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사재에서 출간된 넥스트를 읽었습니다.넥스트 영화화에 발 맞추어 원작인 필립 K.딕의 소설을 출간한 것은 좋았으나 아쉽게도 넥스트외에 나머지 작품들은 기존에 자사에서 이미 출간되었던 단편 5편을 대놓게 집어넣었네요 ㅜ.ㅜ
새로운 단편들을 번역해서 출간했으면 좋으려면 상술이 너무 한 것 같아요.요 한편 때문에 살까 말까 망설였던 분이 많으셨을 것 같은데 어쩔 수 없이 사버리게 되네요.
넥스트를 읽고 영화화된것과 한번 비교해 보았습니다.다들 영화도 보셨겠지요.

1.토탈리콜 일치도:50%
원작은 도매가로 기억을 팝니다로 폴 버호벤 감독,아놀드 슈왈츠제니거 주연으로 1990년도에 개봉했습니다.
90년대는 아놀드 슈왈츠제네거가 한창 헐리우드를 주름잡을 때로 SF영화지만 그의 영화답게 액션이 주를 이루고 총알이 난무합니다.지금 봐도 SFX기법이 어색하지 않은데
요즘의 컴퓨터 디지털에 의한 C.G가 아니라 아놀로그 형식의 SFX의 최고봉이라고 할수 있습니다.특히 뚱뚱한 여자 얼굴이 반으로 갈라지는 것은 썸뜩하면서도 신기하기도 합니다.
원작을 읽은후 영화와 비교해보니 원작이 영화의 전반부에 해당하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후반부에 해당하는 것은 완전히 창작이더군요.하지만 그래도 어색하지 않게 잘 만든 것 같습니다.영화만 보았을때는 전혀 상상해 보지 못했는데 원작의 결말은 전망 코믹하던군요
ㅎㅎㅎ

2.스크리머스 일치도:90%
원작은 두번째 변종으로 크리스찬 두가이 감독,피터 월레 주연으로 1995년도에 개봉하였읍
니다.아놀드 슈왈츠제네거의 토탈 리콜보다든 5년 정도 늦게 개봉했는데 슈퍼스타가 아니
고 제작비가 없었는지 그닥 화려한 볼거리는 없는 영화입니다.
원작과 영화를 비교해보면 그다지 크게 변한 부분은 없다고 여겨집니다.감독이 충실히 원작
을 화면에 잘 반영한 것 같습니다.원작과 다른 부분이라면 미국와 소련의 전쟁 구조가 영화
될 당시에는 이미 구 소련이 해체되서인지 경제 블록간의 전쟁으로 대체된것으로 기억되고
결말 부분에 여자 군인인 타소가 원작에서는 헨드릭스를 제치고 우주선을 타는데 반해 영화에서는 타소가 다른 타소와 싸우면서 헨드릭스를 우주선에 태워 탈출하는것으로 나옵니
다.
영화 마지막에 곰돌이 인형이 슬슬 움직이면서 끝나는 것으로 기억하는데 마지막의 조그만 반전으로 기억되네요/

3.임포턴스 일치도:100%
원작이 임포턴스인 영화는 게리 플레이더 감독,게리 시나이즈 주연으로 2002년도에 개봉했
읍니다만 같은 해에 영화화된 마이너리티 리포트에 밀려서 크게 주목을 받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아마도 마이너리티 리포트의 주인공이 톰 크루즈이고 감독이 스티븐 스틸버그여서 그랳던 것 같습니다.영화의 주인공이 게리 시니어즈도 영화에서 자주 보이는 분인데 주로 블록버스
터에서는 조연급으로 나왔지만 CSI 뉴욕에서는 당당히 주연인 맥 반장이십니다.
영화는 원작과 거의 100% 동일합니다.책 읽기 싫어하시는 분은 그냥 영화만 보셔되 될 정
도 이니까요.

4.마이너리티 리포트 일치도:70%
마이너리티 리포트는 스티븐 스틸버그 감독,톰 크루즈 주연으로 2002년도에 개봉했습니다.
이 영화는 전 세계적으로 흥행에 성공했고 아마도 필립 K.딕이라는 SF 작가가 유명해 진 것은 이 영화의 흥행덕분이라고 생각됩니다.
물론 필립 K.딕의 소설을 영화화한 작품은 이전에도 블레이드 러너와 앞의 3작품이 있지만
블레이드 러너는 스필버그의 E.T에 밀려 매니어들만 좋아하는 작품으로 남았고 스크리머스
와 임포턴스는 주연 배우가 좀 약해서 그닥 흥행에 성공하지 못했고 토탈리콜은 흥행에는 성공했지만 원작자를 크게 내세우지는 않았던 것으로 기억납니다.어쨓거나 이 영화로 헐리
우드 제작자 사이에서는 필립 K.딕의 작품성을 깨닫고 계속해서 다른 작품을 영화화하게 되는데 이후 페이첵과 넥스트까지 나오게 되지요.
영화와 원작은 많은 부분에서 일치하지만 제일 중요한 부분인 엔더턴이 살인을 하게 되는 계기가 영화는 아들을 죽인 범인을 죽이는 것(물론 엔더턴이 함정에 빠지도록 꾸민 부분이
지만) 과 원작에서는 권력의 다툼(경찰 대 국회 대 군부의 대립구조)인데 원작이 영화보다 더 스케일이 크고 음울하고 묵시론적인 모습을 보여줍니다.
또 원작과 다른 부분은 주인공인데 원작에서는 배가 살짝나오고 머리가 벗겨지기 시작하는 중년의 남자로 나오는데 영화에서는 톰 쿠르즈가 너무 멋있게 나오지요.

5.페이첵 일치도:70%
페이첵은 오우삼 감독,벤 에플릭,우마 서머 주연으로 2004년도에 개봉했습니다.
이 영화도 전 세계적으로 흥행에 성공했고 영화 제작자들 사이에서 필립 K.딕이라는 SF 작가의 명성이 좀더 공고히 해졌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페이첵은 원작과 많은 부분에서 일치하는데 영화 부분이 훨씬 스케일이 크고 액션이 강조
되고 있습니다.

6.넥스트 일치도:10%
넥스트의 원작은 골든맨으로 리 타마호리 감독,니콜라스 케이지,줄리언 무어 주연으로 200
7년도에 개봉하였는데 국내에서는 마이너리티 리포트나 페이첵만큼은 크게 성공하지 못한 것 같습니다.
혹시 원작 골든맨과 넥스트를 모두 보신 분들이라면 이 영화가 원작의 10%만큼도 같지않
다는 것을 아실겁니다.영화는 원작에서 주인공이 미래를 내다 본다는 것만을 차용하고 나머지 부분은 새로이 창작했습니다.
원작에서는 아마도 핵전쟁이후 돌연 변이 인간들이 출현하고 이를 모두 제거하는 특수기관
들이 활약을 하지만 주인공인 골든맨(가족들과도 18년간 전혀 말을 하지 않은 돌연변이
인간이지요)은 미래를 예견하기 때문에 이들을 물리치고 이후 인류를 대체한다는 내용이지
만 영화에서는 니콜라스 케이지는 2분후의 미래만 예지하는데 테러 방지를 위해 쥴리언 무어가 그를 이용한다는 내용입니다.
영화가 원작대로 만들었다면 좀더 묵시적이고 암울한 미래를 그린 SF영화로 잘 나왔을 것 같은데 넥스트는 그냥 그런 액션 활극 같은 영화로 나와서 좀 아쉽게 됬습니다.

필립 K.딕의 장편을 영화화한 블레이드 러너의 경우 원작 소설을 구할 방법이 없어 비교해 보기가 어려웠었는데 다행이 황금가지에서 재간해 주었으니 얼른 사서 비교해 봐야되나 요즘 자금이 좀 딸려서 힘이 드네요^^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고려원에서 나온 아동용 sf소설들로 총 10권입니다.해문이나 성정등 다른 아도용 sf소설들에 비해서 쉽게 헌책방에서 간간히 볼수는 있느나 10권을 다 구하기는 좀 힘든편입니다.

1.태양계 최후의 날/아서 C. 클라크
2.아서왕을 만난 사나이/마크 트웨인→완역본은 미래사에서 나왔으나 절판
3.은하계 방위군/에드워드 e 스미스→옹기장이에서 재간
4.화성의 공주/에드가 라이스 버로우즈→기적의 책,루비박스에서 완역본 재간
5.꼭두각시의 비밀/로버트 A 하인리히→영화 에이리언 마스터의 원작소설
6.은하계의 아들 우주 레인져/아이작 아이시모프
7.걷는식물 트리피디/존 원담→옹기장이에서 재간
8.22세기 우주 경찰학교/로버트 A 하인리히
9.돌고래섬의 모험/아서 C. 클라크
10.되살아난 우주의 괴물/ A.E 반 보그트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국내에선 단 한작품만 소개된 sf작가 필립 호세 파머가 2월 25일날 돌아가셨다네요.작년에 아서 클라크와 비교에서 국내 신문에선 단 한줄 기사도 나지 않았지요.뭐 국내 sf 현실이겠지요.
그나저나 영면하셨으니 혹 어는 출판사에서 예전에 번역된 연인들 재간했으면 좋은데...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국내에서 sf소설은 마이너중의 마이너라고 할수 있읍니다.그간 변두리에서 맴돌던 추리소설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는것에 비해 sf소설을 계속 제자리 걸음만 하고 있고 그나마 발간된 sf소설들도 절판되고 있지요.
그래서 새로 sf소설에 눈뜬 독자들은 헌책방이나 북코아등지에서 절판된 책들은 찾고 이런 절판된 sf책들의 가격은 2~3만원을 육박합니다.여기 알라딘  중고를 봐도 sf소설이 가장 비싸지요.
이렇든 읽고 싶어도 읽을 책이 없자 열혈 sf독자들이 독자적으로 도서관을 만들었읍니다.어느 분이 자신이 소장한 책들을 위주로 sf도서관을 만들었는데 정말 대단하시네요.
요기가 사이트 주소입니다.
http://www.sflib.com/

혹 책을 읽고 싶으신 분들은 한번 찾아가 보세요.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아래 해피sf님이 올리신 08년도 출판 통계를 보고 sf와 접목하여 나름대로 정리해 보았읍니다.출판된 sf소설들은 개인적인 평가에 따라 일부 가감될수 있으므로 정밀성은 떨어지니 그냥 재미로 봐주시길 바랍니다.

분야별 발행 종수 현황

2008년에 총 4만 3,099종이 발행되었다.전년도와 비교해 볼 때 발행 종수는 4.9%(▲2,005종)로 소폭 증가하였으나, 발행부수는 19.6%(▼25,987,444부)로 대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총류 분야가 59.6%로 큰폭의 증가세를 보여 2007년에 이어 1위를 차지한 분야로 나타났다. 이밖에 아동 19.53%, 사회과학 13.6%, 문학 ․ 어학(각 9.4%), 역사 8.7% 순으로 늘어났고, 기술과학은 12.2% 로 가장 많이 감소한 분야로 나타났고, 뒤를 이어 철학 11.3%, 만화 10.3%등 세 분야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sf소설의 발행 종수는  전년대비  137% 신장하여 문학 평균 9.4%보다 높게 신장했다.
sf소설은 발행 종수는 전체 문학 수준에서 보면 미미하지만 sf독자들의 증가에 따라 꾸준히 신장됬음을 알수있다.09년도에는
과연 몇권이나 나올수 있을지???

 24(00년)> 17 (01년)> 46 (02년)> 32 (03년)> 18 (04년)>25 (05년)> 15 (06년)> 27 (07년)> 37 (08년)


종당 평균 발행부수 2,471부, 평균 책값은 1만 2,116원
....
도서의 평균정가는 1만 2,116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2.0%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책값이 가장 비싼 분야는 순수과학 분야로 2만 2,960원이며 전년대비 19.5%로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다. 다음으로 기술과학(21,142원), 역사(19,963원), 총류(18,782원)등 으로 나타났고, 가격이 가장 저렴한 분야는 만화(4,413원), 아동(8,536원), 문학(9,845원) 순으로 나타났다.

도서의 평균정가는 1만 2,116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2.0%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는데 sf의 경우  오히려 전년대비 -6%로 낮아졌다.07년 평균은 12,679원이고 08년 평균은 11,892원이다.
sf소설의 평균 가격대 변화는 아래와 같다.

 7,042(00년)>8,576(01년)>8,572 (02년)>9,828 (03년)>11,161 (04년)>11,271(05년)>10,669 (06년)> 12,679 (07년)> 11,892 (08년)

아래표와 같이 07년의 경우 10(만원미만)/17(만원이상), 08년은 19(만원미만)/16(만원이상)으로 만원이하 책들이 더 많이 나왔기 때문이다.호시 신이찌의 플래시보 시리즈는 대상 수량을 한권으로 한정했고 동일한 책을 한정본으로 출판한 오멜로스의 5권(만육천이상)을 제외하면 08년 sf평균가격은 더 떨어질것으로 생각된다.

08년:6천원대(2)>8천원(3)>9천원(9)>만원(6)>만천원(1)>만이천(4)>만삼천(3)>만사천(1)>만오천(2)>만육천이상(6)
07년:                  7천원(2)>9천원(5)>만원(3)>만천원(1)>만이천(4)>만삼천(4)>만사천(8)>만오천(0)>만육천이상(1)

하지만 어찌됬건 단순히 비교해 보면 08년 문학(9,845원)보다 sf소설(11,892원)이 높은 것은 사실이며(물론 문학부분에서 sf소설이 차지하는 비중이 엄청 낮다는 것은 필히 감안해야 하며 아래 한권당 면수와 함께 고려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런 가격적인 요소가 sf소설의 증가를 떨어뜨리는 한 요소가 되지않을가 싶다.

<08년 각 출판사별 평균 단가>
마      티:16,800원(1)
오멜라스:14,290원(10)→ 한정본 판매전략에 따라 단가 상승
행       책:13,167원(6) → 3위지만 실제로는 1위가 아닐지..
루비박스:12.300원(2)
북스피어:11,150원(4)
황금가지:10,800원(5)
문학과지성:10,000원(1)
우리교육:9,800원(1)
대       교:9,500원(2)
지식여행:8,900원(1)
기적의 책:8,800원(1)
문      예:8,000원(1)
까멜레용:6,800원(2)

평균 면수는 267쪽
한 권당 평균 면수는 267쪽으로 전년도의 266쪽에 비해 0.6%가 늘었다. 가장 두꺼운 분야는 평균 440쪽의 종교 분야로서 전년에 비해 15.4%로 가장 많이 늘었다. 반면 아동은 평균 100쪽으로 전체 분야 가운데 가장 얇은 분야로 나타났다.

sf소설의 경우 08년 권당 평균 면수는 373쪽으로 08년 책의 평균 면수보다 대략 100쪽 정도 많은 편이다.sf소설은 지속적으로 평균 쪽수가 증가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272 (00년)>368 (01년)> 347 (02년)> 388 (03년)> 405 (04년)> 404 (05년)> 409 (06년)>485 (07년)> 373 (08년)
08년의 sf소설 평균 쪽수가 줄어든것은 07년에 비해 만원미만 sf소설들이 증가된 영향으로 판단된다.


위를 토대로 나름대로 아래와 같은 결론에 다달았읍니다.
1.sf소설은 sf독자들의 증가함에 따라 각 출판사가 이 분야에 흥미를 보이면서 발행 종수가 신장하고 있는 추세입니다.(예를 들면 08년에 오멜라스,09년에 샘터등이 새로이 sf소설을 출간하고 있음)

2.sf소설의 가격은 문학 가격 평균보다 높은 편입니다다.
이 말은 맞기도 하지만 틀리기도 하는 말이다.sf소설이 가격이 문학 평균보다 높은 편이지만 권당 페이지수가 대략 100페이지 정도 많이 때문이지요.
sf 애독자의 경우 워낙 한정된 수량이 출판되다 보니 sf소설 가격을 수긍할수 있지만 일반 독자들의 경우 비주류의 sf소설의 가격이 상대적을 비싸면 책을 안사볼 수 있으므로 출판사들의 보다 적절한 가격 정책이 필요하다고 여겨집니다.(물론 이경우 가격을 적절히 흡수할수 있는 대형 출판사들이 sf소설들을 지속적으로 발간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3.문학에서 sf소설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낮은 편이지만 상대적으로 매니아층인 독자들이 있는 관계로 어느 정도 판매가 가능하지만 신규 독자 창출 실패로 기존에 출판했던 출판사들이 1~2년 정도 하다가 발을 빼는 편입니다.오멜라스와 샘터등이 신규로 sf 출판시장에 신규 독자 창출이 없다면 아마도 곧 발을 빼지 않을까 싶네요.
개인적으로 sf 신규 독자 창출을 위해서는 적당한 가격(개인적으로는 12,000원 미만-오멜라스의 한정본 전략은 좀 시기 상조였지 않나 싶네요.기존의 sf독자들은 흔쾌히 샀겠지만 뭔가 하고 책을 들었던 일반 독자들은 sf소설은 이렇게 비싼가하고 책을 놨을수 있다고 봅니다.나중에 일반판이 나왔지만 안 샀을 확률이 대단히 높지요)과 단편집들을 좀더 많이 출판  했으면 합니다.
sf소설을 모르는 일반 독자들에게 갑작스레 장편을 권하기는 힘들지요.일단 여러 작가의 다양한 단편들을 읽으면서 sf소설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킨후 좋아하는 작가의 장편을 찾게 하는것이 좋지 않을까 하네요 (사실 일반 독자들에게 빅 3외에 sf소설가들은 대단히 낯선 존재가 아닐까 싶습니다) 
작년에도 행책의 하드 sf시리즈외에는 단편집들이 없어 매우 아쉬었는데 여러분들의 의견은 어떠신가요?

by caspi

   


 

SF
댓글(5)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보석 2009-02-05 16: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가끔 책을 장바구니에 담다가 가격 보고 다시 빼기고 하지만요, 물가상승에 대비한다면 책값 오름새는 양호한 편이라고 생각합니다. 게다가 우리나라의 SF도서 시장이 워낙 척박해서 가격단가를 낮추는 것은 어렵지 않나 싶습니다. 일단 책이란 게 워낙 초기 단가가 높습니다. 로열티에 번역비에 인쇄비에, 기타 인건비... 대신 많이 찍으면 많이 찍을수록 뒤에는 비용이 적게 들어가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문제는 SF의 경우 마니아층이 있다고는 해도 그 숫자가 그리 많지는 않다는 겁니다. 결국 단가 자체가 높을 수밖에 없다는 얘기죠. 출판사가 사회사업하는 것도 아닌데 책을 알리겠다는 목적으로 손해를 볼 수는 없지 않겠습니까. 결국 비용문제는 너무니없는 가격만 아니라면 출판사에서 결정할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보석 2009-02-05 16: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는 장편집이 단편집보다 더 잘 팔리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어지는 옴니버스식이 아닌 순수한 단편집은 선호도가 낮다고 하더군요. SF를 좀더 보편적으로 알일 수 있는 방법이 있으면 좋겠지만 저도 거기까진 뾰족한 방법이 생각나지 않는군요. 사실, 젤 좋은 건 영화나 드라마로 제작되는 거라고 생각하지만...불가능하겠죠.

카스피 2009-02-05 20: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 보석님도 SF를 좋아하시니봐요.^^
보석님 말씀하신 것처럼 단순히 기존 SF매니아만 상대로 한다면 굳이 가격을 낮출 필요는 없겠지요.하지만 절대 독자수를 늘리지 않으면 출간되는 숫자는 아마 한정될것 같아요.
그리고 장편이 물론 단편보다 많이 팔리겠지만 그건 유명한 빅 3정도의 작가만 해당될겁니다.
여러 작가들의 단편을 접해봐야 그 작가들을 알게 되고 장편도 출간되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생각해 보았읍니다.

보석 2009-02-06 15: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SF는 관심은 있지만 썩 제 취향은 아닌 장르더군요.^^; 그나마 행책에서 나오는 시리즈는 취향에 맞는 게 있어서 그쪽 시리즈를 주목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워낙 순수문학이 아닌 장르문학-판타지, 추리, SF-를 얕보는 분위기라 더욱 독자층이 넓어지는 데 어려움이 많겠지요. 비슷하게 척박하던 미스터리 시장이 제법 커졌으니 조만간 SF도 한번 '뜨지' 않을까요?ㅎㅎ

카스피 2009-02-06 16: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쎄요.국내어서 순 문학이 메이저리그라면 미스터리와 sf는 마이너리그라고 할수 있죠.하지만 미스터리가 트리플 A라면 sf는 루키리그정도 되지 않을까요.
언제 뜰지 갑갑하긴 합니다만 그래도 몇권이 계속 출간되어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