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상상속의 사막은 어쩐지 두려운 곳이지만 사진 속에 담긴 그 곳은 붉은 빛이 강렬하고 아름답고 온기가 느껴졌다. 담담한 글도.
역시! 👏👏👏
소소하게 재미난 글. 이 분 못 드시는게 많아요. ㅋㅋ평소 닷사이 Dassai를 즐겨 마시는 일인으로 꼭 정정하고 싶어요. 닷사이는 야마구치 현의 술입니다. 야마가타 아님. :-)
학교에서는 왜 근로기준법을 가르치지 않을까요. 한국, 일본, 미국 등 수많은 자본주의 국가들이 있지만 초중고 교과 과정에 근로기준법 수업이 있다는 소리를 들어본 적은 없는 것 같습니다. 근로기준법 교육을 의무화시키고 고용주와 고용인 양측 모두를 가르치면 많은 문제점들이 개선될 텐데 참으로 이상한 일이 아닐 수 없지요.. 본문보다는 실제 직장인들의 코멘트와 삽화가 더 재미있었는데요. 저 역시 직장인인지라 읽으면서 속이 시원하긴 했습니다만 꼭 짚고 넘어가고 싶은 문제가 있어서요.고용인으로서 나의 권리를 찾는 일은 매우 중요하지요. 당연히 찾아야 하고요. 하지만 고용인으로서의 권리를 찾는 동시에 소비자로서의 의식 개선도 필요하지 않나.. 하고 조심스레 이야기를 꺼내 봅니다.. ‘싸고‘ ‘좋은‘ 물건만 찾지 말고 ‘싸고‘ ‘좋은‘ 물건은 도대체 어떻게 해서 ‘싸고‘ ‘좋을‘ 수 있었는가 ‘싸고‘ ‘좋다‘고 덥썩 집기 전에 ‘싸고‘ ‘좋은‘ 이유를 한번쯤 생각을 해봐야 하지 않나. 뭐 그런 이야긴데요. 싸게 팔려면 이윤을 줄이거나 비용을 줄여야 하는데 아무래도 기업은 영리단체이다 보니까 비용을 줄이겠지요. 비용을 무리하게 줄이다 보면 생산과정에서 환경과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사용되고 버려질수도 있고요. 인건비가 싼 국가로 국내의 일자리가 모두 넘어가 버릴 수도 있고요. 그나마 남은 일자리는 고용주를 왕으로 만들고 결국 노동착취로도 이어지겠지요. 소비자로서의 양심이라고 해야 할까요. 고용인으로서는 근로기준법을 지키는 기업을 선호하면서 소비자로서는 근로기준법을 지키느라 가격경쟁에서 뒤쳐진 기업의 제품이 아닌 근로기준법이고 환경법이고 나발이고 나 몰라라 하는 악덕기업이 내어놓은 ‘싼‘ 제품을 선호한다면 ‘근로기준법을 지켰다가는 회사가 망한다‘ (p75) 라는 어처구니없는 주장이 현실이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악덕기업의 배는 불리고 양심기업은 굶겨 죽이는 양상일테니까요.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하는 이야기는 아니고요. 기업의 양심과 소비자의 양심이 같이 성장한다면 더 좋은 해결책이 나오지 않을까 하는 꿈같은 소리였습니다.
언감생심. 젊음은 한정된 시간이고 건강과 경제수단을 잃으면 가난이 찾아 오기 마련인데 (혹은 처음부터 가난에서 출발을 하기도 하고) 그런 상황에서 혼자만의 공간이나 시간이 가지는 낭만 따위, 몽테뉴와 쇼펜하우어의 라이프 스타일은 그야말로 머나먼 별나라 이야기. 사회를 구성하는 개개인이 단독인으로서 최소한의 자유를 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해결방안으로 작가는 오래전부터 논쟁이 있어온 기본소득제에 주목한다. 괜찮은 아이디어 같지만 과연 실현 가능한가 하는 것이 의문. 본격적인 사회학 책은 처음이다. 사실 좀 어려웠다. 독신생활이란 어떤 것인지 가볍게 읽어볼 목적으로 펼쳤다가 큰 코 다쳤다. 이번 기회에 독신율 증가라는 사회적 추세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 한번 해보자 작정하고 완독을 하긴 했는데. 완독을 해서 참 다행이라는 생각이 든 것은 3부 홀로서기의 사회학이 가장 공감가고 이해가 쉬웠기 때문. 특히 마지막 챕터에서 다룬 스웨덴의 성공사례가 인상깊었다. 전체 가구중 47프로가 1인 가구인데도 그것이 고독사 증가라는 사회적 문제로 직결되지 않고 조사에 따르면 오히려 세계 111개국 중 다섯번째로 살기 좋은 나라, 삶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36개 나라 중 네번째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고 이코노미스트는 발표했다. 아. 저 곳이 유토피아. 지상낙원인가. 아니면 우리는 우리가 보고 싶은 성공사례의 단면만을 보고 있는 것일까. 진실이 어느쪽에 있건 간에 이미 탄탄한 사회보장제도를 확립한 스웨덴의 모습을 보고 있노라니 얼마 전 얼핏 본 `한국이 싫어서`라는 책제목이 떠올라 씁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