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 지르는 꼬마 요리사
피터 애커먼 지음, 맥스 달튼 그림, 박지예 옮김 / 더블북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난 주말에 서울에 다녀오면서 미술전시회를 보고 굿즈샵에서 이 그림책을 처음 보았다. 평소 그림책은 관심있게 보는 편이지만 미술관에서 이 그림책을 봤을 때는 조금 낯설었다. 해당 전시와 관계 있었다면 좀 덜 낯설었을까? 때마침 이 그림책의 그림을 그린 맥스달튼의 전시회가 열리고 있으니 연계해 보면 괜찮겠다.


나는 도서관에 들어온 신간도서에서 이 그림책을 보게 되었다. 우선 이 그림책은 스토리가 재미나다. 맥스 달튼이라는 일러스트 작가 때문에 그림책을 손에 잡았더라도 피터 애커먼을 떠올려보자. 피터 애커먼은 아이스 에이지와 앵그리버드 등의 각본을 쓴 사람이다. 


이 그림책의 소년은 잘 시간이 되거나 학교 갈 시간이 되었을 때, 아이스크림을 바닥에 떨어뜨렸을 때나 곰인형을 잃어버렸을 때도 소리를 지른다. 시도때도 없이 소리를 지르는 아이의 부모는 아이만큼이나 소리를 지르고 싶었을 것이다. 아이의 떼를 멈추게 하려고 별별 방법을 다 써보는데.... 


드디어 찾아낸 방법은 음식을 먹이는 것. 엄마 아빠가 만들어 준 음식은 아이로 하여금 달콤한 잠에 빠져들게 할만큼 맛있었던 것. 그런데 이 방법은 아이가 소리를 지르지 않게는 하였으나 고도비만을 불러오고 말았다. 그러던 어느날 엄마아빠가 치킨을 새까맣게 태운 날 아이는 소리를 지르기 시작하는 데 … 이번에는 어떤 방법이 소리를 멈추게 할까?


소리지르는 아이가 소리지르는 꼬마 요리사가 되기까지 몇가지 에피소드를 거치는데 기발한 상상력이 돋보인다. 화를 내거나 소리를 지르거나 자기 감정을 잘 조절하지 못하는 아이에게 화를 다스리며 가라 앉히는 모습을 자연스럽게 보여준다. 떼쟁이 아이를 키우고 있는 양육자와 소리지르고 떼쓰는 아이들이 꼭 읽어봤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실리콘밸리 천재들의 생각 아포리즘 - 0에서 1을 만드는 생각의 탄생
김태현 지음 / 리텍콘텐츠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포리즘은 깊은 체험적 진리를 간결하고 압축된 형식으로 나타낸 짧은 글이다. 작가의 독자적인 창작이기도 하다. 저자는 여기저기서 모은 짧은 문장들을 잘 분류하여 한권의 책을 완성하였다. 실리콘밸리 천재들에 관한 책은 엄청 많겠지만 그들의 생각을 번역된 언어로뿐만 아니라 영어 원문을 그대로 써서 실제적인 생각을 전하려고 하였다고 한다. 크게 3개로 나누어진 이 책은 실리콘밸리를 대표하는 천재들을 '통찰'이라는 키워드로 분류한다.


제1장부터 스티브잡스, 빌게이츠, 래리 페이지, 세르게이 브린, 일론 머스크를 만날수 있다. 사실 내 마음은 너무 뻔한 인물들의 등장에 조금 힘이 빠지는 느낌이었다. 신선하지 못할 정도로 너무 유명한 그들이 아닌가. 피할래야 피할수 없는 운명이랄까?


저자는 스티브잡스를 이렇게 책으로 데려온다. "오늘날 스티브 잡스를 모르는 사람은 보기 드물 정도이다. 그는 시대를 대표하는 혁신의 아이콘이었으며 많은 사람에게 영감을 주는 인물이다. 그가 남긴 명언 중에는 'Stay hungry, Stay foolish'라는 말이 있다. 번역이나 뉘앙스의 차이는 있지만, 항상 갈구하고 바보짓 하기를 두려워 말라는 의미이다. 우리는 그의 말을 통해 삶의 태도를 짐작할 수 있다. 도전이 망설여지고 미래가 불안하다면, 여기 스티브잡스의 대표적인 일화를 통해 그가 어떻게 세상을 바꾸고 주도할 수 있었는지 알아보자." 라고. 


나의 사업모델은 비틀즈이다. 부정적인 상황에서 그들은 서로를 지탱해주는 존재였다. 서로 균형을 맞춰주었고 개인보다 공동체일 때 더 강했다. 이렇듯 나의 관점에서 사업이란 한 팀의 사람들이 이루어 내는 것이지, 개인이 이룰 수 없다. p.13


My model for business is The Beatles. They were four guys who kept each other's kind of negative tendencies in check. They balanced each other, and the total wa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parts. That's how I see business: great things in business are never done by one person, they're done by a team of people.


빌 게이츠는 자신만의 철학이 있었기 때문에 성공할 수 있었다. 그는 최고의 지식경영 전략은 기술에 대한 ' 이해'와 ' 사랑'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구글 전 CEO 래리 페이지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기업 입장에서는 뚜렷한 '경쟁자'가 있다는 생각 아래 경쟁하며, 성장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개인적으로는, 경쟁자를 시야에서 없애고 우리 기업의 목표 자체를 높게 잡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한다. 경쟁자만을 바라보는 것은 바람직한 성장이 아니다. 가능성을 바라보고, 세상을 어떻게 더 나은 곳으로 만들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


For a lot of companies, it's useful for them to feel like they have an obvious competitor and to rally around that. I personally believe it's better to shoot higher. You don't want to be looking at your competitors. You want to be looking at what's possible and how to make the world better.


요즘 특히 마음에 와닿는 문장이라면 이것이다. 

"우리는 많은 관리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너무 많기보다는 적은 것이 더 낫다."​


We don't have as many managers as we should, but we would rather have too few than too many.


"나는 모든 사람이 일을 계속하기 위해서는 비효율적인 일을 해야 한다는 생각 자체를 이해할 수 없다. 그것은 정답이 아니다."


The idea that evene should lavishly work so they do something inefficiently so they keep their job - that just doesn't make any sense to me. That can't be the right answer.


다음은 일론머스크이다. 개인적으로는 일론 머스크의 행적들이 그다지 마음에 들지 않는 편인데, 그가 했다는 말들은 의외로 새겨둘만했다.


"지금까지 해온 일, 그리고 앞으로 해야 할 일에 대해 계속해서 고민하게 된다면, 남들의 의견을 수용하는 피드백을 꾸준히 듣는 것이 좋다."


I think it's very important to have a feedback loop, where you're constantly thinking about what you've done and how you could be doing it better.



"어려운 일을 해내기 위해 많은 사람을 고용하는 것은 실수다. 인원이 많다고 해서 답이 나오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발전을 늦춘다. 또한,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단점으로 작용한다."


It is a mistake to hire huge numbers of people to get a complicated job done. Numbers will never compensate for talent in getting the right answer, will tend to slow down progress, and will make the task incredibly expensive.


"기업은 상품이나 서비스를 창출하는 '하나의 그룹'이기 때문에 회사에 속한 직원들의 수준, 직원들이 창조하는 것, 그들이 이 일을 즐기는가로 어떤 회사인지 판가름할 수 있다. 나는 탁월한 재능을 가진 우리 직원들에 고마움을 느낀다. 나는 그저 회사의 얼굴일 뿐이지 우리 그룹은 훌륭한 직원들로 이루어져 있다."


A company is a group organized to create a product or service, and it is only as good as its people and how excited they are about creating. I do want to recognize a ton of super-talented people. I just happen to be the face of the companies.


"사람들은 이 일을 왜 해야 하는지, 즉 일의 목적을 알 때 업무 능률이 올라간다. 사람들이 일하는 기쁨을 만끽하게 하려면 본인 일의 목적을 알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출근할 아침이 기다려지게 만들기도 한다."


People work better when they know what the goal is and why. It is important that people look forward to coming to work in the morning and enjoy working.


"사실이 그렇지 않은데 일이 잘되고 있다고 스스로 속이지 말라. 그랬다가는 나쁜 해결책에만 매달리게 될 것이다."


Don't delude yourself into thinking something's working when it's not, or you're gonna get fixated on a bad solution.


몇가지만 더 내가 기억해두고자 하는 문장을 골라본다. 이 책은 그들이 했던 말들을 잘 정리하여 제시하고 있어서 편리하긴 하나 앞뒤 문맥없이 접하는 문장들은 나만의 감동이나 와닿음을 느끼기엔 역부족이다. 사람마다 포인트가 다르고 상황이 다르니 당연하지않을까.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은 책을 읽고 썼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다르니까 함께해야 해 - 다름을 존중하는 문화 다양성 행동하는 어린이 시민
마그달레나 게레로.마리아 호세 포블레 지음, 알프레도 카세레스 그림, 김정하 옮김 / 다봄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관에 올라가니 새로 들어온 그림책이 보여 읽어보았다. 다르니까.....함께 하기 어렵다는 것이 보통의 생각인데 이 그림책은 다르니까 함께 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어린이들에게 문화다양성을 알려주는 일은 중요하다. 


며칠 전 tv와 신문을 통해 K-문화, 한류의 부정적 기류에 대한 내용을 보고 읽었다. '사실'이 어떠할 지는 모르겠으나 일부라도 그런 기류가 있다는 것만은 사실인 것 같다. '한국적 시각'이라는 것이 일부 '편협된 시각'이거나 '문화다양성'을 고려하지 않은 '의도하지 않은 차별'일 수 있다는 것을 보았다. 


​자라면서 지니게 된 습관과 태도는 어지간한 노력으로는 바로 수정될 수 없다. 지금의 우리는 그에 대한 고민과 스스로 의도적인 행동수정을 통해 생각과 태도까지 함께 수정해나가야 하는 시대를 살고 있다. 


나는 어렸을 때 '세계화'라는 말을 많이 듣고 자랐다. 그때는 세계화라는 것이 무엇인지 잘 몰랐지만, 지금 아이들은 어떤가. 그들은 이미 글로벌한 세상에서 살고 있다. 특별히 세계화를 강조하지 않아도. 하지만 역으로 한류의 인기에 힘입어 '우리의 생각과 문화'가 그들보다 우월하다는 의식이 늘어나고 있는 것은 아닐까 걱정스럽다. 우월한 것이 아니라 그들은 그들의 문화, 우리는 우리의 문화일 뿐이다.


그런 점에서 이 그림책은 함께 읽기에 적절한 때가 아닌가 한다.


2020년에는 세계 이민자가 2억 8천만 명이었다고 한다. 이민자들이 자기가 살던 나라를 떠나 다른 나라로 이주를 하면 그들이 원래 가지고 있던 언어, 문화, 음식 등도 함께 따라간다. 서로 다른 문화가 만나 더욱 풍요로운 문화가 될 수 있다. 그런데 우리는 은연 중에 다른 곳에서 온 문화를 깔보거나 무시하거나 배척하고 있지는 않은가. 혹은 그 문화적 상징들을 잘못 사용하고 있지는 않은가. 한번 쯤 생각해봐야 할 문제다.


그런가하면, 이주민들로 인한 문화 전파만 있는 것은 아니다. 한 나라 안에서도 다양한 종족(또는 집단)이 있기 때문에 각각 다른 문화를 가질 수 있다. 한국 안에서도 지역별로 각기 다른 문화가 존재한다. 인터넷 상에서뿐만 아니라 실생활에서조차 '비하'의 의도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얼마나 많은가.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이 작은 크기의 '한국' 안에서도 서로 다른 문화가 존재한다는 것이며, 세계의 문화다양성을 논하기 전에 우리의 문화다양성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다름을 인정하기 위해 꼭 다루어야 할 것이 하나 더 있다면 바로 '종교'일 것이다. 세상에는 4천5백개 이상의 종교가 있다고 한다. 우리가 살아가는 환경에 따라 종교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이들은 자신이 믿는 종교가 제일이라고 하거나 종교가 없는 사람보다 있는 사람이 더 낫다는 말도 한다. 이런 생각이 점점 커지면 종교전쟁으로까지 이어진다. 


그러나 사이비 종교라 부르는 것들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고 있는 사이비종교의 행태에 대해서는 좀더 고민하게 된다. '개인'의 행복과 안정을 위한 믿음이 아니라 '누군가'에 의한 착취의 형태가 되었을 때는 다양성이라는 말로 포장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커밍아웃이라는 말 자체가 아주 낯설었던 때가 있다. 그리고 커밍아웃 또는 트렌스젠더여서 엄청난 멸시와 차별을 받던 때가 있었다. 물론 지금도 그러한 시선은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지만, 이제는 그들의 삶을 이해하는 사람들, 이해하지는 못하더라도 그것 자체로 인정해주는 사람들도 많아졌다. 


자신의 정체성을 발견하는 일은 쉽지 않다. 그래서 평생을 자기정체성을 제대로 세우기 위해 노력하거나 애쓴다. 거기에 자기 성정체성으로 인해 힘들어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것에 어떤 정답이 있을까? 한 개인 개인의 선택을 존중해줄 때 나의 선택도 존중받을 수 있다는 것도 알았으면 한다. 그들의 성정체성이 용납하지 못할 것이 아니라, 그러한 성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고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애쓰는 것이 더 중요할 것 같다.


다음은 다양한 가족의 형태를 이야기한다. 2~30년 만에 내가 아는 가족의 형태도 엄청나게 달라졌다. 어쩌면 지금도 또 새로운 형태의 가족이 생겨나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가족의 형태가 다양해지면서 사회적으로 바꿔야 할 것들도 많아졌다. 입양가족, 재혼가족, 한부모 가족은 물론이고 동성 부모 가족, 위탁 가족도 생겨나고 있다. 


마지막으로 챙겨 볼 주제는 장애이다. 장애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많으며 선천적인 장애 외에도 후천적인 장애도 늘어나고 있으므로 '장애'를 바라보는 우리 시각을 바꿀 필요가 있다. 장애를 가진 사람들도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기 위해 나서고 있다. 그들의 권리를 '그들만을 위한 권리'를 본다면 안된다. 그들의 권리를 보장함으로써 우리가 조화롭게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렇게 서로 대화를 통해 거리를 좁혀가는 것이 필요하다. 


이 그림책은 글이 많다. 지식정보그림책의 특징이기도 하지만, 어린이들과 이야기를 나누기 좋은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으로는 내가 이 그림책을 읽고 다시 한번 나의 생각을 정리해보았듯이 편향된 생각을 좀 바꿔보고 싶은 어른들도 함께 읽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산한 가을바람이 부는 들판의 작은 꽃에는 무슨 벌레가 찾아드는 겔까. 심장을 쪼갤 수만 있다면 그 가냘픈 작은 벌레에게도 주고, 공작새 같고 연꽃 같은 서희애기씨에게도 주고, 이 만주땅 벌판에 누더기같이 찾아온 내 겨레에게도 주고, 그리고 마지막에는 운명신(神)에게 피 흐르는 내 심장의 일부를 주고 싶다………….P.19

"뭐니뭐니 혀도 배고픈 정 아는 그게 사람으로서는 제일로 가는 정인디, 혀서 나도 니 아부지를 믿고 정이 들어서 따라가는 거 아니겠어? 부모 자석이라는 것도 따지고 보면 주린 배 채우주는 거로 시작된다 그거여. 저기 보더라고. 저기 물새도 모이 찾아서 지새끼 먼저 먹이는 거, 어디 사람뿐이간디?"

(중략)

"야. 참새들이 모이서 수수알갱이를 묵고 있는데 모두 새끼들을 데리고 안 있겄소? 어미 참새가 한 놈 한 놈 주둥이를 열어서 수수 알갱이를 먹이는거 아니겠소? 어미 참새도 여러 마리고 새끼 참새는 더 많아요. 참 신기스럽더마요."

"길상이아재가 수수알갱이를 뿌리준 거라요. 그런데 길상이 아재는 홍아! 어째 참새란 놈이 저리 사람을 안 믿으까? 문을 열고 내다보믄 다 달아나거든. 지금도 쫑긋쫑긋 사방에다 정신 파니라고 어미는 제대로 묵지도 못한다 말이다. 벌써 여러 날짼데 도모지 나하고는 친하려 안 하거든, 함시로 슬픈 얼굴을 하더라 말입니다. 나도 그때 문구멍에서 새끼 주둥이 열고 모이 먹이는 것 똑똑히 봤소." (P. 33-35)

훈춘의 오득술 내외 생각이 난다. 손님만 보면 기갈 든 사람같이 붙잡는 그들 심리 속에 깊이 뿌리박힌 외로움을 생각해본다. 내외가 함께, 그리고 유복한 살림이건만, 귀화하여 보상되고 약속받은 터전이건만 이민족 속의 우리, 이민족 속의 나, 그 의식이 그들만의 것은 아니다. 흘러온 수만 이곳 조선인들의 사무친 슬픔이다. 늙어 쇠잔해졌고 단신의 김훈장의 경우는 더 말해 무엇하겠는가. 모시올 같은 수염을 흔들며 치매 같은 꼴을 하고 앉아 있는 김훈장이 미구에 찾아올 자기 자신의 모습이 아니라고 장담할 수는 없다. 고국 땅을 다시 밟을 희망이 없는 늙은이, 담뱃대를 물고 큰 기침을 하며 마을 길을 거닐

어볼 꿈조차 꾸어볼 수 없는 늙은이, 십 년 이십 년 후의 자기 자신은 아니라고 장담할 수는 없다. 십년을 보내고 나면 독립이 될까? 기약이 없다. (P.73)

"신발이란,"

담뱃대를 빨고,

“발에 맞아야 하고, "

담뱃대를 빨고,

“사람의 짝도 푼수에 맞아야 하는 법인데.”

담뱃대를 빨고,

“이공의 말씀은 없었던 것으로 하는 편이 상책인 성싶소. 야합이 아닌 다음에야 그런 일은 있을 수 없지요."

"......."

“서희 그 아이가 실리에 너무 눈이 어두워서"

하지 말았어야 할 말이다. (P. 77 )

"우리가 선을 볼라 했더니 정한조 아들이 우리 선을 보러 온 모양이라. 허허헛 ... 그만하면 되었구먼. "

그 순간 석이는 이 사람들 시키는 대로 하리라 작정했던 것이다. 석이는 민감하게 느꼈다. 두 사람이 다 평범치 않으며 그 말도 평범하게 지나쳐버릴 말이 아니라는 것을, 사람의 값어치를 안다고 생각한 것이다. 사람의 값어치를 안다면 옳은 곳으로 인도할 것이요 알아주는 사람을 위해선 복종하는 것이 또 당연한 일로 석이는 판단한 것이다. 하물며 그들은 큰일을 경영하고 있었으며 그 큰일을 향한 길을 가는 것은 동시에 아비 원혼을 위로해주는 것, 석이는 뚜렷하게 자각한다. 뻐근하게 양어깨가 내리눌리는 짐의 무게를 느낀다. 그 짐을 지고 아무리 험난한 길이라도 앞으로 가리라 결의한다. 어미의 가랑잎 같이 야윈 얼굴이 눈앞에 어른거린다. 손등에 피딱지가 앉았던 누이동생들의 얼굴이 어른거린다. 등잔불 밑에서 물레를 돌리던 젊은 날의 어미 얼굴이 스치고 간다. 낚싯대를 메고 나가면서 석아 니도 따라갈라나? 하던 아비 모습이 스치고 간다. (P. 361 )

토지의 수많은 인물을 따라 가다보면 그 시대라서 어쩔 수 없이 겪어야했던 시대적 상황이 있었다면, 그에 못지않게 한 개인 개인의 상황과 특수성에 의해 빚어진 인관관계가 드러나보인다.

애국지사거나 애국지사흉내를 내거나, 친일을 하거나, 혹은 동학에 몸을 담거나 간에 표면적이고 역사적인 당위성을 만들어내는 건 개인이라는 말이다. 이 책에서 만나는 인물들의 내면 고백을 읽어보면 사람이 처음부터 하나의 성정을 가지고 있거나 변하지 않는 일은 잘 없다는걸 깨닫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심리학이 제갈량에게 말하다 2 - 우연한 사건이 운명을 바꾼다 현대 심리학으로 읽는 《삼국지》 인물 열전
천위안 지음, 정주은 옮김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삼국지' 하면 누구나 들어 본 이야기지만, 제대로 읽어본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삼국지 속 영웅들의 이야기를 읽다보면 처세술을 많이 알게 된다고 들었다. 나 역시 삼국 지를 제대로 읽지 않았다. 이책은 삼국지의 인물을 대상으로해 현대 심리학이론을 접목하여 소개한다. 삼국지는 내 스타일의 이야기가 아니라 생각했지만 '심리학'을 소재로 가져 왔기에 궁금함이 생겼다.

이번에 이 책을 읽으면서 삼국지 속으로 잠깐들어가본다. 그 유명한 삼고초려의 유비와 제갈량이 아니던가. 제갈량을 통해 우리는 어떤 심리학기제를 읽을수있을까.

어려움을 무릅쓰고도 곁에 두어야 할 사람이 있다

레온 페스팅거 Leon Festinger가 1954년 제시한 '사회 비교 이론’에 따르면 사람은 객관적인 기준이 결여된 상황에서 다른 사람을 비교 척도로 삼아 자신을 평가한다고 한다. 사회 비교 이론은 하향비교와 상향비교로 구분된다. 하향비교는 자신보다 열등한 대상을 비교 기준으로 삼는 것으로 개인의 자아 만족감과 자신감을 향상시킨다. 이와 반대로 상향비교는 자신보다 우월한 대상을 비교 기준으로 삼기에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게 된다.

상대적 박탈감이란 개인의 처지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는데도 상대적으로 높은 기준으로 평가해 개인의 처지가 실제보다 못하다고 느껴지는 것을 말한다.(P.15-16)

제갈량은 방통에게 이 상대적 박탈감을 심어주었다. 서로의 능력과 평가가 비슷했음에도 불구하고 심리 상태에 따라 (물론 이것이 전부는 아니지만) 그들의 운명이 달라졌던 것이다. 제갈량으로서는 방통이란 존재가 탐탁치 않았겠지만 그 둘이 서로 머리를 맞대고 함께했다면 또다른역사가 쓰여졌을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제갈량의 인간적 면모를 살짝 엿볼 수 있었다. 신과 같은 존재가 되었지만 그 역시 여느 인간과 같은 마음을 보여준다. 삼국지의 인물들에게서 배우는 심리적 현상과 영웅이란 타이틀 속에 감춰졌던 속내를 들여다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큰 뜻을 품었다면 웅덩이에서 실력을 발휘하지 마라.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은 있는 법이다. 초두효과를 뒤엎으려면 근인효과를 이용하면 된다. 다시 말해 최근에, 과거와는 전혀 다른, 사람들이 괄목상대할 만한 성취를 거두면 이전의 나쁜 인상을 완전히 뒤엎을 수도 있다. 그럼에도 첫인상의 뿌리는 깊게 남는다. 속담에 '강산은 쉽게 바뀌어도 본성은 바꾸기 어렵다'라는 말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사람의 인식도 쉽게 바뀌지 않는다. 따라서 한번 굳어진 인상을 바꾸려면 엄청난 용기와 지혜가 필요한 법이다. (P.31)

근인효과를 극대화하려면 반드시 사전준비를 착실히 해야 한다. 먼저 상황을 최악의 상태로 만든 다음, 자신의 능력을 발휘해 다시 최상의 상태로 뒤바꿔야 한다. 방통은 '후광효과'도 '심드렁한 판매자 책략'을 구사하는 데도 재주가 없었다. 그러나 방통은 자신의 능력으로 '근인효과'를 이용해 못생긴 외모(선천적 불리함)와 인재에 목말라하지 않는 군주(후천적 불리함), 이 두 가지 불리한 조건을 극복하고 자신에게 합당한 지위와 대우를 쟁취해냈다.(P.34-35)

부탁할 때는 상대의 거절을 염두에 둬라.

사람은 사회 비교를 할 때 종종 유형화'의 편견에 빠진다. 유형화란 사람을 각기 다른 집단으로 나누는 것을 말한다. 집단 내부의 유사성과 서로 다른 집단 간의 차별성을 과장하는 경향이다. 자신이 속한 집단이 더 우수하고 다른 집단은 자신의 집단보다 못하거나 결함이 있다고 생각한다.(P.81)

왜 진작 삼국지를 익어보려하지 않았을 까? 아마도 지금의내가 아니라 젊은시절의 나리면 인물들의 내면을 이해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문득 이 시리즈의 ①권을 읽지 않았다는 생각이 났다. 찾아서 읽어 봐야겠다.

*이 책은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읽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