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분은 당신의 인생을 ‘아무리 재미있어도 다시 읽고 싶지는 않은 책‘에 비유하셨습니다. 그러기에 책의 마지막 장을 덮듯 여기서 그만 끝내겠다며, 평생 문학을 사랑해 온 분답게 말씀하셨습니다.

<드디어 그를 만다다 中>
- P58

죽음이 삶에 대해 갖는 열등의식, 마치 늙음이 젊음에 대해 느끼는 그것처럼.

<귀천을 하루 앞둔 날 中>
- P69

"오늘 밤은 잠들지 않으려고 해요. 생의 마지막 밤을 잠으로 보내고 싶지 않으니까. 모든 순간을 깨어서 느껴보려고 해요. 지상의 모든 순간, 모든 마지막을."

<귀천을 하루 앞둔 날 中>
- P72

죽을 때가 오면 그냥 죽어라.
죽음 속에는 죽음 외에 아무것도 없다.

<조력사로 생을 마감하다 中>
- P76

조금 일찍 가더라도 사뿐히 떨어지자. 매달린다고 매달려질 수도 없는 것이 우리의 생명이니.

<조력사로 생을 마감하다 中>


- P102

그의 죽음은 잘 짜인 한 편의 각본이자 매끈한 연출 같았습니다. 단 그 스스로 각본을 쓰고, 스스로 연출을 맡고, 스스로 주인공이 된.

<조력사로 생을 마감하다 中>
- P103

제가 이번에 특별한 경험을 해보니 죽음은 무서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잘 살기만 하면 두렵지 않게 죽음을 맞을 수 있따는 확신을 얻었습니다. 그 잘 사는 길은 ‘사랑‘입니다. 우리가 일생 추구해 온 돈, 명예, 권력, 지위는 물론, 건강까지도 죽음 엎에는 먼저 죽습니다. 사랑만이 죽음을 초워하며 사람에 따라서는 영생하게 합니다.

<죽음을 두렵지 않게 맞는 방법 中>

- P108

데이비드 실즈의 에세이 <우리는 언젠가 죽는다>에는 "시도가 실패한다고 해도 무슨 상관인가? 모든 인생은 결국에는 실패한다. 우리가 할 일은 시도하는 과정에서 즐기는 것이다."라는 말이 나옵니다. 죽음을 자주 생각하면서 저는 삶을 과정으로 보는 여유가 생겼습니다.

<우리는 언젠가 죽는다 中>

- P129

결론을 말하자면 수용의 단계에서 죽음은 아름다워집니다. 빛이 납니다. 승화됩니다. 삶도 덩달아 완성됩니다. 퀴르러로스는 수용 단계에 이를 수만 있다면 위대한 영적 빛과 철학적 평온을 맞이하게 된다고 말합니다. 성인급 죽음 수준인 거지요. 보통 사람인 우리 대부분은 이르지 못한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우리 대부분은 광야를 헤매는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들처럼 부정, 분노, 타협, 우울의 상태를 반복하다가 가나안의 복된 죽음을 맞지 못한 채 광야에서 죽음을 맞게 되는 거지요.

<죽음을 쓰는 사람 中>
- P137

대다수 사람들은 마지막 숨을 거두기 전까지도 자신이 죽어가는 것을 부정한다. 그중 자신에게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아는 사람들은 빠른 속도로 성숙해진다. 이럴 경우 그들은 일생 회피해온 문제와 정면으로 부딪치게 되기도 한다. 죽음에 이른 순간에 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기쁨이자 특권이다. (...) 죽어가는 사람들은 매우 진실해지고 아주 빠르게 결정한다. 죽음이 배움과 영혼의 성장을 위한 기회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젠, 죽을 수 있게 해줘> M.스캇 펙 저/ 조종상 역, 율리시즈 중에서)

<막상 내 죽음이 닥쳐 봐, 그게 되나 中>


- P139

지적인 인간의 문제는 ‘자아가 충만‘해 진다는데 있습니다. 무턱대고 자존심이 세집니다. 자기 생각으로 꽉 차게 되니까요. 내가 옳으니까요. 내가 내 삶의 주인이니까요. 희한하게도 자존심에 반비례해서 자존감은 낮습니다. 그러면서도 정신력과 의지는 강합니다.

<영성의 배내옷, 영성의 수의 中>


- P14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통계청이 2012년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한국의 인구는 2030년까지 증가, 가구 스는 2035년까지 증가할 것이다. 지금부터 약 20년 후까지는 여전히 가구 수가 증가한다는 이야기다. 통계청의 발표를 근거로 단순 계산해보면, 연간 가구 수는 평균 약 20만 가구씩 늘어나며 따라서 그만큼의 주택 수는 계속해서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1장. 부동산 투자, 여전히 유효한가? 中>

- P26

하루아침에 부자의 반열에 오른 사람들, 그들은 어떻게 그처럼 부자가 되 것일까? 여러 원인이 있을 것이다. 평소부터 준비를 해왔다, 근면 성실했다, 긍정적인 마인드를 가지고 있었다 등. 그러나 그들이 부자가 된 현실적인 이유는 딱 두가지다.
‘위기가 왔다. 그들에겐 돈이 있었다.‘


<2장. 현명한 투자자의 정석 中>

- P9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왜 실패하지 않는 법에 초점을 맞추고 공부해야 하나? 손자(孫子)는 이렇게 말했다. "지지 않는 것은 나에게 달려 있다. 그러나 이기는 것은 상대방에게 달려 있다." 아군이 전쟁에 대비해서 미리 철저히 준비한다면 전쟁에서 지지 않는다. 그러나 상대방을 이기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실수나 허점이 있거나 또는 행운이 도와주어야 한다. 결국 투자에서 손해 보지 않는 것은 나에게 달려 있고 내가 컨트롤 할 수 있지만, 투자에서 성공하는 것은 통제 불가능한 변수들 때문에 내 마음대로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아마추어 투자법과 고수 투자법의 차이 中>

- P25

프랑스의 수학자 라플라스(Pierre Simon Laplace)도 미래를 알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는 세상 모든 원자의 위치와 운동량을 정확히 알 수만 있다면 뉴턴의 물리학에 따라서 우주가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 알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세상 모든 원자의 위치와 속도를 다 파악하고 있는 존재를 ‘라플라스의 악마(Laplace‘s demon)라고 이름 붙였다.(...)
과학이 발달하면서 미래는 정해져 있지 않다는 것이 증명되고 있다. 하이젠베르그(Werner Karl Heisenberg)의 불확정성의 원리(Heisenberg‘s Uncertainty Principle)가 그 증거다. 하이젠베르그는 불확정성의 원리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위치를 알면 속도가 불분명해지고 속도를 알면 위치가 불분명해지는데, 이렇게 되는 까닭은 관측 장비가 부실해서가 아니고 양자의 속성이 원래 그러하기 때문이다.

<부자가 될 사주팔자는 따로 있는가 中>
- P55

1980년대 말의 투기 광풍을 돌아보자. 가장 먼저 오른 건 채권 가격이었다. 다음으로 주가가 올랐다. 그 다음엔 아파트에 투기 광풍이 불었다. 그 다음 땅 투자가 유행이었다. 마지막으론 그림 투자가 유행했다. 투기 바람에도 순서가 있는데, 해답은 언제나 하나, 바로 ‘환금성‘이다. 환금성이 가장 높은 것부터 시작해서 환금성이 낮은 것으로 번져가는 것이다.

<투기 바람에는 일정한 방향이 있다 中>

- P86

대개 이사 횟수와 재산은 비례한다. 여러 곳에 직접 살아봐야 지역별 장단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부동산을 보는 안목이 생기고 안목이 돈으로 변한다. 그래서 젊을 때는 들개처럼 돌아다니며 영토 본능을 극복해야 한다.

<영토 본능의 오류 中>

- P90

내가 좋아하는 말 중에 "자극과 반응 사이에는 공간이 있다"라는 말이 있다. 대부분의 사람은 자극에 대해서 본능적으로 반응한다. 배고프면 먹고, 에쁜 물건 보면 산다. 이런 사람들은 자극과 반응 사이에 공간이 없는 사람들이다. 환경에 휘둘리는 사람들이다. 조그만 일로 쉽게 화내고 울고 낙담하고 들뜨는 사람들이다.
그러나 성공한 사람과 부자들은 자극에 대해서 본능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이런 사람들의 자극과 반응 사이에는 공간이 있다. 공간에는 자유의지가 있다. (...)결국 부자가 되고 싶다면 자극과 반응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고 인생을 주도적으로 끌고 나가야 한다.

<자극과 반응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라 中>

- P178

부동산중개업자와 평소에 친하게 지내라. (...) 법정수수료보다 돈을 더 주어라. 그래야 급매물이 나올 때 당씬에게 전화가 오지 않겠는가? 비싸게 팔고 싶다면 한 중개업소에만 내놓아라. 그래야 중개업자가 자기만 팔 수 있으므로 조급해 하지 않고 젖ㄱ절한 매도 타이밍을 봐서 비싸게 팔아줄 수 있다. 빨리 팔고 싶다면 여러 곳에 내놓아라.
- P241

그럼 한국의 자영업자의 비율이 왜 이렇게 높을까? 1997년 IMF사태 이후 쏟아져 나온 실업자들이 생계형 창업을 많이 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더 근본적인 이유는 1992년도 이후 사회주의 국가였던 중국과 인도의 본격적인 자본주의 시장경제 편입으로 자본주의 시장경제에서 저임금 노동자들이 급격히 늘어났고, 이들과의 경쟁에서 밀린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얻지 못하고 생계형 자영업자로 내몰린 까닭이다.

<자영업의 쇠퇴는 상가투자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中>

- P3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국부론>을 읽다보면 불쾌하고 불명예스러운 직업일수록 수입이 많다는 언급이 나온다. 어느 나라나 백정은 수이이 좋았다고 한다. 또 사형 집행인은 수입이 상당히 많다고도 한다. 여관이나 술집 주인도 명예롭지 못하기에 돈을 많이 번다고 한다. 불쾌감과 불명예까 심리적인 진입 장벽 역할을 해서 수익을 내기 좋다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부동산 투자로 불쾌하고 불명예스러운 투자처에 투자하면 수익을 많이 거둘 수 있을 거란 아이디어를 생각해냈다.

<거인의 어깨에 올라서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 中>

- P27

부자가 되는 비결은 저축하고, 또 그 돈을 투자하는 데 있다. 저축하고 투자하고 또 저축하고 투자하고..... 지루한 반복이 부자로 가는 길이다. (...)
그러나 나이가 들면 체력이 약해지고 머리 회전속도도 떨어지고 무엇보다 복구할 시간적 여유가 없다는 생각이 들면서 용기가 사라진다. 그래서 젊은 시절에 용기를 내서 투자해야 한다.

<부자가 되려면 손실의 공포에서 벗어나라 中> - P217

슘페터는 자본주의는 역사의 뒤안길로 조용히 사라질 것이라고 예언했다. 의사가 환자의 죽음을 결코 바라진 않지만 환자의 죽음을 선고하듯이 슘페터는 세상을 풍요롭게 만든 자본주의는 종말을 고하고 사회주의 시대가 올 것이라고 예언했다.
슘페터는 사회주의는 세상을 풍요롭게 만들 어떤 근거도 증거도 없으며 기대할 수 없는 불량품이라고 보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자본주의는 서서히 쇠퇴하고 사회주의가 득세할 것이라고 단언했다.

<돈 벌고 싶다면 혁신 기업에 투자하라 中>
- P257

제법 많은 연구자들이 이 문제에 대해 고민했다. 미국의 마이클 그린스톤과 애덤 추니의 연구에 따르면 물가 상승률을 제외한 실질 투자수익률 기준으로 비교해 보니 주식투자수익률은 연 7퍼센트고 금, 채권, 부동산 투자수익률은 모두 3퍼센트 미만이었다고 한다.
그런데 대학 졸업장의 투자수익률은 연 15퍼센트 이상으로 밝혀졌다고 한다. 결국 자녀를 대학에 보내는 게 가장 좋은 투자라는 것이다.

<교육비에 투자할까 부동산에 투자해서 유산으로 물려줄까 中> - P29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존의 개발 방법은 외곽 지역에 택지를 개발하여 아파트를 공급하는 방법이다. 1기 신도시가 지어지면 2기 신도시, 2기 신도시가 다 지어지면 3기 신도시...... 이런 식으로 점점 외과으로 뻗어 나가면서 택지를 개발해 왔던 것이다. 문제는 이렇게 무분별하게 택지를 개발할 때마다 산이나 논밭이 파헤쳐진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자연 환경이 파괴되는 것이다. 핮지만 도시 재생 사업을 통해 도심 지역의 주택 수를 늘리는 데는 환경 파괴가 뒤따르지 않는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택지 위에 층수만 더 늘려서 지으면 되기 때문이다.

<아파트는 땅이다 中>

- P286

소유권이 세대별로 분리가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다가구 주택은 법적으로는 단독주택으로 볼 수 있다. 쉽게 말해 임대를 주기 위해 단돋주택에 방을 여러 개 만든 거라 보면 된다.

<아파트, 그 대안은 없는가? 中>

- P329

이때 재건축 아파트는 기존의 철근 콘크리트 조가 아니라 철골조로 건설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고밀도로 재건축되기 때문에 30~40년 후에 재건축을 다시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수명이 100년 이상 보장되는 철골 조로 공사를 했을 때 설비 등 미비점은 20여 년마다 리모델링으로 보완해 나가면서 건물의 효용성을 높이는 것이다. 또 하나는 30~40년 후 주택 수요가 줄어들 경우 철골 조는 가변 설계가 가능하므로 주택의 수요 감소에 효율적으로 대처를 하여 아파트가 슬럼화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아파트, 그 대안은 없는가? 中>
- P342

KB국민은행 통계가 시작된 1986년 1월부터 2021년 4월까지 전국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은 456%였다. 이는 단독주택(다가구 주택 포함) 매매가 상승률 73%나 연립주택 상승률(빌라나 다세대 주택 포함) 매매가 상승률 155%보다 압도적으로 높은 상승률이다. 그런데 매매가뿐만 아니라 전세가 상승률에서도 주택 유형별 상승률은 차이가 난다. 같은 기간 동안 전국 아파트 전세가 상승률은 922%였다. 이는 단독주택 전세가 상승률 194%나 연립주택 전세가 상승률 498%보다 압도적으로 높다.

<아파트, 그 대안은 없는가? 中>
- P344

(...)전기 자동차가 일반화되면 될수록(본인만의 전용 차고가 없는) 아파트보다는 본인만의 전용 차고가 있는 단독주택이나 타운홈이 고소득층을 중심으로 각광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
앞으로 지어지는 아파트 단지는 전기 충전시설을 완비한 아파트가 등장할 것이다. 이는 적어도 1가구당 한 대의 충전기와 충전 공간이 보장되는 단지를 말한다. 이를 위해 본인만의 주차 공간이 할당되는 전용주차제가 일반화될 것이다.

<아파트, 그 대안은 없는가? 中>

- P34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