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도서 철학적으로 이해하기- 돌로 만든 타임머신, 화석
이 책은 첫째 아이가 1년쯤 전에 보았던 책이다.
한동안 잊고 있다가... 최근 가시장미님의 페이퍼를 보고 아이와 함께 다시 책을 읽고, 가시장미님의 수업을 따라해 보았다.
이름하여, 가시장미님의 '화석' 수업 따라하기.
(가시장미님, 아이가 한 이야기를 적다 보니, 어쩔 수 없이 님의 수업 내용을 그대로 옮겨적었어요. 허락도 없이 옮겨적었는데 괜찮지요? 혹시 안된다고 하시면 얼른 내릴게요 ^^)
** 아래 내용은 가시장미님의 페이퍼에 있는 내용을 따라한 것입니다.
** 원래 내용은 http://blog.aladin.co.kr/sandalwood/1755235 에서 보실 수 있어요.
- 독서퀴즈!
① 화석을 뜻하는 영어인 ‘fossil’은 ‘땅에서 파낸 것’이라는 뜻의 라틴어에서 온 것입니다. ‘화석’을 한자로 살펴보면 (될 화 -化)자와 (돌 석 -石)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② 화석은 수억 년, 수만 년 전에 지구상에 살았던 생물의 (일부 )나 생물이 남긴
( 흔적 )을 말합니다. 땅에서 파낸 바위는 ( 생물의 흔적 )이 아니니 화석이라고 할 수 없고, 강아지가 파묻고 있는 뼈다귀는 ( 오래 전에 생긴 것 )이 아니니 화석이 아니랍니다. 원시인이 쓰던 돌도끼나 질그릇은 아주 오래된 것이기는 하나 사람이 만든 것이므로 화석이라고 하지 않고 ( 유물 )이라고 합니다.
③ 우리는 보통 화석을 나무, 조개, 공룡 등이 죽어서 지층 속에 오래도록 남아 돌처럼 단단하게 된 것을 생각하지만, 발자국이나 벌레가 기어갔던 흔적, 피부 자국 등 생물이 살면서 남긴 흔적도 화석입니다. 이것을 ( 흔적화석 )이라고 합니다.
④ 땅 속에 묻혀 있는 생물체를 이루는 물질과 땅 속에 들어 있는 광물질이 서로 자리를 바꾸거나, 지하수에 녹아 있던 광물질이 생물체의 조직으로 스며드는 것을 ( 화석화작용 )이라고 합니다.
⑤ 흙, 모래, 자갈과 같은 퇴적물은 순서대로 차곡차곡 쌓이는데, 가장 먼저 쌓인 것이 가장 아래쪽에, 가장 나중에 쌓인 것은 가장 위쪽에 놓이게 됩니다. 퇴적암에 나타나는 이러한 층 구조를 ( 지층 )이라고 합니다. 지층이 쌓이는 동안에 ( 흙 )과 함께 죽은 생물의 몸이나 흔적도 쌓이게 됩니다. 그렇게 땅과 함께 쌓여 오랜 시간이 지나면 지층 속에서 생물은 화석으로 남게 되는 것입니다.
⑥ 과거 그 지역의 환경이 어떠했는지를 알 수 있는 화석을 ( 시상화석 )이라고 합니다. ( 시상화석 )이 될 수 있는 생물은 어떤 특별한 환경에서만 살 수 있는 것이어야 합니다.
⑦ 그 화석이 발견되는 지층이 언제 생긴 것인지를 알려주는 화석도 있어요. 이러한 화석을 ( 표준화석 )이라고 합니다. 이 화석들은 살았던 기간이 짧고,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살아 있을 당시 지구상의 넓은 지역에서 살고 있었던 생물의 화석이랍니다.
- 화석발굴의 필요성을 이해하기
|
|
|
|
여기새는 날 수 있기 때문에 공룡처럼 길게 걸어간 발자국(보행렬)을 남기진 않지만, 먹이를 찾느라 뱅뱅 돌거나 부리로 바닥을 찧은 흔적이 발자국과 함께 남아 있기 때문에 재미있는 연구 주제가 되지요.
그런데 그 많은 새 발자국 중에 특이한 것이 제 눈을 사로잡았어요. 새 발자국이긴 새 발자국인데, 물갈퀴가 있는 새 발자국이었지요. 오리나 거위처럼 발가락 사이에 헤엄을 잘 칠 수 있도록 물갈퀴가 있는 새의 발자국 말이에요.
그때까지 전 세계적으로 물갈퀴가 있는 새의 발자국은 공룡이 살았던 중생대가 끝난 후 찾아온 신생대층에서만 발견되었답니다. 즉, 물갈퀴가 있는 새는 중생대엔 살지 않았다고 알고 있었던 거죠. 그런데 경상남도 일대는 분명 공룡이 살았던 중생대 백악기에 쌓인 지층이거든요. 여기서 물갈퀴가 달린 새의 발자국 화석이 발견된 거예요. 여러분, 이게 무슨 뜻일까요? - p42 |
|
|
|
|
-> 질문하기
- 물갈퀴가 달린 새의 발자국 화석은 무엇을 뜻할까요? 중생대에도 물갈퀴가 달린 새가 살고 있었다. (깜짝 응용 : 물갈퀴가 달린 새는 신생대에도 있었고, 중생대에도 있었으므로 표준화석이 될 수 없다. ^^)
- 위에 내용으로 볼 때, 화석은 우리에게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까요? 옛날에 있었던 사실을 알려주는 타임머신과 같다.
- 위와 비슷한 또 다른 사례로 어떤 것이 있을까요? 사람의 발자국 화석
- 화석에 대한 해석을 이해하기
|
|
|
|
여기에 인용문을 입력오비랩터의 화석은 1923년, 몽고의 고비사막에서 알둥지와 함께 최초로 발견되었어요. 사람들은 오비랩터가 다른 공룡의 알을 훔치다가 죽음을 맞이했을 것으로 생각했어요. 그래서 새로 발견한 공룡의 이름을 ‘알도둑’이라는 뜻의 ‘오비랩터'라고 지었죠. 사람들은 오비랩터가 다른 공룡의 알을 훔쳐먹고 살았을 것이라고 생각했답니다.
그러나 1992년, 발굴팀이 다시 찾은 몽고에서 또다시 알둥지와 함께 있는 오비랩터를 발견했는데, 이번에는 그 둥지에 갓 부화한 새끼 오비랩터가 함께 있었답니다. 이로써 오리랩터는 알 도둑이 아닌 착한 어미 공룡이 되었습니다. - p62 |
|
|
|
|
-> 질문하기
- 오비랩터가 오해를 받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알 둥지와 함께 최초로 발견되어서
- 위의 글을 읽고, 화석에 대한 해석에 어떤 생각을 하게 되었나요? 여러 가지 경우가 있을 수도 있다.
- 위에 내용으로 볼 때, 화석을 발굴하는 과학자들은 어떤 태도를 지녀야 할까요? 또다른 가능성을 생각하는 태도
** 재미있는 독후활동을 할 수 있는 자료를 공개해 주신 가시장미님께 다시 한 번 감사드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