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때 내 친구의 엄마가 열아홉에 자신을 낳았다고 했을 때 무조건 거짓말이라고 생각했다. 그 애 생각이 났다. 사람이 처해진 조건은 사람마다 참 다르다. 그 차이가 일정해야 하는데 너무 극단적이기에 사회마저 극단적으로 가는 것 같다

아버지가 돌아가셨던 그해 나는 다섯 살, 동생은 세 살이었다. 엄마는 고작 스물일곱 살이었다. 나중에 내가 스물일곱이 되었을 때 엄마가 얼마나 어처구니없는 상황에 놓여 있었는지 그제야 실감했다 - P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설가를 바라보는 인식이 달라졌다. 르네 지라르로 인해서. 소설을 쓸 때도 큰 영향을 미칠 것 같다

소설가의 근본적 관심은 인물들의 창조에 있는 것이 아니라 형이상학적 욕망의 폭로에 있다 - P236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23-03-21 15:5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책 읽었구나.
난 오래 전에 보관함에만 담아두고 있는데
왠지 어려울 것 같더라고. 읽을만한가?
한 사람 정도만 빼고 평점은 다 좋던데...

승주나무 2023-03-21 21:12   좋아요 1 | URL
돈키호테, 적과 흑, 악령,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이런 소설들을 읽었다면 읽어볼 만해요. 주로 이 작품들 비평을 토대로 독특한 이론을 전개하더라고요
 

카프카의 모든 작품에 어버지의 메타포가 여러 가지 모습으로 변주되었다. 카프카는 형이상학적인 아버지를 그려냈다. 나는 어버지의 상상력을 사회 전체로 넓히던 와중에 토론이라는 무기를 발견했다. 토론이 자라는 곳에서는 아버지의 독재가 약화될 수밖에 없으니까

아버지의 말에 조금이라도 반대하는 말을 입 밖에 낸다는 건 있을 수 없었지요. 왜냐하면 아버지께서 동의하시지 않거나 먼저 말을 꺼내시지 않은 일에 대해 함부로 말을 한다는 것 다체가 아버지한테는 아예 처음부터 있을 수 없는 것이었으니까요 - P4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자가 평생 비주류 반체제 인사로 남았다는 것이 만인의 스승이 된 가장 큰 원인이 아닐까?

체제의 이론이 된 유교도 출발점에서는 역시 반체제 이론이었다. 공자의 행동이 이에 대해 잘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반체제 이론은 그것이 목적한 사회가 실현되면, 곧바로 체제 이론으로 전환한다 - P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설의 주인공이나 인물들이 실수하는 게 재밌다. 공녀로 끌려가지 않기 위해 남장한 것을 잊어버리고 소녀에게 다가가 질문하자 소녀가 남자인 줄 알고 몹시 불편해하는 장면

이슬은 내 눈을 피하고는 애원하는 눈으로 내 동생을 쳐다보았다. 불편한 기색이 역력했다. 빨갛게 달아오른 뺨이 횃불 때문에 더 붉게 보였다. 그 모습을 보고서야 내 변장을 깨달았다. 지금 나는 양반 청년이었다. 안전하게 여행하려고 한 변장이 이슬과 대화할 때는 오히려 장애물로 작용했다. 내가 몇 걸음 뒤로물러나자 이슬이 어깨의 긴장을 풀고 겨우 대답했다. - P5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