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최고야! ㅣ 북극곰 무지개 그림책 71
토미 드 파올라 지음, 이순영 옮김 / 북극곰 / 2021년 5월
평점 :
처음 이 책을 보았을 때 '우리'가 이름이라고 생각하지 못하고 '우리는 최고야'라고 이해했었다. 아이들과 그림책을 읽을 때 제목이나 표지 그림을 두고 많은 이야기를 하는 편이라, 이 그림책에 대한 이해 없이 본다면 이런 오해를 하기에 충분하다. 원제를 살펴보니 'Oliver Button Is a Sissy' 이다. 아, 원제는 훨씬 더 직설적이네. '올리버 버튼은 계집애다'라고 해야 하나? 어쨌든 이 아이의 이름은 올리버 버튼인데 '우리'로 번역이 된 것 같다.
'우리'는 어떤 아이일까? 원제를 통해 대략 짐작이 가능하다. 그림책을 넘기자마자 아이들이 '우리'를 여자애라고 놀린다는 사실을 밝힌다. 제목이나 시작 부분의 내용으로 볼 때, 일단 이 아이의 '다른' 성격과 특징이 문제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남자 아이지만 그 또래 남자아이들이 하는 놀이를 좋아하지는 않는다. 꽃을 좋아하고, 영화배우처럼 노래하고 춤 추는 것도 좋아한다. 아빠는 '우리'가 여자애처럼 집에서 노는 것이 싫다. 밖에 나가 다른 아이들과 함께 어울려 노는 모습을 바란다. '우리'와 같은 남자 아이를 키우는 집이라면 일어날 법한 이야기이다. 생물학적인 성이 '남성'이라고 해서 그들과 똑같아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여성'도 마찬가지이다. 전통적인 성 역할에 얽매여 '인간'으로 보지 않고 '남성'과 '여성'으로 구분하는 것이 꼭 필요할까?
'우리'는 예술적 감성이 드러나고 민감한 아이이다. 이런 아이에게 다른 아이들과 똑같은 행동을 하기를 바라는 것은 서로 힘든 일이다. '우리'는 탭댄스를 배우게 된다. 춤을 추는 일이 즐거워서 연습을 하는 것이 재미있다. '우리'의 예술적 감성을 이해하고 춤을 출 수 있게 도와주는 선생님과 부모님의 모습이 그려진다. 학교에서는 여전히 '여자애'라며 놀림을 당하지만, 무대에 선 '우리'는 행복하다. 비록 대회에서 1등을 하지는 못했지만 말이다.
나는 '우리'가 대회에서 1등을 하고 영웅처럼 되는 결말이 아니기를 바랐다. '다른' 것을 이해하는 것이 '우수하거나 성과를 내는 것'에만 국한된다면 안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우리'가 다시 학교로 돌아갔을 때, 늘 놀리고 장난을 치던 친구들의 자연스러운 변화가 참 예뻤다.
요즘 읽게 되는 그림책들을 보면 참 다양한 인간의 모습을 알려주는 것 같다. 과거와는 달라졌다고는 하지만 아직도 곳곳에서 '다름'을 인정하지 않고 '차별'을 하는 모습을 본다. 어려서부터 '다름'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필요하다. 이 그림책은 그 역할을 잘 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