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처럼 ‘언어로서 음악’이 언제나 아름다운 것은 아니다. 어디를 잘라도 미려하게 다듬어낸 사운드가 들리도록 완성하면 말(기호)로서 음악을 재현하기에는 불충분하다. 사운드와 언어가 늘 양립하는 것은 아니다.

좀 더 직설적으로 말하면, 음악은 자국 중심 문화의 세계화를 도모하기에 적절한 수단이었다고 할 수 있다. 주지하다시피 19세기에 이르러 수많은 민족이 독립 국가가 되기를 희구하며, 자신들의 국민적 정체성이 담긴 음악을 지니고자 열망하게 된다. 베버나 베르디나 쇼팽 같은 국민악파 작곡가들이 이런 배경에서 등장했다. 그리고 국민음악은 민족을 결집하는 정체성의 핵인 동시에 그 민족문화를 국경을 넘어 보편화하는 역할을 부여받고 있었다. 이에 가장 성공한 나라가 독일이었던 셈이지만, 자국의 음악을 세계 기준으로 유통할 때의 표어가 ‘음악은 말이 아니다/국경을 초월한다’였을 가능성은, 이것이 잠재의식 아래에 있었다 하더라도 상당히 높이 작용했을 수 있다. 사실은 그 문화에 밝아야 이해할 수 있는 ‘언어’인 음악을, 자국 중심성은 숨긴 채 ‘국경을 초월한다’라고 내세워 세계에 전파한 것이다. 

예를 들면, 쇼팽의 음악을 ‘폴란드의 영혼’이라 칭하며 폴란드인 이외에는 이해할 수 없을 거라고 은연중에 암시한다. 반면, 그것을 ‘국경을 초월하는 언어’라고 믿는 일본인이나 중국인이나 아르헨티나인에게 연주하게 하고, 또 ‘세계 언어로서 쇼팽 음악’의 중심지인 바르샤바의 쇼팽 콩쿠르에 참배토록 한다. 바로 이런 행위에 ‘국경을 초월하는 음악’ 이데올로기의 이중성이 단적으로 드러나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흔히 음악 전문용어로 여겨지는 말 대부분이 원래 기술 언어적인 기능을 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예컨대 ‘스타카토’는 ‘벗겨내다, 잘게 찢다(staccare)’라는 동사에서, ‘레가토’는 ‘묶다, 매듭짓다(legare)’라는 동사에서 각각 유래한다. 밀가루 반죽을 잘게 뜯어 파스타로 만드는 이미지를 전자에, 혹은 구슬을 꿰어 연결해나가는 모습을 후자에 각각 겹쳐봐도 재미있을 것이다. 속도를 가리키는 라르고나 안단테, 비바체 같은 용어도 마찬가지이다. 이탈리아에서 택시를 타고 ‘더 빨리!’라고 말할 생각으로 ‘알레그로!’를 외쳤더니, 운전사가 히죽 웃으며 ‘제대로 알레그로로 달리고 있소’라고 맞받았다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즉 알레그로는 ‘명랑하게, 쾌적하게’라는 뜻인데, 여기서 변형되어 ‘들떠 있는, 칠칠치 못한, 품행이 바르지 않은’ 등등의 뉘앙스로 쓰이기도 한다(거리의 여자를 donna allegra라고 한다). 그래서 알레그로는 ‘들떠 있는’ 것이지 결코 ‘서두르는’ 느낌은 아니다. 긴박하게 숨이 차듯 ‘빠른’ 것은 말할 필요도 없이 ‘프레스토’이다. 정말 급히 서두른다면 ‘프레스토!’라고 말해야 했다.

“그 용솟음이 작곡자인 당사자에게도 제대로 통제되지 않은 채 파이프의 누수처럼 여기저기로 제멋대로 분출되어 소나타라는 시스템의 통합성을 무너뜨리고 있다.”

즉 ‘정신’이라는 주어가 ‘분출된다’라는 술어를 공통분모로 해서, ‘파이프의 누수’로 변환되는 것이다. 더욱이 무라카미는 시적 향기라고는 전혀 없는 일상적이고 즉물적인 비유를 한 번 거친 다음, 슈베르트의 음악에 숨어 있는, 그야말로 ‘정신’의 퇴폐와 광기로 단숨에 다가간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말하면, D장조 소나타는 그야말로 그런 체면이고 뭐고 따질 수 없을 정도로 망가져 세상의 ‘뒤통수를 때리는 듯한’ 독자적인 보편성을 획득한 것처럼 느껴진다. 결국 이 작품에는 내가 슈베르트의 피아노 소나타에 이끌리는 이유가 가장 순수한 형태로 응축되어 있다. 혹은 더 정확하게 표현하면 확산되어 있다는 기분이 든다.”

이것을 내 나름대로 바꾸어 말하면, 슈베르트는 특히 장대한 곡을 쓰려 할 때 때때로 ‘이성을 잃는다’. 이것저것 하는 사이에 자신도 뭘 하고 싶었는지 알 수 없어지는 것이다. 

오늘날 우리가 듣는 음악은 거의 전부 19세기 서양이 만들어낸 어법에 따르고 있다. 그 때문에 우리는 ‘음악은 국경을 초월한다’라고 착각하기 쉽다. 그러나 음악에도 어학 학습이 필요하다. 사운드로서 음악은 글로벌하지만 언어로서 음악은 로컬이다. 

느끼고 아는 것은 말로 하기 어렵고, 말로 할 수 있는 것은 느끼기 어렵다. 여기에 음악을 이해하는 독특한 어려움이 있다.

이 모순은 사운드이자 언어라는 음악의 이중성에 기인한다. 앞 장에서도 인용했듯이 한슬리크는 “아마추어는 음악에서 가장 많이 ‘느끼고’, 교육받은 예술가는 가장 적게 ‘느낀다’”라고 했다. 그리고 느끼기는 쉬우나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것이 ‘사운드로서 음악’이고, 말로 명확하게 지적할 수 있으나 예비지식 없이는 느끼기 어려운 것이 바로 ‘언어로서 음악’이다. 음악은 느끼기만 하는 것이 아니다. 그 자체가 언어적 구조를 띤, 즉 읽는 것이기도 한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비행선
아멜리 노통브 지음, 이상해 옮김 / 열린책들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통브의 글은 항상 순식간에 읽히고 읽는 동안 눈을 떼지 못할 만큼 재미있는데, 다 읽고 나면 어쩐지 (이렇게 밖에 표현을 못하는 나 자신이 답답하지만) 깊이가 부족하다? 라는 생각이 들고 마는 것이다. 그나저나 레이몽 라디게의 책을 읽어 보고 싶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타 버린 비밀 슈테판 츠바이크 소설 시리즈 2
슈테판 츠바이크 지음, 김선형 옮김 /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인적으로 대입해도 무방한 어릴 적 사건들이 떠올라서 에드거의 심리에 깊이 공감하며 읽었다. 츠바이크 역시 비슷한 사건을 어릴 때 겪었으리라고 거의 확신한다. 겪지 않았다면 이렇게 완벽하게 묘사하기 어려웠을 것이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슈만의 <아베크 변주곡> 악보에는 “폴린 아베크 백작 부인에게 헌정”이라고 쓰여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존재했던 사람인지, 슈만의 친구인지는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그는 이야기와 인물을 자주 상상하던 사람이었기 때문에 이 또한 상상 속의 인물일 수 있습니다.

이 작품의 재미있는 점은 멜로디의 음 라-시♭-미-솔-솔이 아베크의 A-B-E-G-G에서 온 것입니다. 또 두 번째 멜로디는 이 이름을 거꾸로 한 G-G-E-B-A입니다. 이 테마가 곡 안에 숨어서 변주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