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이 있고, 영화로도 나왔다네.  

정신병원에 입원한 상황이 <시간의 경계에 선 여자>에서 묘사하는 것보다는 덜 비참해 보이기는 했지만, 정신병을 앓고 있는 사람들이 또 다른 세계에 살고 있다는 저자의 묘사는 맞는 말인 듯하다.  

특히 저자가 진단받은 경계성 인격장애를 서술한 많은 부분이 사춘기 아이들이 지니는 특성이라는 말은 동감이 간다. 그냥 다르다는 이유로 감당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어떤 병명을 붙이는 것은 아닐까 하는 걱정이 들기도 한다.  

<하지만 대부분 정신은 뇌의 산물일 뿐이다. '기억'은 우리 머릿속의 특정한 지점들에서 세포가 변화를 일으키는 특정한 형태다. '기분'은 신경 전달 물질들의 화합물이다. 아세틸콜린이 너무 많고 세로토닌이 부족하면 우울해진다.  

그렇다면, 정신에 남아 있는 것은 무엇인가? 

세로토닌이 부족하다고 해서 곧바로 이 세상이 '썩어빠지고, 무미건조하고, 헛되다'고 느끼는 것은 아니다. 그런 생각으로 궁지에 몰린 사람에 대한 희곡을 쓴다는 것은 더욱 어려운 일이다. 이런 사실이 정신에 어떤 여지를 남겨준다. 신경이 움직이는 떠들썩한 소리를 해석해 주는 무언가가 있다.> -- 206쪽 

<거의 한 세기 동안 정신분석학자들은 자신들이 가본 적 없는, 갈 수 없었던 나라가 돌아가는 상황에 대한 기사들을 써 왔다. 그런데 갑자기 그 나라가 국경을 개방하여 특파원들로 들끓자, 신경생물학자들은 새로운 정보로 가득한 기사를 일주일에 열 꼭지씩 써댔다. 그런데 이 두 부류의 기자들은 서로의 글을 읽지 않는 듯하다.  

그것은 분석가들이 '정신'이라 불리는 나라에 대한 글을 쓰고, 신경과학자들이 스스로 '뇌'라고 부르는 나라에서 기사를 송부하는 까닭이다.> -- 21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책을 읽으면서 이름과 지명이 영어가 아니었다면 그냥 우리네 사는 이야기라고 해도 이상하지 않을 듯 했다.  

아이 양육에 대한 거의 전적인 책임을 지고 있는 여자들이 느끼는 바를 어쩌면 이렇게 잘 묘사하고 있는지 감탄했다. 사실 많은 여자들이 엄마 노릇을 지긋지긋하고 있구나하는 생각에 약간 위안이 되기도 했다. 그런 의미에서 모성에 대한 신화를 이야기하는 책과 맥락이 비슷하지 않을까 싶은 생각을 하며 읽었는데, 결말은 의외였다. 지금 여기에 있는 나를 받아들이고 앞으로 나아가자는 이야기인가?   

<예정된 길로 나아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설명해 주고 싶었다. 책임감과 올바른 길 안내가 조화를 이루어야 가능한 일이었다. 가치 있는 것을 지키면서 그와 동시에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 지금 자신이 가진 것도 돌봐야 하지만, 동시에 삶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은 하나도 놓쳐서는 안된다. 그런 이유로, 자신과 직접 관련이 없는 일을 걱정하는 건 아무 소용이 없는 일이다. 계속 앞으로 나아가며 얻을 수 있는 것은 모두 얻고 절대 한계를 두어서는 안 된다.> -- 30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책을 읽으면서 용어가 선명하게 와 닿지 않아서 조금 힘들었다. 결국은  극복의 문제인가?  

본래 긍정적인(부정적인) 어머니 콤플렉스, 본래 긍정적인(부정적인) 아버지 콤플렉스. 

저자가 예시로 든 인물들을 보면서 그래서 어떻게 하라는 거지? 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니마, 아니무스라는 말도 익숙하고 저자가 하려는 말도 어렴풋하게나마 이해는 가지만, 결국 꼼꼼하게 읽었다고 할 수는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혼이 따귀를 맞으면 어떻게 되는걸까에 대한 대답을 보여준다. 융 심리학과 어떤 점에서 크게 차이가 나는지 잘 모르겠다. 기본적으로 사람을 대하는 일이란 자신의 마음 상태가 더 중요하다는 점에 심리학 각 연구학파가 의견이 다른가?  게슈탈트 심리치료가 우리 말로 형태심리치료라고 하더라. 아무튼 새겨둘만한 말은 많았다. 트위터에 올려두었으니 나중에 필요하면 거기서 보면 된다.    

저자가 사용하는 용어인 <마음상함>이란 말이 좋다. 번역자가 설명하고 있지만, 학술 용어 느낌이 나지 않으면서 의미가 분명하게 와닿는다.    

  

 코닉스버그가 쓰는 책의 주인공은 참 씩씩하다.  

 유쾌하지만 생각할 거리를 많이 주는 이야기였다. 물론 아주 참신한 내용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에 대한 이야기였다.

무언가를 아끼고 사랑할 때 어떻게 지켜야 하는가에 대한 방법을 배울 수 있었다. 또한 마가릿의 작은외할아버지들이 탑에 대해 갖는 생각도 나름의 의미가 있었다. 자식이 크면 당연히 떠나보내야 하는 법이라며 받아들이려고 하지만 오히려 탑을 아끼는 다른 사람들은 자식이 아니기 때문에 떠나보낼 수 없는 마음에서 결국은 구할 수 있게 된다. 마무리는 내가 좋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서 참 좋았다. 후일담까지 나오는 이야기가 좋으니까. 독자에게 상상하라고 하기보다 어느 정도까지는 작가가 마무리해주는 이야기가 좋더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천한가지 방법이라고 했다. 읽으면서 나한테 맞는 몇가지는 실천해 보고 싶었다.  

315쪽 <남을 비난하지 말라>  다음과 같이 인정하라. "내가 이런 기분을 느끼는 건 네가 나에게 했던 말과 행동 때문이 아니라 내가 내 자신에게 했던 말과 행동 때문이야"라고. 혹은 마음을 평온하게 하는 방법도 있다. "이런 상처 때문에 내 속을 곪게 만들지는 않겠어. 내 마음은 아주 평온해"라고 말이다. 일방적인 선언으로 마음 속의 냉전을 끝내는 방법도 있다. "더 이상 비난하지 않을래. 바라는 것도 전혀 없어"라고.

319쪽 <인간관계를 넓혀 보자>  대부분의 사람들은 사람의 겉모습만 보고 판단한다. 이제부터는 그 사람의 직업이나 사회적 지위만 보지 말고 끝없는 잠재력을 지닌 영혼을 바라보라. 사람은 자신이 선택했든 우연이든, 아니면 두 경우가 뒤섞여서든 지금의 지위를 갖게 된 것이다. 그의 본질을  발견하는 것은 당신의 몫이라는 사실을 기억하라.

321쪽 <남을 고치려 들지 말자>  흔히 우리는 다른 사람의 외모, 말하는 법, 의견, 관심사 등 그 사람의 모든 것을 고치려고 하는 데에 정신적으로 너무 많은 에너지를 허비한다. 그런 태도는 그 사람을 고쳐야 할 교정본으로, 자기 자신을 편집자로 여기는 것이나 다름없다. 그런 바보 같은 짓을 하지 말라. 자신의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남을 고치려고 하는 것은 있을 수도 없고 적절하지도 못한 일이다. 이는 오히려 당신의 정신을 불안하게 만들어버리는 원흉이 될 수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