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두근두근 내 인생
김애란 지음 / 창비 / 2011년 6월
평점 :
굶주림만 알고 있는 아이는 울지 않는다. 배만 볼록하고 한번도 걷거나 뭔가를 쥐어 본적이 없을 듯한 팔과 다리는 아무것도 없어왔고, 이제 그 무엇도 없을 거라고 말을 한다. 거동이 불편하고 욕망의 씨앗조차 말라버린 것을 늙음이라 말하기엔 뭔가 설명이 부족하다. 애초에 싹을 틔우지 못한 이런 경우도 있으니까. 김애란 소설의 소년은 그렇게 늙었다. 상실을 안고 살아가지만, 상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 내면의 빈 공간이 너무 커져 공간 안에서 머물고 있다. 떼 쓰는 애도 아니고, 떼 안 쓰는 늙은이도 아닌 애늙은이… (흡사 김애란에 대한 평가가 나이, 경험, 욕망의 깊이에 관한 것이 많았던 것을 보면 소년은 애란이었을 수도 있겠다라는 생각도 든다.)
갑자기 성인의 세계에 발을 내디뎌 학창시설을 잃어버린 아이돌처럼 뭔가 열렬히 갈망할 것 같은데, 쉽게 그것을 드러내놓지 않는다. 하나가 있다면 부모님을 웃기는 것. 최초의 욕망은 아이의 것이면서 부모의 것이다. 부모의 욕망에 의해 소년이 태어난 것처럼 필연적 관계를 형성한다. 소년의 것은 어디에 있을까. 내 인생을 내 심장을 뛰게 만드는 것은 어디에 있을까. 줄 듯 말 듯 감질난다.
세상의 말을 익히기 위한 소년의 몸부림은 글로 시작한다. 글을 읽고 글을 쓰지만, ‘관계’없이 새겨지지 않는 말도 있다. 아버지가 그랬고, 어머니가 그랬다. 딱 한 번의 계기가 있었지만, 사기였다. 그것조차 소년에겐 오래 가져갈 수 없는 것이었다. 잡을 수 없을 만큼 시간의 속도는 빠르다. 그런 속도감을 안다면 허무는 자연스러워진다. 쿨 한 것이 아니다. 쿨 해질 수 밖에 없는 설정. 소설은 대단히 제한적 상황과 특수성을 부여하고 있으며, 인간성과 동물성, 시간과 인생, 희노애락의 알레고리를 연출한다. 가장 짧은 생애를 살면서 느낄 수 있는 것들 말이다. 아니면 없는 것들에 관한 이야기인 것이다.
작가는 격렬한 방식을 선택할 수 있었을 텐데, 젖어 들다 한참이 지나서야 뭔가를 빼앗긴 것을 알아채도록 타이머를 작동시킨다. 허탈감과 상실감이 더욱 커지는 이러한 구조는 시간적이지만, 비선형적으로 그렸다. 부모의 생과의 이어짐을 계속 강조한다. 열린 시간이며, 다른 생과의 끊김 없는 인연을 보여준다. 소년이 마지막까지 붙잡고 싶었던 것, 부모가 놓고 싶지 않았던 것, 살아간다는 건 그것을 따라간다는 것. 소년은 결국 상실을 가슴 깊이 새긴다. 이제 막 성장했는데, 죽음이 다가온다. 영결식은 성인식이 된다.
소년의 최후의 말은 최초의 욕망이었다. 거기까지였고, 그것으로 완성되었다.
간절함… 늙어도 죽어도 사라지지 않는 소년의 마음이다. 모두는 그런 간절함이 있다.
떨린다고 또는 살아있음을 심장은 쉼 없이 말을 한다. 내 생의 민낯을 보게 될 불안 그리고 설레임. 괜히 눈물이 난다. 없는 줄 알았는데, 너무나 큰 게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