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 씨네큐브, 두 개의 상영관 중 더 작은 규모인 아트 큐브에서 <더 차일드>를 보다. 큰 상영관에서는 <천상의 소녀>가 상영중이었다. 시사회 당첨되고도 못갔던 영화. --;
<더 차일드>는 벨기에 작가주의를 대표하는 장 피에르 다르덴과 뤽 다르덴 형제 감독의 영화다. 지난 해 칸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더 차일드>는 <아무도 모른다>를 떠올리게 했다. 관찰자적인 입장에서 카메라를 좇아 가야 하는 관객의 불편함, 화면에 펼쳐지는 그 차가운 색깔들, 음악에 조차 기대지 않고 무음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건조하면서도 강렬한 슬픔.
20살의 남자, 18살의 여자. 그 사이의 어린 아들. 거리에서 소매치기를 하며 살아가는 남자와 이제 갓 18살인 여자. 지미라는 아이는 태어난지 한 달도 안되어 철없는 아빠에 의해 팔려갔다가 가까스로 엄마의 품으로 돌아온다.
영화에서는 아이가.. 저 갓난아이 지미가 아니라 바로 20살의 남자이자 아빠인 브뤼노이다. 갓난아이 지미는 쓸데없이 울지도 않고 얌전하며 조용하게 지내는 반면 20살의 아빠는 장난이나 치고 다니며 매사가 엉망이다. 일은 멍청한 사람들이나 하는 것이라며, 소매치기를 해서는 돈이 생기는 대로 바로 써버리곤 한다. 심지어 아들을 팔고나서 돈을 세며 아이는 또 낳으면 된다고 말하는..
하지만 <아무도 모른다>에서 자식들을 버리고 떠났던 엄마를 천하의 몹쓸 여자로 비추지 않았던것 같이 <더 차일드>에서도 20살의 아빠 브뤼노를 인간 말종이라고 비난하는 시각으로 담지 않았다. 이런 브뤼노에게도 물론, 엄마가 있다. 하지만 엄마 역시 브뤼노를 대하는 시선이 서늘하다.
조용히 잠만 자는 너무나도 작고 여린 갓난아기의 울음소리 보다 브뤼노의 눈물이 더 가슴 아팠다. 20년 동안 저렇게 지내온 브뤼노의 인생은 앞으로 어떻게 흘러갈 것인가. 눈물을 흘리는 어린 청년, 피투성이 아기 브뤼노.
# 다르덴 형제에 대하여..
형인 장 피에르 다르덴은 1951년, 그리고 동생인 뤽 다르덴은 1954년 벨기에에서 태어났다. 장 피에르는 몇몇 영화의 조연출, 스탠드업 코미디, 실험 연출 등을 경험했고, 동생인 뤽은 대학에서 철학을 전공했다. 이들의 장편이 불과 여섯 편에 불과하다고는 하지만, 1975년부터 이들은 자신들이 태어나고 성장한 벨기에의 산업 도시에서 지방 노동자 투쟁, 빈민들, 폴란드 이민 노동자, 68혁명의 실패한 세대, 반 나치 레지스탕스 운동 등 다양한 사회적 이슈들에 관한 60여 편의 다큐멘터리 영화들을 연출했다.
이들이 극영화로 방향을 돌린 것은 1987년 <거짓>과 1992년에 찍은 실험적인 영화 <나는 당신을 생각한다>였다. 이 두 편의 작품은 몇몇 국제 영화제에 초청되어 주목받기도 했으나, 그러나 이들을 세상에 알릴 만큼 큰 반향을 일으킨 것은 아니었다. 이들은 여전히 다큐멘터리와 픽션 그 사이의 경계에 서 있었다. “다큐멘터리에서 리얼리티는 언제나 영화 외부에 존재한다.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것, 심지어 카메라에 저항하는 리얼리티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있는 그대로를 찍는 것이었다. 우리는 다큐멘터리의 이러한 양상을 영화로 끌어들이고자 하였다. 우리는 모든 것을 보여 주는 것(showing)이 아니라, 모든 것을 보게 하도록(seeing) 하고 싶었다. 인물과 상황들은 리얼리티의 불투명한 그림자 속에 남게 된다. 하지만 그것이야말로 우리가 담고자 하는 진실과 삶 자체이다.”
다르덴 형제가 드디어 세계적인 주목을 받게 된 건 1996년에 연출한 <약속>을 통해서였다. 이 영화는 도스토예프스키의 <카라마조프의 형제>에 나오는 한 구절로부터 출발된 작품이었다. “모든 사람들은 모든 사람들 앞에서 죄를 짓습니다. 어떻게 설명할 수는 없지만, 저는 죄의식을 느끼고 그것은 저의 마음을 혼란스럽게 합니다.” - 필름2.0 (영화평론가 정지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