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간의 세계사 - 5000년 인류사를 단숨에 파악하는 여섯 번의 공간혁명
미야자키 마사카쓰 지음, 오근영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6년 10월
평점 :
절판
♡ 공간으로 풀어가는 세계사, 『공간의 세계사』 ♡

『하나, 책과 마주하다』
보통 세계사와 관련된 책은 시간의 흐름으로 설명되는 것이 당연지사다.
그런데 시간의 흐름만으로 세계사를 한데 담는다는 것은 부족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입장이다.
그렇다면 그 부족한 점을 어떻게 채워줄 수 있을까? 그 답은 바로 공간에 있다.
이 책은 강이 일구어낸 거대한 공간, 말이 탄생시킨 새로운 땅, 하나가 된 유라시아, 대항해 시대가 이룩한 세계, 자본이 집어삼킨 지구, 지구를 뒤덮은 전자공간으로
총 여섯가지의 공간혁명으로 이루어져있는데 시공간을 기준으로 세계사를 설명하고 있으니 한눈에 다 들어올 수 밖에 없다.
첫 번째, 건조 지대 큰 강 유역에서 거대한 농업공간 형성(약 5,000년 전)
두 번째, 말을 이용하는 유목민들이 이끈 큰 강 유역과 초원 황무지·사막의 공간적 통합에 의한 여러 지역세계 형성(약 2,500년 전)
세 번째, 이슬람 제국에서 시작되는 기마유목민과 상인에 의한 유라시아 규모의 공간통합(약 1,400년 전)
네 번째, 대항해 시대 이후 대양이 대륙을 잇는 대공간의 성장과 자본주의 등을 바탕으로 한 근대체제의 형성(약 500년 전)
다섯 번째, 산업혁명 이후 유럽을 중심으로 한 철도와 증기선에 의한 지구공간의 통합(약 200년 전)
여섯 번째, 미국을 중심으로 한 지구 규모의 전자공간 형성(약 20년 전)
대개 세계사를 크게 두 시기로 나누게되면 언제를 분기점으로 할 수 있을까요?라는 질문을 하게되면 선뜻 답을 내릴 수 없다.
어떤 시점을 딱 쪼개어 말할 수 없기 때문이다. 반면에 공간은 답을 내릴 수 있다. 바로 인류가 바다로 진출한 대항해 시대이다.
공간의 개념을 추가하여 읽고나서 드는 생각은 확실히 기존에 읽었던 세계사책과는 다르게 느껴졌고 얼마나 더 크게 느껴졌는지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