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표지로 매직아이를 만들 수 있게 https://www.a1bbs.com/1/index.php?lang=ko 


실시간으로 매직아이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일단 마쳤습니다. 일단 인터페이스를 달기 귀찮아 했는데 프론트쪽을 대충 해놓고 돌아가기는 합니다.브런치 글 이미지 1


브런치 글 이미지 2겔러리에 정답 맞추는 기능에서 공유하기, 크게보기 좋아요, 조회수 등등... 별 필요없는 것을 다 만들었어요... 어차피 내부적으로 아무것도 안하고 만들어진 데이터를 공유할텐데 ^^


뭉뚱거린 하트도 나오고 


매직아이 생성기를 만들었고 이제 책에 따라 애니메이션이 되게 서로 다른 애니메이션이 숨어있게 할 예정입니다. 홈서버에 별의 별걸 다 돌리느라 데이터 지우고 난리가 났네요브런치 글 이미지 3


잘 보시면 상어 나와요~브런치 글 이미지 4


니콜라 테슬라의 사진처럼 원래는 서로 좋아하는 사람의 프로필을 넣고 하트가 나오게 ...

아니구나 서로 싫어하는 사람용으로...

브런치 글 이미지 5

외국인들이 많이 들어와서 지금 n8i 기반으로 바꿔놓고 디자인을 조금 새로운 쪽으로 바꿀 예정입니다. 매직아이를 모르는 사람도 많으니 일단은 컨텐츠도 넣고 제가 만든건 쇼츠 영상이니까 그것도 이제 내용상이 넣어야죠


요 몇일간 조금 고민한게 서버에서 이런거 돌리다가 서버 터질거야 하고 생각했는데 기우입니다. 아무도 관심없죠...


https://www.a1bbs.com/1/


번호별로 작업하던 다양한 사이트가 숨어있을거예요. 이 다음은 돈주는 퍼즐사이트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다라트 AI를 LLM으로 테스트해보고 이제 컨텐츠를 자동으로 유료 AI API를 사용해서 생성하는 작업을 준비중입니다. 81개 키워드를 만들어 달라고 하면 아무래도 작은모델에서 생성되는 것은 그냥 재미로 느껴지며 실제 업무에서 컨텐츠를 만드는 방법은 그렇게 하지 않죠


자료조사하고 데이터화하고 다시 의미를 찾고 분리를 하고 다시 합쳐보기도 하고 어떤 부분에 강렬한 메시지를 넣어볼까 하는 여러가지 시도를 하게됩니다.


그래서 의도적인 결과를 답을 먼저 내놓고 과정을 이야기하기도 반대로 추리를 하는 방식으로 긴장감을 높여가기도 합니다. 사람은 뻔한건 안봅니다. 재미가 없으니까...


의미를 분석하고 찾는 일은 사람보다 기계가 낫겠지만 그건 돈을 얼마나 쓰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바이럴은 기계가 못할거예요. 기계는 돈이 필요없어서 ^^


하여간 이제 아주 작지만 끝이 안나는 컨텐츠를 계속 생산해보려고 합니다. 곧 전자책이나 음성으로 오디오북이 될 수 있을거예요 카드가 연결되어 노드로 즉흥적인 판단의 조합으로 새로운 컨텐츠가 생길 수 있게 컨텐츠를 뽑아내는 조합기를 붙여볼 생각입니다.


제가 했었던 이상한 실험은 이제 0/0/1 이런 식의 폴더 사이트로 오픈할 예정입니다.

https://www.argo9.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I가 자동으로 키워드를 생성해주는 오타니의 목표달성 프레임워크 만다라트를 온라인에서 워크샵에 활용할 수 있는 사이트를 만들고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jVukWEkkwdE

그냥 주말 취미이고 회원가입을 해도 아이디, 패스워드 말고는 아무것도 요구하지 않습니다. 사이트는 주말에 업그레이드 될거예요.   llm 이 대충 키워드를 뽑아냅니다. 질문이 구체적이면 구체적으로 나오지만 현재는 출판사가 그냥 이런 것도 하는구나 정도면 될거 같습니다.

브런치 글 이미지 1

https://a1bbs.com/mandala99/gallery.php

브런치 글 이미지 2

주말 프로젝트니까 주말에만 일하고 업그레이드를 합니다. 그런데 홈서버라서 뭐 그냥저냥 돌아가겠죠. 이 다음은 서평에 감정판단하는 프로그램을 해볼 생각입니다. 이미 해보기는 했는데 서비스를 해야지 정답이겠죠?


https://www.argo9.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9블록 만다라트를 무한 생성하는 가능성을 확인하고 종이 만다라트와 실제 구현중인 정보나 아이디어를 다양하게 표현, 키워드별 드래그앤 드롭으로 컨텐츠를 무한확장할 수 있게 만들고 있습니다.


그리고 카드 안에는 위키독스 같은 컨텐츠가 들어가게 될 예정이예요. llm, OpenAI API, 클로드, 구글 재미나이 등의 유료 AI를 붙이면 검증된 텍스트를 가져와서 컨텐츠가 생성됩니다. 저는 일단 이것저것 붙여서 해보고 있지만 새로운 전자책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게다가 내가 맘대로 할 수 있는 형태이고 옵시디언 그래프링크나 노션같은 미니데이터베이스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조금씩 추가중입니다.


정확히는 Outliner 에 링크를 붙이는 개념입니다. 카드에 실이 붙어있어 연관성을 찾는 방식을 구현할 예정입니다. 범죄자의 패턴을 찾아가는 수사기법처럼 데이터에는 관계성이 있어서 그런 유형의 방법론을 적용해서 제작중입니다. 생각보다 어디까지 확장할지 고민이 됐는데 이미지도 슬라이드라는 개념을 위젯방식으로 넣거나 오디오도 비슷한 형태로 포함될 거예요.

브런치 글 이미지 1

그 옛날 하이퍼카드를 9블록의 개념으로 접근 어떻게 보면 카드뉴스의 다른 형태가 될거고 정보를 무한으로 볼 수 있는 형태로 생각했습니다. epub이 아닌 9블록이라는 장르를 만들어 볼 계획이예요.

브런치 글 이미지 2

일단 대충 시작한 것이기 때문에 남들 쓰는 인터페이스를 썼지만 앞으로 조금씩 고쳐나가게 될겁니다. 그리고 이미지는 만다라트 확장 모델을 캡쳐하고 중간중간 비어있는 워크샵용 인쇄 모델도 만드는 중입니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영단어 같은거나 외국어 카드, 오디오, 비디오 같은게 가능합니다. 다양한 컨텐츠에 적용할 수 있고 이미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종이책 만들지 않고 종이책 부록만드는 앱을 만들고 있습니다. 퍼즐도 그렇고 아예 다 회사 구조를 바꾸는 중입니다. 


https://www.a1bbs.com/mandala/view.php?code=0102d2f15fc06f9b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다들 출판의 위기가 뭐냐고 하는데 그냥 눈의 시간을 빼앗기는 것이다라고 생각하는 사람 중에 하나인데 일단 그 시간을 AI가 빼앗아 가고 있어서 무료 AI인 구글의 Gemma3 1b 모델을 사용해서 현재 만들고 있는 지식체계의 프로그램인 만다라트를 무한 확장하는 서비스의 부분으로 제작하기로 했다.

브런치 글 이미지 1

회사 컴퓨터는 NAS 용도로 GPU가 없는데... 그냥 돌려보는 중... 뭔가 작업하면 온도가 마구 올라가는 제품이라서 온도 모니터링을 하면서 작업 중


브런치 글 이미지 2


LLM에서 만들어낸 json 지식정보 체계를 만다라트에 적용... wiki처럼 편집이 가능합니다.


https://argo9.com/1/9boxslide/index.php

초기 콘텐츠를 생성하고 81칸의 데이터를 만들었다면 이제는 다른 방식으로 1개의 대주제와 8개의 소주제에 맞춰 이론상 무한 콘텐츠를 볼 수 있게 분기하고 합칠 수 있는 모델로 제작이 되었고 지식콘텐츠를 더 재미있게 표현할 옵션들을 추가로 넣어 이미지, 동영상 등등 다른 것들이 추가로 연결되게 만들고 있습니다.


그러면 뭐가 될까요? 사람들이 입력한 궁금증을 서로 연결해서 확장하고 투표가 많은 것 위주로 재생되거나 오정반합의 원리로 AI가 특정한 사람들의 이야기만 보여주는 것처럼 시나리오플래닝이 가능하게 됩니다.


이란 소설로 치면 끝없는 인터랙티브 한 소설이 되고 그 난이도를 조절하면 새로운 이야기가 계속 생성되는 형태가 되는 것이죠. 반대로 카드에 새롭게 분기해서 나만의 이야기를 추가한다고 해도 상관없는 이야기구성이 가능합니다. 같이 무언가를 할 수 있게 됩니다.


주제를 그렇게 이야기했지만 9블록에는 + x 방향으로 서로 다른 연결의 키워드가 생기는데 그 카드의 위치를 편집하는 것만으로 말도 안 되는 구성을 만들 수 있게 됩니다.


복잡한데 단순한 이야기를 만들 수도 있고 연결해서 복잡한 세계관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워크숍 할 때 어른들이 무슨 단어만 쓰고 KJ 법 같은 방법으로 소거하고 놀고 있네라고 하지만 그게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다 보여줄 수도 있습니다. 


사람은 빈페이지에 모든 것을 채우라고 하면 손사래부터 하거나 쭈뼛쭈뼛 일을 멈추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걸 AI가 처음에 도입을 해서 운영을 하게 되는 것이고 실제 수정이나 새로운 유형으로 변경하는 것은 사람의 몫입니다.


아닐 수도 있지만... 카드뉴스자동화 하는데 별 이야기를 다 하는... 하여간 워드프레스, php로 작성한 이유는 한 가지 그냥 가장 빨리 자기 컴퓨터에서 호스팅 받는 곳에서 서비스가 만들어지게 하기 위함입니다. 서버 터질 때까지


청년창업을 위한 아이디어라고 치면... 8개의 소주재가 만들어지고 그 8개의 소주재로 8개의 하이라키가 계속 생김... 겹치면 다시 링크로 찾아서 연결 키워드가 비슷한 것들도 연결... 계속 생기는 게 무서워서 끊었습니다... 카드뉴스 무한생성됨 9페이지짜리... rag + 자체 db랑 직접 연결해서 쓰면 더 완성된 콘텐츠가 뽑힐 거 같지만 무료 llm 은 컴퓨터 속도 때문에 한계가 있어서 유료 claude API로 먼저 써보고 결정해야 할거 같네요. 제가 돈도 가오도 있는데 무료로 하는 게 취미라서 응?!?


왜 9블록을 만들었냐면... 비즈니스모델제너레이션, 밸류프로포지셔닝 디자인, 등등 다 9블록입니다. 결론은 책 재쇄때 이 기능을 추가해서 사람은 질문만 모델 생성의 기초 부분을 AI가 해결해주는 것이죠. 책 부록작업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