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사 숙녀 여러분, 가스실로 - 폴란드 ㅣ 창비세계문학 단편선
타데우쉬 보로프스키 외 지음, 정병권.최성은 엮고 옮김 / 창비 / 2010년 1월
평점 :
어떤 책의 마침표는 다른 책이다. <쿠오 바디스>는 1세기 로마의 네로 시대를 그리고 있지만 정작 작가 시엔키에비츠는 폴란드인이다. 말미의 작품 해설에는 시엔키에비츠의 <등대지기>라는 단편 소설 얘기가 나온다. 폴란드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단편소설이며 국정 교과서에도 실려 있으며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에도 영감을 줬다는 그 얘기를 찾아 헤매다 이 책을 만났다.
짧은 얘기로 나의 전부를 설명할 수 없듯이 단편소설은 '제약'을 필연적으로 수반하며 미완으로 끝나는 한계를 가진다. 그런데 그 한계 안에서 처절한 성공을 거두게 되면 응축된 얘기에 삶의 정수를 '찡'하게 추출해 낼 수 있다. 굉장히 어렵고 드문 일이다. 어렵고 드문 일을 만났다. 정말 오랜만에 웬만해서 몰입하기 힘든 단편 하나하나에 푹푹 발이 빠졌다.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러시아의 3국에 120여년 동안 분할점령되었던 역사, 제2차 세계대전의 시발점이었던 나치의 침공하에 아우슈비츠의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의 증언적 위치 등이 폴란드적 정서 전체를 대변하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특수한 역사적 체험은 이야기 곳곳에 점점이 들어와 박혀 '생'에 대한 조금 더 음울하고 관조적인 시선을 불러낸다. 깊고 오묘하고 슬픔에 찬 눈동자를 통과한 이야기이다.
얼음처럼 서늘하고도 깊은 전율과 함께 앞으로 그가 절대 목격하지 못할 수많은 영상들이 펼쳐지기 시작했다. 차갑고 거대한 초록빛 대양, 야자수와 섬으로 가득한 푸른 바다, 차갑기도 하고 뜨겁기도 한 대지, 항구와 마을에 있는 여인들, 그가 만날 수 있고, 사랑할 수 있고,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사람들, 사람들, 사람들. 그러나 그들은 지금 여기에 없고, 앞으로도 만날 수 없을 것이다.
-야로스와프 이바시키에비츠 <자작나무숲> 중
폐결핵에 걸려 자작나무숲 형 곁으로 돌아오는 동생이 죽음 앞에서 자신이 놓칠 것들을 하나씩 셈하는 동안 잠시 망연했다. 그가 절대 목격하지 못할 것들을 나는 목격하고 있는지. 내일이라도 당장 볼 수 있는 건지. 초록빛 대양, 만날 수 있고, 사랑할 수 있고,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사람들, 사람들, 사람들. 다가오는 죽음 앞에서 되려 삶을 황홀하게만 느끼게 되는 스타시 앞에서 잠시 부끄러워졌다. 조금 더 관능적이고, 조금 더 정열적으로 살아도 괜찮지 않을까, 싶게 만드는 얘기.
"제 아이가 아닙니다. 선생님, 제 아이가 아니예요!"
여자는 신경질적으로 외치며 두 손으로 얼굴을 가리고 뛰어간다. 그녀는 재빨리 몸을 숨기고 싶은 것이다. 트럭을 타지 않는 사람들에게로, 걸어서 수용소까지 가게 될 사람들 틈으로, 계속 살아남게 될 사람들의 무리 속으로 가고 싶은 것이다. 그녀는 젊고, 아름답고, 건강하다. 그녀는 살고 싶은 것이다.
하지만 아이는 악을 쓰면서 그녀의 뒤를 따라간다.
"엄마, 엄마, 가지 마!"
"내 아이가 아냐, 내아이가 아니라고, 아니라니까!......"
-타데우쉬 보로프스키 <신사 숙녀 여러분, 가스실로>
표제작. 이 수용소 안에 눈물어린 자기 희생적 모정은 없다. 아이와 함께 가스실로 가는 대신 살고 싶은 한 여자가 있다. 그녀는 분홍빛의 통통한 뺨을 가진 천사 같은 아이를 뒤로 하고 태연하게 걸으려 애쓴다. 내 아이가 아니라고 절규하면서. 인간에 대한 지극히 냉소적이고 관조적인 시선. 하지만 생에 대한 절절한 끄달림. 시린 바람이 가슴을 파고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일을 꿈꾸며 아이의 옷가지들을 세탁하고 기차 안에서 아이를 목욕시키던 프리모 레비의 어머니들은 여기에 없다. 프리모 레비의 절규는 오히려 여기에서 공명한다. 이것이 인간인가! 인간이기에 살고 싶고 살고 싶기에 생의 미덕들을 포기하게 되는 역설적 비극이 젊은 작가의 푸르스름한 눈빛 앞에서 흔들린다.
이 이야기들의 마침표는 <자작나무숲>의 작가 야로스와프 이바시키에비츠에게서 빌려온다. 모든 것은 그림처럼, 혹은 음악처럼 아름다웠다,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