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음악 전문용어로 여겨지는 말 대부분이 원래 기술 언어적인 기능을 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예컨대 ‘스타카토’는 ‘벗겨내다, 잘게 찢다(staccare)’라는 동사에서, ‘레가토’는 ‘묶다, 매듭짓다(legare)’라는 동사에서 각각 유래한다. 밀가루 반죽을 잘게 뜯어 파스타로 만드는 이미지를 전자에, 혹은 구슬을 꿰어 연결해나가는 모습을 후자에 각각 겹쳐봐도 재미있을 것이다. 속도를 가리키는 라르고나 안단테, 비바체 같은 용어도 마찬가지이다. 이탈리아에서 택시를 타고 ‘더 빨리!’라고 말할 생각으로 ‘알레그로!’를 외쳤더니, 운전사가 히죽 웃으며 ‘제대로 알레그로로 달리고 있소’라고 맞받았다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즉 알레그로는 ‘명랑하게, 쾌적하게’라는 뜻인데, 여기서 변형되어 ‘들떠 있는, 칠칠치 못한, 품행이 바르지 않은’ 등등의 뉘앙스로 쓰이기도 한다(거리의 여자를 donna allegra라고 한다). 그래서 알레그로는 ‘들떠 있는’ 것이지 결코 ‘서두르는’ 느낌은 아니다. 긴박하게 숨이 차듯 ‘빠른’ 것은 말할 필요도 없이 ‘프레스토’이다. 정말 급히 서두른다면 ‘프레스토!’라고 말해야 했다.

“그 용솟음이 작곡자인 당사자에게도 제대로 통제되지 않은 채 파이프의 누수처럼 여기저기로 제멋대로 분출되어 소나타라는 시스템의 통합성을 무너뜨리고 있다.”

즉 ‘정신’이라는 주어가 ‘분출된다’라는 술어를 공통분모로 해서, ‘파이프의 누수’로 변환되는 것이다. 더욱이 무라카미는 시적 향기라고는 전혀 없는 일상적이고 즉물적인 비유를 한 번 거친 다음, 슈베르트의 음악에 숨어 있는, 그야말로 ‘정신’의 퇴폐와 광기로 단숨에 다가간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말하면, D장조 소나타는 그야말로 그런 체면이고 뭐고 따질 수 없을 정도로 망가져 세상의 ‘뒤통수를 때리는 듯한’ 독자적인 보편성을 획득한 것처럼 느껴진다. 결국 이 작품에는 내가 슈베르트의 피아노 소나타에 이끌리는 이유가 가장 순수한 형태로 응축되어 있다. 혹은 더 정확하게 표현하면 확산되어 있다는 기분이 든다.”

이것을 내 나름대로 바꾸어 말하면, 슈베르트는 특히 장대한 곡을 쓰려 할 때 때때로 ‘이성을 잃는다’. 이것저것 하는 사이에 자신도 뭘 하고 싶었는지 알 수 없어지는 것이다. 

오늘날 우리가 듣는 음악은 거의 전부 19세기 서양이 만들어낸 어법에 따르고 있다. 그 때문에 우리는 ‘음악은 국경을 초월한다’라고 착각하기 쉽다. 그러나 음악에도 어학 학습이 필요하다. 사운드로서 음악은 글로벌하지만 언어로서 음악은 로컬이다. 

느끼고 아는 것은 말로 하기 어렵고, 말로 할 수 있는 것은 느끼기 어렵다. 여기에 음악을 이해하는 독특한 어려움이 있다.

이 모순은 사운드이자 언어라는 음악의 이중성에 기인한다. 앞 장에서도 인용했듯이 한슬리크는 “아마추어는 음악에서 가장 많이 ‘느끼고’, 교육받은 예술가는 가장 적게 ‘느낀다’”라고 했다. 그리고 느끼기는 쉬우나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것이 ‘사운드로서 음악’이고, 말로 명확하게 지적할 수 있으나 예비지식 없이는 느끼기 어려운 것이 바로 ‘언어로서 음악’이다. 음악은 느끼기만 하는 것이 아니다. 그 자체가 언어적 구조를 띤, 즉 읽는 것이기도 한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비행선
아멜리 노통브 지음, 이상해 옮김 / 열린책들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통브의 글은 항상 순식간에 읽히고 읽는 동안 눈을 떼지 못할 만큼 재미있는데, 다 읽고 나면 어쩐지 (이렇게 밖에 표현을 못하는 나 자신이 답답하지만) 깊이가 부족하다? 라는 생각이 들고 마는 것이다. 그나저나 레이몽 라디게의 책을 읽어 보고 싶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타 버린 비밀 슈테판 츠바이크 소설 시리즈 2
슈테판 츠바이크 지음, 김선형 옮김 /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인적으로 대입해도 무방한 어릴 적 사건들이 떠올라서 에드거의 심리에 깊이 공감하며 읽었다. 츠바이크 역시 비슷한 사건을 어릴 때 겪었으리라고 거의 확신한다. 겪지 않았다면 이렇게 완벽하게 묘사하기 어려웠을 것이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슈만의 <아베크 변주곡> 악보에는 “폴린 아베크 백작 부인에게 헌정”이라고 쓰여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존재했던 사람인지, 슈만의 친구인지는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그는 이야기와 인물을 자주 상상하던 사람이었기 때문에 이 또한 상상 속의 인물일 수 있습니다.

이 작품의 재미있는 점은 멜로디의 음 라-시♭-미-솔-솔이 아베크의 A-B-E-G-G에서 온 것입니다. 또 두 번째 멜로디는 이 이름을 거꾸로 한 G-G-E-B-A입니다. 이 테마가 곡 안에 숨어서 변주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신은 당근을 싫어하는군요 저는 김치를 싫어합니다 - 제주에서 서양 식당하는 사람의 생각
임정만 지음 / 밑줄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재미있는 책에 어찌 100자 평 하나 없단 말인가! 제주 이민자로서 구구절절 내 마음 그대로 글로 옮겨주셔서 감사한 책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