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를 어떻게 고칠 것인가> - 문학아카데미 신서 26

박제천 지음, 문학아카데미, 1997(1판), 2004(개정 2판)

 

 

 

 

"시를 어떻게 고칠 것인가. 역사 이래 퇴고의 어려움을 토로한 글은 수없이 많다. 그러나 쉽게 고치는 방법을 알려주는 책은 거의 없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처음부터 잘못된 시 쓰기에서는 퇴고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시 고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잘못된 시 쓰기의 방법을 먼저 고쳐야 한다. 문학아카데미에서의 경험으로 미루어보면 어느 정도 작품을 써본 지망생보다는 처음으로 시를 써보는 지망생들의 발전 속도가 더 빠르다. 이미 등단을 한 다음 문학아카데미의 워크샵을 찾아오는 시인들도 마찬가지였다. 창작의 기초가 바르지 않으니 한편의 작품을 쓸 때마다 고통스럽거나 써내는 작품의 높낮이가 들쭉날쑥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퇴고를 쉽게 하기 위해서는 우선 시를 제대로 쓰는 방법부터 익혀야 한다.
  그래서 이 책은 우선 제대로 쓰는 법부터 시작하여 시 창작의 수정과 퇴고, 감상과 평가를 거친 작품 완성의 실례를 통해 새로운 시인으로 탄생하는 일종의 통과 의례를 재현해 보기로 했다. <<시를 어떻게 쓸 것인가>>의 속편이 되는 셈이면서도 독립적인 한권의 책으로서도 제 구실을 다해내길 바란 것이다."

차례

독자를 위하여 / 15

Ⅰ 시창작의 환경
        1. 무엇을 어떻게 쓸 것인가 / 29
        2. 시창작 훈련의 기본 / 42
            ① 나는 과연 시를 쓸 수 있는가  ② 얼마나 써야 하는가  ③ 시는 언어로 표현되는 예술이다  ④ 어떻게 시를 감상해야 하는가 ⑤ 시에도 구조가 있다
        3. 시에는 내재율이 있어야 한다 / 51

Ⅱ 시창작 수정의 실제
        1. 작품의 수정에도 왕도가 없다 / 65
        2. 시에서의 화자 / 66
        3. 어미 처리와 애매 모호한 표현 / 70
        4. 은유와 통일성 / 74
        5. 너무 많은 소재의 남용 / 75
        6. 낡은 시어와 새로운 시어의 차이 / 79
        7. 시는 멋있는 문장의 나열이 아니다 / 83
        8. 산문과 설명 / 84
        9. 시에서의 논리 / 87
        10. 생각나무의 가지치기 / 91
        11. 설명과 비논리성 / 93
        12. 표현과 설명 / 97
        13. 이중구조를 통한 시의 다의성 갖기 / 101
        14. 구체적인 사물과의 연결 / 102
        15. 오브제에 충실해야 한다 / 106
        16. '추상'이라는 연극의 주연 '오브제' / 110
        17. 관념과 오브제 / 112
        18. 관념적인 시와 구체적인 시의 차이 / 116
        19. 비유로써 피워올리는 이미지의 불길 / 119
        20. 시인의 간섭 / 120
        21. 추상적인 이미지와 구체적인 이미지 / 124
        22. 시는 감정의 노예가 아니다 / 128
        23. 감상과 현학 / 129
        24. 멋지게 쓰려는 과욕 / 133
        25. 쉬운 시에 대한 오해 / 137
        26. 잘못된 상징 / 139
        27. 시는 영혼을 찍어낸 사진이다 / 144
        28. 창조와 모방 / 145
        29. 산문시의 취약점 / 149
        30. 시의 제목 달기 / 152
        31. 시는 정신세계의 싸움이다 / 155
        32. 갈등의 처리 / 156
        33. 내용의 전달 / 160
        34. 상상력의 부족 / 163
        35. 징검다리, 독자를 위한 길찾기 / 167

Ⅲ 나의 시 이렇게 고쳤다
        1. 밀어도 두드려도 시원찮은 사립문/윤정구   171
        2. 이상한 웃음소리/윤종대   177
        3. 비만한 시는 시가 아니다/김진   183
        4. 가슴과 머리의 시/하영   188
        5. 적게 고치고 다듬는 세 가지 전략/김영남   193
        6. 고통의 바닥/이창화   198
        7. 시도 스포츠다/정영희   202
        8. 시를 삭히는 법/이섬   207
        9. 우물로 돌아간 무당개구리/최영규   212
        10. 괜찮다, 괜찮다니까/이영신   216
        11. 길찾기/한리나   221
        12. 넥타이를 맨 어린 왕자/이종성   224
        13. 초고의 영감과 퇴고의 막노동/고옥주   229
        14. 스스로의 주인으로 살아남는 시/노혜봉   233
        15. 추상화 속에 시가 있다/김성오   239
        16. 삶을 증류하여 뽑아낸 시/노명순   245
        17. 퇴고, 그 변신의 초읽기/박승미   250
        18. 메모에서 완성까지/백태종   254
        19. 세밀한 묘사와 분위기 연출/김주혜   260
        20. 막다른 골목에서의 정신과의 싸움/송정란   266

Ⅳ 나의 데뷔작
        1. 김용길/만화경   273
        2. 김진/루비   274
        3. 송정란/오늘 내가 던진 이 돌 하나는   275
        4. 김주혜/스트레스   276
        5. 이영신/망미리에서   277
        6. 류수안/오얏나무 숲으로 흰 도화지를 가지고 오세요   278
        7. 고명수/그림자의 저주   279
        8. 윤종대/날개소리가 들린다   280
        9. 이나명/구름아이   281
        10. 윤정구/백자   282
        11. 박서진/도시인, 고향, 텔레비전   283
        12. 이섬/향기나는 소리   284
        13. 최영규/부의   285
        14. 신미균/의자왕   286
        15. 김영남/정동진역   288
        16. 최미순/지리산 시편1   289
        17. 김병환/하루살이   290
        18. 이상복/매일 어두워질 필요가 있다   291
        19. 진영대/캐비넷   293
        20. 박남주/단오 부채   294
        21. 전수련/파타야 거북의 사랑   295
        22. 정호정/안과병동
        23. 유수연/탈피   298
        24. 고영섭/앉은뱅이 부처꽃   299
        25. 이영식/공갈빵이 먹고 싶다   300
        26. 김수목/구운몽   301
        27. 김지혜/이층에서 본 거리   302
        28. 진태숙/천사거미   305
        29. 이솔/꽈리부는 날   307
        30. 김선호/길은 X염색체 사이에서 지워지고 있다   308
        31. 안차애/사냥감을 찾아서   309
        32. 송태옥/2003 서울의 처용   311
        33. 이시백/대한식물도감   313
        34. 유봉희/소금 화석   314
        35. 강상윤/수평띠톱기계   315
        36. 한규동/감포항에서   316
        37. 고영/달   318
        38. 정진영/중환자실의 까뮈   319
        39. 여영현/은하계 사진   320

Ⅴ 좋은 시의 감상과 평가
        1. 현대시와 현대시조의 의미구조 탐색 / 323
        2. 도교는 한국 현대시의 무한한 동력이다 / 335
        3. 나는 시를 이렇게 쓴다 / 347
        4. 사랑 속에 보이는 슬픔의 뿌리/문인수   352
        5. 삶과 시의 깊이와 넉넉함/고정애   356
        6. 씻김굿의 후련함/박승미   361
        7. 소 한마리의 시/송정란   364
        8. 자화상과 비밀의 아지랭이/하영   368
        9. 상징으로 읽는 추억의 상형문자/지인   375
        10. 정서적 긴장과 시의 참맛/이영신   386
        11. 아름다운 평화와 화엄의 물/정호정   397
        12. 초월적인 세계의 미학적 품격/유봉희   40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원식, <<한국근대문학을 찾아서>>, 인하대학교출판부, 1999.

 

 

 

차례

책 머리에

1부 빙허 현진건론
현진건연구    9
현진건문학의 사회적 가치    139
현진건 소설에 나타난 지식인과 민중    153

2부 작가와 작품을 찾아서
차라리 괴물을 취하리라 : 단재 신채호    175
단재 신채호의 사상적 행보 : 개신유학에서 무정부주의까지    179
안중근의 동지 우덕순    183
식민지지식인의 발견여행 :「만세전」해설    191
근대문학의 숨은 중심, 횡보 염상섭    208
철원애국단사건의 문학적 흔적    211
심훈연구서설    239
김유정을 다시 읽자    261
『황혼』에 대하여    267
이용악년보    275
신성사와 세속사의 갈등 : 김동리론    296
한국현대문학사의 올바른 재구성을 위하여 : 건설기의 조선문학 해제    317
북한문학독후감    323
소설과 역사적 법칙성 : 이기영『두만강』을 읽고    333
광복 50년의 문학    341
장식과 설득    349

3부 방법론적 관심
이식론과 내재적 발전론을 넘어서    363
나의 국문학연구 30년    368
한국문학 연구사    373
국문학연구와 민족문학론    385
논리적인 것과 역사적인 것    395
국학의 선구자, 자산 안확    403
안자산을 찾아서    410

"모든 글들을 편의상 3부로 나누었다. 제1부는 석사논문을 중심으로 그후에 보유로 쓴 현진건 관계 글을 2편 더해 나의 현진건론을 정리했다. 제2부는 신채호에서 최근까지 20세기 한국문학사를 더듬어간 나의 편력 과정을 증언하는, 주로 작가론과 작품론들을 뽑아 실었다. 제3부는 한국문학사를 바라보는 관점의 모색을 둘러싼 가벼운 사론적(史論的) 성격의 글을 모았다. 그러다 보니 글들이 내 사는 모양처럼 들쭉날쭉이다. 논문과 평론과 수상과 보고서와 실증작업 등이 온통 섞인 꼴이다. 수록된 글들의 발표년대도 1972년(신춘문예 입선작 김동리론)에서 1998년(신채호론)까지 강산이 세 번 변한 시간대에 걸쳐있다. 막상 책이 나올 때가 되니, 만용이 아닐까 후회도 인다. 내 글을 여기저기 찾아 읽기 괴롭다고 빨리 책으로 묶어 달라는 제자들의 성화가 이 책을 낼 결심을 다그쳤지만, 개인적으로는 나의 생각을 가다듬는 계기로 유익한 바가 없지 않았다. 내 가난한 문서고를 정리함으로써 본격적 공부로 나서고 싶은 게으른 학도의 간절한 바람으로 받아들여 주시기 바란다." <책 머리에>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욱동, 문학이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1996.

 "한글 세대 저자가 한글 세대 독자를 위하여

한글로 쉽게 풀어 쓴 문학 입문서"

"저자는 문학에 관하여 모두 일곱 가지 물음을 던지고 이 물음에 성실히 답하고 있다. 문학의 개념과 본질을 이해하려는 독자들에게 이 책은 친절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차   례

책머리에 / 6

제1장 문학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 13

제2장 문학은 어떠한 구실을 하는가 / 61

제3장 시란 무엇인가 / 107

제4장 소설이란 무엇인가 / 161

제5장 희곡이란 무엇인가 / 215

제6장 문학 비평이란 무엇인가 / 267

제7장 문학 사조란 무엇인가 / 321

참고문헌 / 377
찾아보기 / 38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희망의 문학 - 김명인 평론집

 

 

 

 

제가 가지고 있는 판본은 1990년판입니다. 당시 가격이 6,500원이었는데, 지금은 13,000원이네요. 저는 최근에 출판사에 전화를 걸어 재고가 있는지 문의한 후 알라딘을 통해 구입했습니다. 혹시나 재고라고 뜰지도 모르겠는데, 그럴 때는 출판사 쪽으로 재고에 대해 문의를 하시면 재고 여부에 따라 구입하실 수도 있습니다. 출판사에서 직접 구입하실 수도 있구요(그럴 경우 할인도 안 되고, 택배비까지 부담하실 수도 있습니다.), 알라딘을 통해서도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알라딘을 통해서 구입하시는 방법은 알라딘에 전화를 걸어 출판사에 알아보니 재고가 있다더라, 그러니 출판사 쪽에 주문을 해달라고 요청하시면 금방 됩니다.

책 뒤 표지에
"처음엔 좋은 시인이 되고 싶었다. 하지만 리얼리즘시의 품격을 온전히 갖추기엔 내 시의 모더니즘은 너무나 뿌리가 깊었다. 시가 안 써지면서 문학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회의도 함께 찾아왔다. 문학과 같은 간접적이고 지둔한 무기로 이 세계를 변화시킬 수 있다고 믿기엔 나는 너무 젊었고 '실패한 시'가 빠져나간 공동은 좀처럼 메워지지 않았다.
  다시 문학을 생각한 것은 희망과 좌절이 마치 조수처럼 밀려왔다 밀려가버린 70년대의 마지막과 80년대의 첫부분을 뼈마디가 욱신거리도록 온몸으로 견뎌내고 그 필중과도 같은 징역살이를 3년째 보내던 어느날이었다. 그때 생각한 것이 '과학으로서의 비평'이었다. 그것은 내게 있어서 당대의 보편적 과제와 나 개인의 특수한 삶의 과제를 결합시키는 유효한 매개로 여겨졌다."

차례

책머리에

1
지식인문학의 위기와 새로운 민족문학의 구상
민족문학 논의의 올바른 인식을 위한 시론
현단계 문학운동의 방향감각 조정을 위하여
노동문학에서의 전형문제
먼저 전형에 대해서 고민하자
대중문학운동론

2
검은 땅 비탈 위의 가파른 삶의 모습들
굳건한 민중적 전업작가를 기다리며
자기 존재의 근거를 캐는 한 작가의 현장탐사
슬픔을 힘으로 바꾸는 작가정신의 연금술
분단된 삶에의 총체적 접근
비극적 세계인식과 소멸지향으로서의 시
주체문예이론의 수용과 '혁명적 대작'의 문제
한 젊은 시인의 주저앉음과 일어섬
여성해방 의지의 응집과 그 전망
왜곡된 민족사의 형상적 복원

3
민족문학과 농민문학
1930년 전후의 농민운동과 그 소설적 형상화
농민문학의 전개과정
농민을 찾아서
현단계 농민문학에 대한 단상

4
김인숙의 단편「함께 걷는 길」
윤정모의 중편「빛」
김형수의 '대작' 서사시『지리산』
정도상의 실명소설『천만개의 불꽃으로 타올라라』
정인화의 장편연작시「불매가」
이경자의 연작소설집『절반의 실패』
1988년 문단에 밀려온 두 개의 파도
비장미와 감상주의
돌아온 두 민중시인
문제는 리얼리즘이다
새로운 여성문학 향한 디딤돌
노동자문화예술운동연합의 출범
비극적 낙관주의의 회복
1980년대 문학비평의 한 반성
이청준의 단편「금지곡시대」
최인석의 단편「그림 없는 그림책」
노동문학과 서정성

5
미몽의 시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민중사1 전근대편 / 한국민중사연구회, 풀빛, 1997.(초판 1986) 351쪽

 지은이 - 한국민중사연구회
 펴낸이 - 홍 석
 펴낸곳 - 도서출판 풀빛
 

 

책 소개 : "한국민주사는 원시시대부터 1980년대 초반에 이르기까지의 우리 민족사를 통사(通史)적으로 기술한 책이다. 이 책은 해방 이후 최근에 이르기까지 민족 주체의 역사인식을 획득하기 위해 노력해 온 우리 사학계의 성과를 기본적으로 수렴하고 있지만 몇 가지 점에서 기존의 여러 통사들과는 구별된다. 무엇보다 이 책을 다른 통사들과 구분지어 주는 것은 현재의 역사 주체인 민중과 과학적으로 결합한 역사인식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에 따라 각 시대의 역사 내용도 기본 대중의 추이에 무게중심을 두고 그들의 생활과 사상 · 감정, 그 승화로서의 투쟁과 승리 혹은 좌절을 그리는, '아래로부터의 전체상'으로 구성하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이러한 역사인식과 방법론을 올바로 살리기 위하여 기술에 있어서 '쉽고 재미있게, 그러면서도 의미있고 정확하게'라는 원칙에 유의하여 이 책이 역사를 알고자 하는 대중의 좋은 벗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함으로써 내용과 형식에서 공히 민중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한국민중사1 목차

이 책을 읽는 이들에게

서설 : 바람직한 우리 역사 이해를 위해

제1부 원시 고대사회 (개관)
  제1장 원시사회
    1. 인간의 등장
       노동, 손, 도구, 불 / 말과 의식
    2. 채집, 수렵경제와 모계 씨족공동체 사회
       채집, 수렵경제 / 모계 씨족공동체 사회
    3. 생산경제와 원시공동체의 변화
       농경과 목축 / 부계 씨족공동체 사회
    4. 원시인의 의식과 문화
       생활예술과 자연주의 / 사유의 발달과 추상
  제2장 부족연맹사회
    1. 원시사회의 해체와 국가의 발생
       청동기와 철기의 사용 / 계절과 국가의 발생
    2. 고조선 사회
       단군조선과 위만조선 / 전쟁과 한사군
    3. 부여와 진국
       부여 / 진국과 삼한
    4. 초기 고대국가 사회의 성격
       고대법 / 토지소유관계와 계급구조
  제3장 삼국의 성립과 항쟁
    1. 삼국과 가야의 성립
       고구려 / 백제 / 신라 / 가야
    2. 삼국의 항쟁과 중국과의 전쟁
       고구려의 영토확장과 평양천도 / 나제동맹의 성립과 결별 / 구구려와 수와의 전쟁 / 고구려와 당과의 전쟁
    3. 사회구성과 민의 생활
       골품제와 귀족 / 민의 구성과 생활
    4. 이데올로기와 문화
       지배이데올로기의 분화와 발전 / 민간설화, 노래, 굿과 놀이

제2부 중세1-남북국시대와 고려 (개관)
  제1장 남북국 시대-통일신라와 발해
    1. 남북국의 성립
       신라의 삼국통일 / 발해의 건국과 발전 / 발해의 사회경제와 문화
    2. 통일신라의 사회
       지배체제의 정비 / 하층민의 생활
    3. 신라 지배체제의 동요와 후삼국의 정립
       하대 지배체제의 동요 / 호족의 성장 / 농민봉기와 후삼국
  제2장 고려 문벌귀족사회의 성립
    1. 고려의 건국과 후삼국 통일
       고려의 건국 / 후삼국의 통일
    2. 문벌귀족사회의 형성과 그 구조
       왕권의 강화 / 정치제도의 정비 / 경제제도의 정비
    3. 귀족사회의 문화
       불교의 융성 / 유학의 발달
    4. 고려의 대외정책
       거란과의 항쟁 / 여진(금)과의 관계 / 송과의 관계
  제3장 봉건세력과 외세에 대한 농민, 천민의 투쟁
    1. 문벌귀족사회의 붕괴
       이자겸의 난 / 묘청의 난
    2. 무신정권
       무신정변 / 무신정권의 수립
    3. 농민과 천민의 봉기
       봉기의 사회적 조건 / 봉기의 전개 / 봉기의 성격과 의의
    4. 대몽항쟁
       몽고의 침입과 항전 / 대몽항쟁의 주체
  제4장 권문세족과 사대부
    1. 권문세족의 대두
       원의 간섭 / 권문세족의 형성 / 농장의 확대
    2. 신진사대부의 성장
       공민왕의 개혁정책 / 신진사대부의 대두
    3. 고려문화의 새 양상
       불교계의 새로운 동향 / 성리학의 수용

제3부 중세2-조선시대 (개관)
  제1장 양반관료사회의 성립
    1. 조선왕조의 건설
       사대부의 성장 / 조선왕조의 수립 / 양반관료체제의 정비 / 통치기구 / 대외정책
    2. 양반관료사회의 신분구조
       새로운 신분질서 / 양반관료 / 양인과 천인 / 촌락사회의 움직임
    3. 봉건경제의 확립
       토지소유와 생산력 / 관영경영체제 / 민중의 생활
    4. 민족문화의 발달
       사대부문화와 지배이데올로기 / 훈민정책과 한글 / 민생을 위한 과학기술
  제2장 양반관료사회의 동요
    1. 16세기의 사회경제적 변화
       농장의 확대 / 수취의 강화 / 상업의 발달
    2. 사림의 성장
       사림의 사회경제적 기반 / 사림의 중앙 진출 / 서원과 향약
    3. 체제 개편 운동
       임꺽정의 난 / 정여립의 난
    4. 사림의 문화
       성리학의 심화 / 사림의 문학
    5. 왜(倭), 호(胡)와의 항쟁
       국내외의 정세 / 임진왜란 / 병자호란 / 양란의 영향
  제3장 양반관료사회의 재편과 해체
    1. 사회구조의 변화
       수취체제의 개편 / 생산력의 증가와 농촌사회의 변모 /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수공업의 발달 / 신분질서의 해체
    2. 정치권력의 집중
       당쟁의 격화 / 탕평책과 세도정치
    3. 실학의 발달
       실학의 발생 / 토지제도 개혁론 / 상공업 진흥론 / 과학기술 진흥론 / 국학의 발달

한국민중사2 근현대편 (391쪽)

 

 

 

 

한국민중사2 목차

이 책을 읽는 이들에게

제4부 근대1-근대의 태동과 제국주의의 침략 (개관)
  제1장 근대를 향한 민중적 세계의 발전
    1. 민중경제의 발전
       농촌경제의 변화 / 수공업, 광업의 발달 /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새로운 계층의 성장
    2. 민중문화의 발달
       문화계의 새로운 양상 / 서민예술 / 새로운 종교의 발달
    3. 민중운동의 발전
       민란의 시대 / 평안도 농민전쟁 / 임술농민봉기
  제2장 제국주의의 침략과 지배층의 대응
    1. 제국주의의 시대
       제국주의의 대두 / 구미열강의 아시아 침략 / 일본의 개국과 침략노선
    2. 대원군정권과 대외정책
       대원군정권의 등장 / 대원군의 쇄국정책 / 한불, 한미전쟁 / 대원군정권의 몰락
    3. 강요된 문호개방
       민씨정권과 문호개방 / 문호개방에의 반발 / 임오군란
  제3장 자주적 근대화를 위한 민족운동
    1. 개화운동
       개화파의 형성 / 갑신정변 / 갑오개혁
    2. 갑오농민전쟁
       전쟁의 배경 / 1차 봉기 / 집강소 시기 / 청일전쟁과 2차 봉기 / 역사적 의의
    3. 독립협회운동과 만민공동회
       열강의 경제적 침략 / 독립협회운동 / 만민공동회
  제4장 식민지화와 민중의 저항
    1. 일본 독점지배의 구축
       열강의 세력관계 / 러일전쟁 / 을사조약의 체결
    2. 반일의병전쟁
       초기 의병투쟁 / 본격적인 반일전쟁 / 전쟁의 평가
    3. 애국계몽운동
       운동의 내용 / 한계와 의의
    4. 완전한 식민지화
       식민지화를 위한 경제정책 / 합방조약 체결

제5부 근대2-식민지시대 (개관)
  제1장 무단정치와 3.1민족해방운동
    1. 식민지 지배정책으로서의 무단정치
       제1차 세계대전과 일본제국주의의 성장 / 식민지 통치기구의 정비 / 식민지 경찰제도와 법률제도
    2. 식민지 경제구조의 형성과 민중의 생활
       토지조사사업 / 민족자본의 억압 / 1910년대 민중의 생활상태
    3. 3.1민족해방운동의 전개와 그 의의
       1910년대의 독립운동 / 운동의 경과 / 운동의 실패와 그 의의
  제2장 문화정치와 민족해방운동의 고양
    1. 문화정치 하의 민족분열정책
       세계정세와 일본제국주의의 동요 / 문화정치 / 민족분열정책
    2. 식민지 수탈의 본격화와 민중생활의 파탄
       산미증식계획과 농산물 수탈 / 일본자본의 유입 / 농민의 생활상태 / 노동자 및 도시빈민의 생활상태
    3. 민족해방운동의 전반적 고양
       임시정부와 독립군운동 / 민족주의운동의 분열 / 사회주의운동의 전개 / 신간회운동 / 근우회와 여성운동 / 1920년대의 노동운동의 고양 / 농민운동의 성장
  제3장 식민지체제의 종말
    1. 침략전쟁기의 민족의 수난
       세계정세와 일본의 군국주의화 / 전시파쇼체제의 강화와 민족말살정책 / 친일파의 작태
    2. 발악적인 식민지수탈과 민중생활의 몰락
       농촌수탈의 강화 / 병참기지정책과 일본독점자본의 대거진출 / 침략전쟁기 식민지민중의 생활상태
    3. 민족해방운동의 지하화와 무장투쟁
       노동운동 / 농민운동 / 무장투쟁

제6부 현대-통일민족국가의 수립을 위하여 (개관)
  제1장 해방과 분단
    1. 해방과 38선
       해방의 의미 / 미.소의 전후 세계전략 / 한반도의 전후처리와 38선
    2. 미군정과 통일민주정부 수립운동
       건국준비위원회 / 미군정과 그 성격 / 국내정치세력의 동향 / 신탁통치안과 좌우대립 / 통일민주정부 수립운동
    3. 민족경제의 왜곡과 민중운동의 폭발
       농지개혁 / 귀속재산처리 / 노동.농민운동 / 학생운동
    4. 한국전쟁과 분단의 고정화
       두 한국의 탄생 / 한국전쟁과 분단의 고착화
  제2장 4월혁명
    1. 원조경제체제와 민중생활
       원조경제 / 민중생활
    2. 이승만정권의 성격
       이승만정권의 기반 / 독재정권의 수립
    3. 4월혁명
       원조경제의 파탄 / 이승만정권의 붕괴 / 4월혁명의 전말
    4. 민중운동의 고양과 민족통일운동
       농민.노동운동 / 혁신정단과 지식인운동 / 민족통일운동
    5. 4월혁명의 의의
  제3장 군부독재의 등장과 예속자본주의의 발전
    1. 5.16 쿠데타와 군정
       군부의 성장 / 5.16 전야 / 쿠데타와 군정
    2. 예속자본주의의 발전
       분열과 예속과 독점으로의 길 / 경제개발계획의 추진 / 예속독점자본의 성장 / 사회경제구조의 변동
    3. 억압과 저항
       한일협정과 월남파병 / 장기집권으로의 길 / 민중생존권의 침탈 / 민족운동의 시련과 모색
  제4장 유신체제와 민중운동의 성장
    1. 민중운동의 재기
       노동자계급의 대두 / 민중운동의 불꽃 / 역사발전의 새 지평
    2. 유신체제의 전개
       유신의 배경 / 분열과 예속과 독점의 강화 / 대탄압
    3. 민중운동의 성장과 유신체제의 몰락
       민주운동의 전진 / 민주화운동의 대장정 / 민중문화운동의 발전 / 부마민중항쟁과 유신의 파국
    4. 체제재편기
       체제재편의 기도 / 노동운동의 고양 / 민주화의 봄
    5. 광주민중항쟁
       항쟁의 시말 / 새로운 출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