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영혼의 정원/마리온 퀴스텐마허 지음·장혜경 옮김/236쪽·1만 원·책씨
《당신의 감각을 활짝 열고
생명이 연출하는 기적을 느끼세요
하얀 자작나무에 새긴 요정의 서신…
라일락 향기가 전하는 사랑의 고백…
살아 있는 모든 것은 신비롭습니다》
더디 피는 들장미는 장미의 딸이다. 장미의 추신(追伸)이다. 유월의 여름을 달뜨게 했던 장미의 후렴이다. 그의 소명은 장미의 노래를 기품 있게 완성하는 것이다.
때늦은 것들이 다 그렇듯 들장미는 지나간 것보다 다가올 것을 가리킨다. 장미가 눈을 뜨고 꿈을 꾸었다면, 들장미는 눈을 감고서 꿈에서 깨어난다! 들장미는 붉은색의 환심을 사려고 애쓰지 않는다. 광택에 눈길을 빼앗기지 않는다. 황혼기에 접어든 인간들과는 달리 ‘인식의 날카로운 가시울타리’(니체)에 집착하지 않는다. 들장미는 스스로 포기할 줄 아는 그 모든 것으로 인해 부자가 된다.
시드는 순간, 비단처럼 부드러운 아름다움을 놓아버리고 달콤한 향기가 사라질 때 들장미는 작별을 고하는 작고 붉은 등불을 켠다. 수줍은 듯 앙증맞은 열매를 내미는 것이다.
그때 어디선가 호르르, 배고픈 새 한 마리가 날아와 이 등불을 물고 먼 황혼의 구름 속으로 떠나간다. ‘오래전 민들레 곁에서/지빠귀의 노란 눈동자를 보며 약속한 그대로….’(얀 스카셀)
이 책은 우리 바깥에, 그리고 우리 마음속에 있는 정원을 매개로 주변의 소박한 사물과 자연 속에 깃들어 있는 생명의 신비, 그 영혼의 비밀을 캔다. 수많은 시인과 신비주의자들을 전령 삼아 총명한 사랑과 온유한 인내심이 빚어내는 ‘초록의 언어’를 들려준다.
도심 속의 녹색주의자를 자처하는 저자는 우리의 감각을 활짝 열고 살아 있는 모든 것의 기적을 느끼라고 말한다. “네 영혼 속에서 장미의 정원을 발견하라. 장미는 고요하고, 그 깊은 침묵으로 네 가슴속 존재의 가시를 뽑는다….”
1936년 네덜란드에 튤립 투기 광풍이 불어 닥쳤을 때 사람들은 우리 인생에서 정말 소중한 것이 무엇인지 잊고 있었다. ‘신의 부(富)’가 어디서 활짝 피어나는지 잊고 있었다. “가만히 튤립의 아름다움을 관조하노라면 그대는 신이 튤립의 무엇에 투자했는지를 알게 되리라.”
독일에는 물망초를 손에 들고 있으면 숨겨진 보물을 찾을 수 있다는 전설이 전해 내려온다. 그러나 그 보물을 잡으려고 물망초 꽃을 놓는 순간 마법은 풀리고 만다. 우리 인생의 진정한 보물을 놓치고 만 것이다.
빛을 향해 돌아선 사과 꽃잎을 보노라면 자신도 모르게 스르르 마음이 열린다는 저자. 그는 꽃송이를 드리운 라일락에서 봄을 향한 사랑의 고백을 들어 보라고 다독인다. 천상의 거울처럼 반짝이는 자작나무의 하얀 껍질에서 달 밝은 밤 요정이 새겨 놓은 비밀처럼 곱고 우아한 편지를 읽어 보라고 속삭인다. 부드러운 바람에 몸을 맡기고 창조의 혼란에 위트와 기지로 봉사하는 그 장난기에 함빡 빠져 보라고 한다.
가녀린 데이지 꽃을 매만지며 신의 은총이 느껴지지 않느냐고 묻는다. “데이지는 아이들의 꽃이다. 작은 몸짓의 스승이다. 그 완벽한 초라함으로 작은 힘을 상징하는 순수한 신호다. 이 작은 생명이 우리에게 이토록 큰 위로를 베풀다니.”
그리고 구름의 산책길을 따라가며 명상에 잠긴다. “구름은 정해진 형태를 버려야 비로소 제 형태를 얻는다. 숭고한 정적이 넘쳐나는 거대한 배가 되어 영원할 듯 하늘에 닻을 내리고 있어도 구름은 한 장의 꽃잎보다 유한하고 순간 그 자체보다 무상하다. 존재하는 것은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나타나는 것은 그 자신이며, 그 자신이 아니다….”(괴테)
고대 이집트 상형문자에서 ‘초록’은 ‘행복’을 의미했다. 행복은 싱싱한 식물처럼 푸른 것이니 우리의 정원에서 그 어떤 녹색생명도 가난하지 않다. 나비는 이 생명의 환희와 기쁨을 춤춘다. 나비가 날개를 파닥이는 곳에선 한 조각 낙원이 탄생한다. 일체의 확고한 지점을 거부하지만 끝없이 넓은 공간, 허공을 제 집으로 삼는 그 태평스럽고 경쾌한 우아함이라니. 나비는 가장 깊은 본성에서부터 격동의 허공이다. 현란한 색채의 허공이다! 원제 ‘Vom Zauber der Blumen und einfachen Dinge’(2004년).
이기우 문화전문기자 keywo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