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분이 헌책을 구매한 이유를 동영상으로 올리셨는데 하하 저런 이유로 살 수도 있구나 하는 생각에 올려봅니다.


자신이 태어난 년도의 헌책들을 죽 모아서 사는 것도 재미있단 생각이 드는데 위 동영상 여성분의 경우 모두 원서를 구매하셨는데 구입한 책을 읽으실 수 있다는 사실이 제일 부럽습니당^^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앞서 용산의 뿌리서점을 소개해 드렸는데 천안에도 같은 이름의 헌책방이 있다고 합니다.사실 예전에 한참 전국으로 헌책방 나들이 갈적에 천안에도 들린적이 있지요.

다른 지역은 모두 고속버스나 기차를 타고 몇시간이나 걸려서 가야 됬지만 천안은 1호선을 타면 대략 1시간 반 정도 걸리기에 큰 부담없이 갈 수 이었던것 같습니다.그당시 간곳은 지금은 헌책방 이름은 솔직히 기억에서 가물가물한데 1호선 천안역과 천안 명동이라고 불리우던 곳 중간 정도에 위치했던 헌책방으로 기억하는데 그 라인에 한 두개 정도가 있었던 것으로 기억납니다.그때 절판된 SF책을 구했던 기억이 나네요.지그은 안가본지가 오래라 그 헌책방이 아직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용산 뿌리서점의 유튜브를 보다보니 천안에도 뿌리서점이란 헌책방이 있는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천안의 뿌리서점 주소는 천안시 동남구 대흥로 290-1/운영시간:10시~6시반/첫째 셋째 일요일 휴무입니다.

지도속 A가 천안 뿌리서점입니다.제가 예전에 간 곳은 위치는 비슷한데 맞은편으로 기억하는데 에전 서점이 폐점하고 뿌리서점이 새로 생겼는지 아님 에전 서점이 자리를 이전한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찾아보니 작년까지는 영업중이었던것 같은데 현재는 계속하는지 잘 모르겠네요.혹시라도 천안에 들르시는 일이 계신경우 시간이 되심 한번 구경삼아 가보시는 것도 좋을듯 싶습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예전과 달리 요즘은 워낙 유튜브를 하는 분들이 많아서 헌책방의 경우도 많은 분들이 다녀와서 영상을 올리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그러다보니 블로그에 글을 올릴려고 해당 헌책방을 방문하여 굳이 사진을 찍고 할 필요가 없지요.

물론 한번도 안가보고 글을 올리는 것은 문제가 없지만 요즘은 여러 사정상 서울에 있는 헌책방도 잘 안가다보니 이렇게 유튜브에 있는 아는 헌책방이 나오면 반갑기 그지 없습니다.

용산의 뿌리서점은 용산에 정말 오랜기간 뿌리내린 헌책방 이지요.그런데 제가 본 동영상(3년전)이 원래 쥔장이 퍼가기 금지를 해놔서 다른분 동영상(무려 14년전)으로 대체 했습니다.유튜브에서 용산 뿌리서점을 치면 아마 12분 53초짜라 동영상이 나오는데 찾아오는 길부터 영상이 있으니 혹 찾아가시려는 분들은 이걸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몇년전에 뿌리서점에 다녀왔는데 사질 14년전이나 3년전이나 외관이나 서점 내부 모습은 크게 바뀐것이 없습니다.뭐 지하지만 넓어서 책은 여저니 많은 편이지요.

바뀐점이라며 아무래도 손님이 오면 늘상 커피 드실래요하고 물어보신던 쥔장님이 나이가 드셔선지 이제는 아드님으로 세대 교체가 되었고 또한 예전에는 70~80년대 소설들(ㅎㅎ 변색이 많이 되었던 책들이죠)이 거의 다 사리지고(아마도 판매가 안되고 자리만 차지해서 폐기처분 했겠죠) 거의 90년대 이후 책들로 바뀐 정일 겁니다.뭐 어쩔수 없는게 요즘 MZ들은 헌책도 거의 안 읽거니와 너무 오래된 책들은 거의 손을 대지 않기 때문이죠.


14년전 동영상을 보면서 느낀점은 뭐 그때나 지금이나 서점의 변화는 크게 느낄수 없지만 영상속의 낡은 카세트 테이프 라디오 플레이어를 보니 아 시간이 흘르긴 흘렀구나 하는 생각을 들게 만듭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느분이 알라딘 중고서점에서 책을 구입하는 방법을 올리는 동영상이 있네요


전 위의 올린이가 하는 방법은 일반 가두상권의 헌책방을 방문시 하고 있어요.왜냐하면 일반 헌책방은 사실 있는곳이 교통이 편리한 곳이 많지 않다보니 한번 갈때 웬만하면 뽕을 뽑자는 생각에 헌책방 내부를 전부 스캔하고 시간을 충분이 들여서 사고픈 책이 있으면 가능한 다 사는 주의죠(왜냐하면 다시 오기에는 마음을 먹어야 하기 떄문이죠)

그런데 오히려 알라딘 중고서점을 가면 매장안에 머무는 시간이 짧은 편인데 왜냐하면 미리 필요한 책이 있는지 없는 지 검색을 하고 해당 매장을 방문하기에 굳이 많은 시간을 들이지 않는것 같습니다.그러다보니 가끔은 다음에 찾는 책이 직전에 방문한 중고서점에 있어 낭패를 본 경험이 있어요(ㅎㅎ 그떄 좀 시간을 들여 매장안을 더 살펴볼걸 하는 후회를 합니다ㅜ.ㅜ)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인천도 상당히 큰 도시다보니 헌책방들이 상당히 많았습니다.한참 헌책방을 순례할적에는 보통 부천 부평 동인천등 1호선 라인 부근에 있던 헌책방들을 한번에 다니곤 했지요.물론 역 주변에 있지 않던 헌책방도 이었지만 아무래도 서울에서 다니다보니 시간과 비용문제로 역주변 헌책방을 다녔던 기억이 납니다.

물론 요즘은 눈도 안좋고 해서 인천의 헌책방을 안가기도 하지만 책을 잘 안읽는 풍조와 알라딘 중고서점의 약진(?)으로 인천지역의 기존에 있던 헌책방들도 여러곳 문 닫았지요(물론 새로 연 곳도 있겠지만 잘 알지 못해 찾아가보질 못했네요)


인천에서 가장 유명한 헌책방이 있는곳은 바로 동인천역 인근에 있는 배다리 헌책방 골목입니다.동인천역에서 내려 시장을 가로질로 한 10분 정도 걸어가다보면 나오는데 상당히 큰 전통시장을 구경하는 재미도 쏠쏠했던 기억이 납니다.


위 동영상(3년전)을 보면 아벨서점과 한미서점만 나오는데 실제 저 두곳이 제일 유명하고 헌책도 많은 곳이죠.몇년전 배다리 헌책방 골목을 가보니 과거에는 꽤 많은 헌책방들이 있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그때보니 대략5~6개 점으로 줄었던것 같습니다.시긴이 지나 헌책방이 더 줄었는지 잘 모르겠는데 위 동영상을 보니 아마 좀 더 폐점하지 않았나 생각되네요.

예전에 한미서점은 훨씬 더 노포같은 느낀의 헌책방이었는데 기존 쥔장의 아들이 운영하면서 책방 전면도 노랗게 페인트칠하고 책방 내부도 좀더 깔끔하게 정리 정돈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아무튼 두곳 모두 오래 운영하여 배다리 헌책방 골목의 이름을 이어나기길 기대해 봅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