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 to Learn: Why Unleashing the Instinct to Play Will Make Our Children Happier, More Self-Reliant, and Better Students for Life (Paperback)
Peter Gray / Basic Books / 201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뭉근한 감동과 함께 결코 쉽지 않은 과제를 남겨준 책. 그런데 저자 소개 알라딘 링크가 잘못된 듯. 일러스트레이터가 아니라 발달심리학자라고 하는데. 찾아보니 <언스쿨링>(황기우 옮김, 박영스토리, 2015)이라는 제목으로 번역본이 나와있다. 여기저기서 한국의 언스쿨링 모임도 눈에 띈다. 하지만 언스쿨링이라는 것도, 이상만 좇는 낭만주의 실험으로 전락하지 않으려면(자식을 담보로 모험을 할 순 없잖은가), 조직화된 현대사회에서 체계적이고 규모있게 실효성을 가지고 지속되려면, 그 취지와 철학에 공감하는 어른들이 적극적으로 기획하고 운영하는 ‘언스쿨링 스쿨’의 형태가 되어야지 않을까. 이 책 5장 서드베리 스쿨의 사례가 좋은 참조점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유전적으로 수렵채집인의 습성이 남아있다 하더라도 어쨌든 우리가 살아가는 환경은 더 이상 수렵채집사회는 아니니. 잃어버린 원시 자연의 본능과 자발적 놀이의 즐거움을 일깨우면서도 결코 반사회적 방임으로 흐르지 않는, 체제보완형 언스쿨링의 길을 잘 찾아봐야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Why Buddhism Is True: The Science and Philosophy of Meditation and Enlightenment (Paperback)
로버트 라이트 / Simon & Schuster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진화심리학자의 붓디즘 입문기. 불교 유식사상의 근거를 진화생물학적 관점에서 조명하고 있는 점이 신선하다. 현상을 왜곡하고 번뇌 망상에 사로잡힌 인간이 겪는 일생의 고통은 우리 유전자가 생존과 번식에 성공했기 때문으로, 다시 말해 고통은 생존의 필연적 대가라는 것. 진화심리학 분야에서 최근 지지를 얻고 있는 modular-mind model 이론과 이의 실천적 응용으로서 위빠사나 명상을 주목하고 이 둘을 접목시켜 마음의 생성과 역동을 포착하는 부분, 분산된 집중력에서부터 '혐오'와 같은 강렬한 감정까지도 mind-module의 메커니즘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넓은 의미에서) 약물중독과 같은 충동 조절의 문제로 보고, 만족 보상 기전에 의해 강화되어 왔던 모듈을 RAIN(recognization, acceptance, investigation, nonidentification)을 요체로 하는 위빠사나 수행법을 통해 약화시킴으로써 저항이나 통제와는 다른 차원에서 심리적 문제를 극복하고자 하는 방법, 외부 세계를 인식하는 데 있어서 자기중심의 감정과 판단, 이야기의 개입을 최소화했을 때 비로소 만물의 연속성을 발견하게 된다는 명상가들의 경험담 등등 반추해볼 만한 대목들이 많다.

프리초프 카프라의 <현대물리학과 동양사상>이 현대물리학을 불교의 선사상에 포개어 놓는다면, 이 책은 인간 내면의 최신물리학이라 할 법한 진화심리학을 그리 해보이고 있다. 마찬가지로 양쪽의 세계가 설득력 있게 맞물린다. (정확히는 진화심리학이 불교 철학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좋은 발판이 되어준다고 해야겠지만) 도대체 설명할 수 없는 것이 있기라도 한가 싶은, 아니 적어도 그런 막강한 기세로 보이는 진화심리학에 지적 토대를 둔 저자가 학문적 답보상태에 이르러 그 돌파구를 불교 명상수행에서 찾으려 한다는 점도 의미심장하다. 여러 심리 실험 데이터, 수련을 쌓은 명상가들과의 문답, 명상 수행 과정에서의 개인적 체험 등을 긴밀하게 교차해 가며 초심자의 시각에서 불교 철학(사성제, 연기설, 무아론, 공사상, 열반 등등)을 들여다 보고 있는 이 책은, (1)근대 서구 과학의 세계관과 사유체계(진화심리학도 결국 이의 산물인 바)에 이미 깊이 길들여져 있는 동시에 (2)어떤 분야든 일단 먼저 책으로 파악하려는 습벽을 떨치질 못하는, 양대 악조건에 놓인 이들에게 희망을 준다. 이런 중생들도 얼마든지 깨달음의 경지로 나아갈 수 있다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양 2024-07-09 14: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근데 이 책 초반부에 웃기는 한 구절이 있었는데... 붓디즘을 구태여 ‘웨스턴 붓디즘’이라고 칭하면서 마치 동양의 붓디즘이 자연에서 막 채굴한 (질 좋고 안좋은 거 다 섞여있는 벌크한) 원유 같은 것이고 자기네들의 붓디즘은 그걸 고도로 정제한 거라는 식으로 말을 하더라는... ㅎㅎㅎ
 
마키아벨리 어록 시오노 나나미의 저작들 8
시오노 나나미 지음, 오정환 옮김 / 한길사 / 2002년 12월
평점 :
품절


마키아벨리가 결코 독재자들의 교본일 수 없는 까닭은, 그가 이렇게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가에, 그리고 지도자 개인에게 유해한 것은 끊임없는 탄압으로 사람들의 마음을 공포와 의혹에 몰아넣는 일이다. 그것은 유해를 넘어 위험하다. 인간은 절망적인 공포에 사로잡히면, 자기 몸을 지키겠다는 생각만으로 광포하고 무모한 반격을 하게 마련이다. 따라서 시민을 함부로 형벌이나 탄압으로 억누르는 어리석은 짓을 해서는 안 된다. 사람들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고, 그들의 마음이 자기 일에만 쏠리도록 해주어야 한다."(정략론 중에서) 그가 독재정치를 위험하게 보는 것은 권력의 남용에서 발생하는 도덕성의 결여라든가 반인도주의적 성격이라든가 등등의 이유 때문은 전혀 아니며, 다만 오로지 그것이 민심의 반발을 야기하여 결과적으로는 광포한 사회적 혼란을 유발할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바로 이런 사고방식이야말로 진짜 마키아벨리즘 아닐까.

한편 마키아벨리가 군주론을 썼음에도 정체의 문제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공화주의자였단 사실은 다음의 언급에서도 잘 나타난다. "한 개인의 역량에만 의지하는 국가의 생명은 짧다. 제아무리 재능이 뛰어나더라도 그 사람이 죽으면 만사가 끝나기 때문이다. 게다가 선임 지도자의 재능이 승계되는 예는 참으로 드물다. 건전한 국가란 우수한 지도자가 죽은 뒤에도 누가 뒤를 잇든지 그 노선이 계승되어나갈 수 있는 체제가 구축된 국가라고 나는 말하고 싶다."(정략론 중에서) 그러나 마키아벨리가 군주의 역량에 무게를 두는 것 또한 분명한 사실이다. "나는 공화국조차도 원래 개개의 위대한 군주적 기량의 소유자나 조직자의 힘 없이는 만들 수 없다고 생각하므로, 나의 공화주의적 이상은 처음부터 군주주의적 색채를 띠고 있었는지도 모른다."(서신 중에서) 마키아벨리가 이상적으로 생각한 정체는 어떤 것이었을까? 현대의 대통령제가 이에 근접하다고 할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세예술 : 형이상학적 해명 조중걸의 서양예술사 시리즈
조중걸 지음 / 지혜정원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형이상학적 해명 시리즈의 축약본이라 해도 좋을 <서양미술사 철학으로 읽기>(한권의책, 2013)에서 중세 건축의 고딕 양식을 유명론에 연결시키는 대목이 선뜻 납득이 잘 안 가고 다소 무리한 주장 아닌가 싶었는데 아무래도 지나치게 압축된 내용이라서 그랬던 것 같다. 이 책 중세예술편에서는 보다 체계적이고 면밀하게 그 해명이 이루어지고 있다. 간략히 적어보면

고딕 양식은 그동안 중세 스콜라 철학의 영향을 받았다고 알려져 왔지만 스콜라 철학은 철학의 한 방법론일 뿐 그 자체가 이념은 아니다. 고딕은 실재론에 기반한 로마네스크 양식에 대한 안티테제로서 신앙적 신비주의와 (유명론으로 대두되는) 지적 회의주의를 그 이념으로 갖는다. 실재론적 전통 신학에 대한 문제제기, 즉 이성으로 포착되지 않는 신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라는 측면에서 유명론과 신비주의는 한 동전의 양면으로써 전자가 경험과 관찰을 통해 직접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개별자들에게만 의미를 부여한다면 후자는 영감에 의한 주관적 체험에 집중한다.

고딕 양식에 대한 저자의 평가는 유명론에 대한 것 만큼이나 새롭고 놀랍다. 고딕이 고대, 중세 로마네스크, 르네상스에 걸쳐 플라토니즘 이념 하에 있던 라틴 문명에 대한 서부 유럽 최초의 독립 선언이라는 것. 로마네스크와 고딕이 보여주는 양식상의 단절은 기독교와 개신교, 고대와 근대, 합리주의와 경험론이 보여주는 인식론적 격차 만큼이나 극적이라는 것.

고딕 건축의 이념을 규명하는데 대부분의 지면을 할애하다 보니 상대적으로 다른 예술 장르에 대한 언급이 부족한 점은 아쉽다. 바흐 이전의 중세 음악이나 문학 분야도 골고루 다뤄주었으면 좋았을 텐데. 이 책에는 중세 고딕성당의 골조 모형 구석구석을 다각도에서 포착한 사진들이 대거 수록되어 있다. 저자가 직접 금속공예가에게 부탁해서 주문 제작한 것이라고. 이 모형 자체가 귀한 장관이다. 한참을 들여다보게 된다.



90쪽 밑에서 9번째 줄: 도시 성당의 승리 선언 --> 도시와 성당의 승리 선언
119쪽 10번째 줄: 구원은 신에 대한 지식에 입각한 그들의 삶이 구성이었으며 --> 신에 대한 지식에 입각한 그들의 삶이 구원의 대상이었으며
140쪽 마지막 줄: 전락된다 --> 전달된다
167쪽 8번째 줄: 처리해야하는 --> 처리해야 하는
265쪽 밑에서 5번째 줄: 지상에 대한 존중과 감각에 대한 경멸 --> 개별자에 대한 무관심, 감각에 대한 경멸 (제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대예술 : 형이상학적 해명 조중걸의 서양예술사 시리즈
조중걸 지음 / 지혜정원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대예술편 읽고 나니 무려 석기시대가 친근하다. 신기한 체험이다. 밑줄 친 곳이 많다. 자연주의(=사유와 관념을 배제한 채로 이루어지는 감각적 응시)와 환각주의(=지성의 종합적 구성력)가 조화롭게 공존하는 양식을 고전주의로 규정하면서 구석기 벽화를 고전주의 양식의 예술로 평가하고 구석기에서 신석기로의 이행과 근대에서 현대로의 이행에는 세계관의 변화에 있어서 유비관계가 성립한다고 보는 것, 예술양식에 있어서 신석기시대와 이집트가 세계관을 공유하고 있다는 것,

이집트의 그늘에서 벗어난 그리스 예술 고유의 자연주의적 성취에 주목하면서 여기서 헤라클레이토스적 세계관을 읽어내고 나아가서는 그리스 고전주의가 '침잠하고, 사유하고, 구성하고, 지성적이 되길 요구'하는 파르메니데스적인 세계관(규준과 절도를 갖추게 되고 초연함과 장중함을 드러냄)과 '참여하고, 느끼고, 해체하고, 감성적이 되길 요구'하는 헤라클레이토스적 세계관(자연주의적 활기와 경쾌 그리고 유연성을 지니게 됨)의 이상적인 균형과 조화를 보여준다고 평가하는 대목, 아울러 이렇게 조화를 이루는 형국은 일시적이며, 부의 유입에 힘입어 점차 자연주의가 득세하는 방향으로 흘러가면서 하나의 세계관을 보여주는 일단의 양식은 결국 '해체'에 이르게 된다는 것,

헬레니즘 미술에서 근대의 바로크, 로코코, 낭만주의 사조에 대응하는 경향성을 포착하며 고전주의 몰락 이후의 공통된 풍경을 짚어내는 대목, 로마예술의 사실주의적 경향에서 철학적 이념으로서의 실증주의를 읽어내고 로마인의 스토아주의를 현대의 실존주의에 대응시키는 대목, 정면성의 원리에 입각해 제작된 콘스탄티누스 황제 개선문 부조에서 로마의 군주 개념 변화와 함께 새로운 중세적 세계관의 등장을 읽어내는 것 등등.

다음의 전망은 의미심장하다. "억압된 지성은 결국 스스로를 해방시키고 지성에 대한 실망은 새로운 독단을 불러들인다. (...) 현대는 자신의 이념에 관한 한 무정부 상태이며 절망과 자유의 시대이다. 현대는 언제고 그 피로를 더 이상 견디지 못할 것이다. 무의미에 지친 로마인들이 기독교라는 독단을 불러들이듯이 고달픈 현대는 새로운 독단을 불러들일 것이다."(193쪽) 어쩌면 수세기 후의 인류는 바야흐로 선불교적 영성사회로 침잠하게 될 것인가? 이 또한 하나의 독단으로서? 모를 일이다. 확실한 것은 들숨과 날숨이 반복다는 사실 뿐이리라. 오탈자가 많다. 개정판 낼 때는 다듬었으면.



118쪽 밑에서 7번째 줄: 예술이 --> 예술의
199쪽 밑에서 3번째 줄: 티의 묘사에서는 --> 티의 묘지에서는
241쪽 밑에서 6번째 줄: 허장성제적인 --> 허장성세적인
452쪽 밑에서 6번째 줄: 재국말기 --> 제국말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