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이 진에 페퍼민트와 파인애플 주스를 첨가하여 만든 칵테일.

알코올 도수 : 약 30˚
베이스 : 진
기법 : 셰이크
재료 : 드라이 진 1½온스, 페퍼민트 ⅓온스, 파인애플 주스 ⅓온스
글라스 : 칵테일 글라스
: 상쾌한 맛

'세계일주'라는 의미를 가진 칵테일로, 초록의 시원한 색채가 특징이다.

파인애플주스의 적당한 신맛과 페퍼민트의 상쾌한 맛이 입안을 개운하게 한다.

알코올 도수는 약간 높지만, 아름다운 색과 개운한 맛 때문에 여성들이 많이 찾는다.

민트체리(Minthe Cherry)로 장식을 하여 세련된 느낌을 추가하는 것도 좋다.

셰이커에 드라이 진 1½온스, 페퍼민트 ⅓온스, 파인애플 주스 ⅓온스와
얼음을 넣고 흔든 후 글라스에 따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드라이 진에 드라이 베르무트를 섞은 후 올리브로 장식한 칵테일

알코올 도수 : 약 34˚
베이스 : 진
기법 : 스터
재료 : 드라이 진 1½온스, 드라이 베르무트 ½온스
장식 : 올리브
글라스 : 칵테일 글라스
: 쌉쌀한 맛

진에 베르무트를 섞은 후 올리브로 장식한 무색 투명한 칵테일이다.

냄새는 향긋하지만 강한 쓴맛이 난다. 주로 식전에 마신다.

마티니라는 이름은 베르무트를 생산하는 회사인
이탈리아의 '마티니 앤 로시(Martini & Rossi)'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진과 베르무트의 배합 비율에 따라 맛이 달라진다.
드라이 진과 드라이 베르무트를 3:1로 배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얼음을 넣어 온더락스로 할 수도 있다.

스위트 마티니는 드라이 진과 스위트 베르무트의 비율을 2:1,
미디엄 마티니는 드라이 진과 드라이 베르무트의 비율을 2:1/2,
드라이 마티니는 드라이 진과 베르무트의 비율을 5:1,
엑스트라 마티니는 드라이 진과 베르무트의 비율을 7:1로 한다.

만드는 방법은 믹싱글라스에 얼음·진·베르무트를 넣는다.

내용물을 저은 후 잔에 따르고 올리브로 장식한다.

맛을 좋게 하기 위하여 단단하고 물기가 없는 얼음을 사용한다.

또 너무 오래 저어서 얼음이 녹지 않게 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대시(dash)

맨해튼·마티니 등의 칵테일에 쓴 맛이 나는 약주를 한 방울 떨어뜨리는 것을 말한다.

드라이(dry)

포도주나 스피리츠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로서 단맛이 적고 쓴맛이 나는 것.

포도주의 경우는 주로 백포도주에 사용한다. 베르무트에서는 이탈리안이 '스위트', 프렌치가 '드라이'다. 진 가운데 런던 진을 드라이진이라고도 한다. 샴페인을 분류할 경우는 프랑스어 세크(sec)를 사용하여 엑스트라 세크, 세크, 드미 세크라고 한다.

드롭(drop)

칵테일 제조 마지막에 비터스를 한 방울 떨어뜨리는 것을 말하며, 대시와는 구별해서 쓴다.

레시피(recipe)

음식의 조리법을 뜻하는 요리용어.

레시피는 조리법·비법·비결 등을 뜻하며, 약제 등의 처방전을 말하기도 한다. 요리에서는 조리법(調理法)을 가리키며, 해당 요리에 필요한 각종 재료까지 포함된다.

참게장을 예로 들어 보자. 참게장을 만들려면 먼저 장을 담그는 데 들어가는 재료가 있어야 한다. 참게·간장·멸치액젓·생강·통마늘·고추·후추 등이다. 재료가 갖추어지면, 각각의 재료들을 손질하고 일정한 순서에 따라 참게장을 담그게 된다.

이때 들어가는 각각의 재료에서부터 참게의 손질법, 재료의 양, 삭히는 기간, 보관법, 맛있게 먹는 방법 등을 레시피라고 한다. 다시 말해 요리를 만드는 비법이 레시피이다.

머들링(muddling)

재료들을 혼합하기 위해 바스푼으로 휘젓거나, 완성된 칵테일과 함께 제공된 유리나 플라스틱 재질의 막대를 휘저으면서 마시는 방법이다.

베이스(base)

칵테일을 만들 때 기본이 되는 양주를 말한다. 보통 재료 중에 분량이 가장 많다. 기주 또는 밑술이라고도 한다.

빌드(build)

직접넣기 기법.

기구를 사용 하지 않고 재료들을 직접 글라스에 넣어 칵테일을 만드는 방법이다. 탄산음료를 이용해 만드는 칵테일은 주로 이 기법으로 만든다. 진 토닉, 버번 콕, 스카치 소다, 럼 콕 등이 대표적인 칵테일이다.

브랜드(blend)

혼합하기 기법.

칵테일의 특성상 거품을 내야 하거나 재료들이 잘 섞이지 않은 경우 믹서기를 이용하여 재료들을 섞는 기법이다. 믹서기에 얼음과 재료들을 넣고 간 다음 글라스에 따르는 기법이다.

비터스(bitters)

쓴맛을 내는 약(향료와 함께)을 배합한 술.

원료 : 젠션(gentian), 키니네, 쓴 귤껍질
분류 : 건위제

프랑스어로는 아메르(amer)라고 하며, 18세기 초부터 만들었다. 아페리티프(apeeritif:식사 전에 식욕을 돋우기 위해 마시는 술), 건위 강장제, 칵테일용 향미제 등으로 쓰인다. 쓴맛을 내는 약으로서는 젠션(gentian), 키니네, 쓴 귤껍질 등의 추출물질을 쓴다. 젠션은 알프스나 남유럽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는 약초로, 그 뿌리의 엑스를 뽑은 비터스는 건위제로서 높이 평가되고 있다.

앵거스튜라 비터스(angostura bitters)가 세계적으로 유명하며 칵테일용의 상비품이다. 칵테일은 위를 상하게 하기 때문에 이것을 한두 방울 섞어서 그 해독(害毒)을 중화시킨다. 오렌지 비터스는 쓴 귤 껍질의 엑스를 뽑은 것으로, 쓴맛 이외에 오렌지의 향기가 있기 때문에 칵테일에 이용된다. 피콩사(社) 제품 아메르 피콩(amer picon), 뒤보네사 제품 캥키나 뒤보네(quinquina dubonnet)는 키니네를 배합한 강장음료이다.

스퀴즈(squeeze)

과일의 즙을 짜는 것을 말한다.

스터(stir)

휘젓기 기법.

믹싱 글라스에 얼음과 재료를 넣고 가볍게 휘저어 재료를 섞는 기법이다. 기본주의 맛과 향을 유지하면서 재료들이 충분히 섞을 때 사용한다. 너무 오래 저어 얼음이 녹아 술이 희석되는 일은 없도록 주의 해야한다.

스피리츠(spirits)

독한 술 주정제(酒精製)의 뜻을 포함한 증류주의 총칭.

주류를 크게 양조주(청주 ·포도주 ·맥주 등)와 증류주(위스키 ·브랜디 ·럼 ·진 ·보드카 등)로 나누는데, 이스트균의 발효작용에 의한 양조주는 알코올 농도 20도 이상은 제조할 수 없다.

슬라이스(slice)

레몬이나 오렌지와 같은 과일을 얇게 썰은 것을 말한다.

싱글(single)

술의 용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30mℓ를 말한다. 더블은 그 2배이다.

온스(ounce)

야드-파운드법의 질량·부피의 단위.

질량의 단위일 경우 기호는 oz이며, 1oz=1/16lb(파운드)=28.35g이다. 귀금속용의 트로이온스(oz.t.)와 약품계량용의 약용온스(oz.ap.)가 있는데, 1oz.t.=480 γ(그레인)=12/175lb=31.1035g이다. 액체의 용적(액량) 단위일 경우 기호는 fl.oz.이며, 영국에서는 1fl.oz.=1/160 영국갤런=28.413062㎖, 미국에서는 1fl.oz.=1/128 미국갤런=29.57353㎖가 된다.

귀금속의 경우 현재 금의 품위(순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캐럿(carat)을 쓰고, 중량을 나타내는 단위는 트로이온스를 쓴다. 그러나 캐럿은 금이나 금합금에만 사용될 뿐 다른 모든 귀금속의 중량 단위는 트로이온스로 표시된다. 한국에서는 이와는 달리 귀금속의 중량단위로 트로이온스를 거의 사용하고 있지 않지만, 국제적인 금시세는 온스당 가격으로 표시된다.

체이서(chaser)

독한 술을 마신 후 입가심으로 마시는 물이나 탄산수이다.

푸어링(pouring)

칵테일이 온 더 락스 글라스에 제공될 때, 글라스 안의 얼음 위에 술을 붓는 방법이다.

필(peel)

과일 껍질을 이르는 말로 칵테일의 장식으로 사용한다.

플로트(float)

띄우기 기법. 술의 비중차이를 이용해 재료들이 섞이지 않게 하여 층을 쌓는 방법이다. 재료들의 고유한 색과 맛을 그대로 맛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글라스 안쪽에 바스푼을 뒤집어 대고 비중이 무거운 술에서 가벼운 순서로 천천히 따른다. 잔과 도구에 물기를 없애고 해야 하는 것을 잊지 말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