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주 오래된 시와 사랑 이야기 ㅣ 진경문고 3
고형렬 지음, 이혜주 그림 / 보림 / 2005년 5월
평점 :
사람이 나이가 들면 점점 무감각해진다고들 합니다. 하지만 그것은 부분적인 사실일 뿐입니다. 나이가 든다고 해서 반드시 감정이 무디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그것은 인생길을 거쳐가며 사람들이 성장하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감정이란 것이 실체가 없는 것으로 인연따라 생했다가 인연따라 멸하는 것임을 경험을 통해 알게 되기 때문입니다. 즉 감정의 생멸의 과정을 통해 그것이 나에게 남겨주는 것이 무엇인지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게 되고, 따라서 그 감정을 좀 더 여유있게 받아들일 수 있게 되기 때문인 것이지 그 감정을 회피하거나 부정하기 때문에 그런 것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나의 경우도 그러합니다. 대학생활 때와 지금의 나를 비교하자면 특정한 감정에 대한 열정이야 젊을 때만 못한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사람을 대하는 것이나 사건을 바라보는 것 그리고 자연과 생명을 느끼는 나의 감정은 확실이 보다 풍부해지고 다양한 색조를 띠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것은 특정 감정에 빠져 전체적인 여러 가지 정서를 느낄 수 있는 감각을 가질 수 없었던 젊은 날에 비해 좀 더 세밀하고 좀 더 전체적으로 풍경과 사람이 주는 느낌을 음미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시경에서 간추린 21편의 이 이야기들도 인간의 사랑과 그 때문에 갖게 되는 슬픔과 기다림과 애절함의 사연들이 담겨져 있습니다. 삶의 애환과 정서의 이야기가 시적 형식을 빌어 2500여년이 지난 오늘에까지 전해지고 있습니다. 어쩌면 그 때나 지금이나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보편적인 정서는 별 변함이 없을까요? 그 때의 이야기들이 지금의 우리들에게 여전히 같은 감동과 정서를 전달하고 있으니까요. 문제는 그것을 어떤 형식을 빌어 후세에 전달하였기에 시공간을 넘어서 시인의 마음이 그대로 전해지겠는가 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아주 매력적인 부분이죠.
그런 의미에서 옛 사람들은 자신의 일상적인 감정의 생멸과정이지만 그것을 온전히 마음에서 느낄 수 있었고 또한 그것을 시적 형식을 빌어 주위의 지인들과 나눌 수 있었고, 또 이렇게 먼 후세에 까지 그들의 마음을 고스란히 전달할 수 있었으니, 세월이 변한다고 해서 꼭 사람살이 멋과 재미가 더 좋아진다고만은 할 수 없을 듯합니다.
우리의 일상 생활을 한 번 돌아봅시다. 과연 우리는 우리들의 감정에 충실하게 살아가는 때가 과연 일생 중 얼마나 될까요? 늘 쳇바퀴처럼 반복되는 일상 속에 우리들은 감정도 없이 우리 일생을 컨베이어 벨트에 실어 보내고 있지는 않는지 반성하게 됩니다. 사람과 만나든, 마음으로 만나든, 풍경을 아름답게 바라보든, 마음 속의 영원성과 진리를 찾든 우리는 우리 삶에서 깨어 있는 시간을 만들어야 합니다. 동물적인 것을 벗어나 인간으로서만이 가질 수 있는 정신적인 고양을 위해 깨어 있는 그 순간만이 우리들의 삶의 존재 이유인 것입니다.
처음에는 우리를 가슴떨리게 하는 그 무엇이 많지 않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그런 경험들을 자꾸만 만들어내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순간 순간 우리가 깨어 있다면 순간 순간 우리는 세상의 것을 느끼고 있는 것입니다. 그것은 내 마음이 깨어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내 인생의 의미지워짐을 말합니다. 마음 속에서 그것을 보는 눈이 만들어질 때 우리는 이제 이 시를 지은 이와 마음으로 만날 수 있게 됩니다.
고형렬 시인은 시경을 읽는 자신의 독법을 우리에게 보여줍니다. 시는 그것을 읽고 해석하는 자에게 의미를 갖는 대로 보이기 마련입니다. 따라서 자신의 마음으로 시를 읽으며 그것이 자신의 마음에 일으키는 떨림의 색깔을 포착하는 것이 관건입니다. 그런 면에서 시경의 구절들을 자신의 살아온 과거와 함께 재미있게 풀어내고 있는 저자의 개성적인 면과 20년이 넘는 시단생활의 경력으로 풀어낸 맛깔스럽고 시원한 해석이 우리들의 마음을 끌어당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