장을 노린 것이라고 한다. 그래서 또 그것은 동북공정(東北工程)의 다음 계획으로 중국은 추진 중이라고 하며, 그 결과로 현재, 연해주(沿海州)에서 비자(visa)를 취득해서 활동하고 있는 중국인의 수는 25만 명 이상이라고 하며, 그것은 또 연해주(沿海州) 전체 인구의 3.8%에 달하는 숫자라고 한다. 거기다 또 불법체류자들까지 합하면, 그 수는 연해주(沿海州) 전체 인구 약 650만 명 중에서 약 10% 이상이 될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그리고 또 그곳에 있는 한국인(韓國人)의 수는 약 700명 정도이며, 그곳으로 매년 입국(入國)하는 외국인들 중에서 중국인의 수는 거의 70% 이상이나 된다고 한다. 그래서 또, 2006년 기준으로 그 연해주(沿海州)의 대외무역(對外貿易)은 약 35억 달러였는데, 그 중에서 중국이 차지했던 것은 41%나 되었다고 하고, 그 다음으로는 일본이 약 33%, 그리고 또 그 다음으로는 한국이 약 18% 정도를 점했다고 한다. 그래서 또 외국인 투자기업의 수도, 연해주(沿海州) 전체 1330사(社) 중에서, 중국기업이 573사(社)로 43%를 점했다고 하며, 그 외의 기업으로는 미국(美國)이 109사(社) 그리고 한국이 91사(社) 그리고 그 다음이 일본으로, 81사(社)를 차지했다고 한다.

 16) 그리고 또, 중국은 각종(各種)의 대형(大型) 개발 사업을 독점(獨占)하고 있는 실정이며, 그래서 또 중국은 2012년 완성을 목표로 했던, 동시베리아에서 연해주(沿海州)에 이르는 세계(世界)최장(最長)의 파이프라인(pipeline-原油나, 精油 또는 천연가스 등, 주로 流體를 수송하기 위해서 地上이나, 地下에 고정 또는 매설한 管路이며, 그 길이는 약 4200킬로미터이고, 그리하여 年間 약 8천 톤 정도를 수출할 것으로 예상) 건설공사에도 참가를 해서, 연간(年間) 2천만 톤의 원유(原油)를 공급받기로 합의를 했던 바 있었다. 그리고 또, 나홋카(Nahodka=Nakhodka=Находка-러시아連邦 東部, 沿海地方의 항구도시)에서는 대규모의 석유화학단지를 건설했던 바 있었으며, 사할린(Sakhalin-러시아東部, 하바롭스크-Khabarovsk지방의 한 州를 이루는 섬)에서는 매장량 4840억 입방미터라고 알려졌던 천연가스의 생산도 시작했던 바 있었다. 그리하여 중국은 그 거대한 연해주(沿海州)의 미래(未來)개발 사업에서도 진출기반을 확고히 했으며, 특히 그 사할린의 천연가스는 전량(全量) 수입할 것이라는 공언(公言)을 하기도 했다.

 17) 그리고 또, 중국이 노리는 것은 북한(北韓)이 붕괴된 후, 그 지역의 연고권(緣故權)을 확보하려 것이란 주장이 한국에서 나왔던 적이 있었고, 그래서 또 중국이 북한(北韓)에 계속해서 원조(援助)를 하는 것은, 북한(北韓)을 속국화(屬國化)하려는 하나의 포석(布石)으로 이해되고 있다.

 

 

 

 










 <계속...>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