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 개의 뇌 - 뇌의 새로운 이해 그리고 인류와 기계 지능의 미래
제프 호킨스 지음, 이충호 옮김 / 이데아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과 다른 동물 또는 생명체와의 차이점은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와 주장은 숱하다. 별반 다를 게 없다는 주장에서부터 신의 영역에 근접한 만물의 영장으로서의 인간까지 그 스펙트럼도 크다. 

이 책 <천 개의 뇌>는 인간의 특징을 뇌의 신피질로 보았다. 인간만이 유독 신피질이 발달되었으며, 이로 인해 지금과 같은 문명과 과학, 지식을 쌓아왔다는 것이다. 오직 인간만이 생명의 기원을 찾고, 지구의 크기를 알며, 우주의 원리를 탐구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제 인간은 두 가지 선택의 길에 처했다고 주장한다. 적자생존과 경쟁, 유전자의 전달이라는 오래된 뇌의 길과, 지능과 창조성의 확산이라는 신피질의 길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는 것이다.




인간의 갈등과 문제는 대부분 오래된 뇌의 영향 때문으로 본다. 눈앞에 아이스크림이 있다고 치자. 건강을 위해서는 한 두 스푼 먹고 멈추어야 하지만, 대부분 허겁지겁 깨끗하게 먹어 치운다. 오래된 뇌의 생존 전략 때문이다. 새로운 뇌의 이성은 가끔 오래된 뇌의 본능에 잠식된다. 이 위험성은 인류 전체를 위험으로 빠뜨릴 수 있다. 핵무기 버튼을 누른다거나, 기후 위기를 앞에 두고도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을 줄이지 않는 생활양식을 계속하는 것처럼 말이다. 문명의 발달이 자칫 소수의 누군가의 잘못된(본능적) 판단으로 인류 전체 또는 지구 전체를 궤멸시킬 수 있는 수단을 만들어 놓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인류가 오래된 뇌에 휘둘리기만 하는 것은 아니다. 새로운 뇌(신피질)는 계속해서 인류 또는 지구, 생명의 공존과 행복을 합리적으로 지향한다. 오래된 뇌가 생존할 수 있었던 진화의 길은 방향과 목표가 없다. 그저 살아남은 것들이 살아있는 것이다. 하지만 신피질은 우리 인류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목표를 제시하고, 그 방법을 찾아 실현시킬 수 있다. 




저자인 제프 호킨스는 인류가 미래에도 생존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생존지를 찾고-지구가 생존하기 어려운 환경에 처할 때를 대비해 화성과 같은 행성 등-, 그곳에서 적응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인공지능 기계(로봇)를 활용해 척박한 환경을 최적의 환경으로 바꾸고, 그 변화가 완전하지 못할 때는 유전자 편집 기술을 통해 인류를 새로운 환경에 적합한 종으로 변모시켜야 한다고 말한다. 가히 자연주의적 삶을 지향하는 이들에게는 급진적 주장으로 느껴질 정도다. 


개인적인 생각으론 그도 그럴 것이 제프 호킨스가 생각하는 자연이란 것은 맹목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자연을 이상으로 삼는 사람과는 정반대의 위치에 있는 것이다. 대신 진화의 결과로 지금의 인류가 갖게 된 새로운 뇌의 합리성을 극대화 해 인류의 생존과 발전을 위한 방향과 목표를 정해 가자는 것이 그의 주장으로 보여진다. 


제프 호킨스가 <천 개의 뇌>에서 말하는 이야기는 자연과 순리를 중시하는 가치관을 가진 이들에겐 받아들이기 힘든 부분이 있다. 반면 과학의 발전을 이끌어 온 이성을 옹호하는 이들에겐 환호할 만한 미래 예측이라 할 만하다. 찬반을 떠나 그의 주장은 세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을 주고, 창의적인 생각을 자극한다는 점에서 꼭 읽어볼 만한 가치가 있다 여겨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2년 10월 18일 첫 서리 영하1도~14도 , 19일 첫 얼음 영하2도~16도



18일 첫 서리가 내렸다. 평년 대비 열흘 정도는 빨리 온 듯하다. 



19일에는 밖에 있는 개 밥그릇의 물이 얼었다. 10월에 얼음을 볼 것이라고는 생각도 못했다. 10월에 찾아온 겨울이라니.....



호박은 서리에 약해서 잎이 시들시들해졌다. 아무래도 회복하기는 힘들어 보인다. 

반면 이런 갑작스런 추위에도 끄떡없는 작물들도 있다. 배추나 양파, 마늘은 '이까짓거 한 번 얼었다 녹으면 되지' 하는 듯하다.



두 주먹 분량의 오미자는 말려서 차로 우려 마실 생각이었지만, 자연 상태로 말리는 것은 어려워 보인다. 벌써 4일이 넘게 말렸지만, 오히려 꾸덕꾸덕해지는 것이 자칫 잘못하다가는 곰팡이가 필 것만 같다. 아무래도 건조기가 있어야지만 건오미자가 가능하지 않을까 싶다. 



일단 말리기는 포기하고, 일부 생오미자는 물에 조금 넣어서 우려보기로 했다. 반나절이 지나서야 겨우 색이 조금 우러나긴 했지만, 오미자 특유의 향미를 느끼기에는 건오미자에 비해 다소 약하다. 



더 늦기 전에 청이라도 담갔다. 양이 작아 아쉽다. 올해는 조금 사다 먹을까 싶기도 하다. 내년엔 방법을 잘 찾아서 오미자 생산량을 꼭 늘렸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2년 10월 17일 맑음 4도~16도


서리가 내릴 기세다. 아직 수확을 마무리하지 못한 돌배를 더 땄다. 



2주 전 첫 수확 때는 손이 닿는 높이까지만 돌배를 땄다. 오늘은 사다리를 타고 수확에 나섰다. 혼자서 따려다 보니 가위로 꼭지를 자르고 바구니에 담는 게 번거롭다. 아직 돌배가 단단해서 바구니에 휙~ 휙~ 던져 넣었다. ^^



이번에 수확한 양도 꽤 된다. 지난번과 비슷한 12.5키로 정도가 나왔다. 



벌레가 먹거나 병든 것들은 빼냈다. 깨끗이 씻은 후 말렸다. 이번엔 청을 조금 담고, 한 병 정도 분량의 돌배주를 담갔다. 돌배청과 돌배주의 맛이 궁금하다. 내년이 기다려진다. ^^


이렇게 담그고 나서도 돌배가 남았다. 주위 사람들에게 나눠주어야 할 듯. 그리고 나무에도 4~5키로그램 정도는 남겨두었다. 서리를 몇 번 맞은 후에 딸 생각이다. 서리맞은 것과 서리 맞기 전 것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을지도 사뭇 궁금하다. 돌배 나무 한 그루가 가져다 준 풍요로움에 마음이 넉넉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2년 10월 16일 흐림



마늘을 심은 곳 옆에 상추 씨앗을 뿌렸다. 고추를 뽑은 곳에 퇴비도 주지 않은 채 일단 상추씨만 뿌려 둔 것이다. 겨울이 오기 전 싹이 났다가 추운 겨울을 이겨내고 봄이 되면 다시 싹을 틔워 먹을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른바 월동 상추이자, 누군가는 부활절 시기 즈음 먹을 수 있다 하여 부활 상추라고도 부른다. 이게 가능하려면 겨울을 잘 나도록 보온해 주고, 봄 즈음에 퇴비를 주어야 할 것이다. 


상추만이 아니라 시금치나 배추 등도 월동을 해서 먹을 수 있다. 지난 번 심어두었던 배추는 결구가 시작되고 있다. 하지만 잎은 처참하다. 



잎벌레가 온통 다 먹어치운 바람에 구멍이 송송 뚫려 있다. 모종을 심고 나서 결구가 시작되기까지 물을 두어 번 주는 것 말고는 아무 것도 하지 않았으니, 당연한 결과일지도 모르겠다. 잎벌레를 찾아 잡아주어야 하는데, 이제는 배추가 너무 많이 커버려서 벌레를 찾는 것도 쉽지 않다.


농사에도 시간과 정성을 기울여야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시간과 정성을 얼마만큼 주었을 때 효과적인지는 따져보아야 한다. 농사도 결국 경제 논리를 따를 수밖에 없을 것 같다. 한계생산성체감의 법칙은 농사에도 적용된다. 여기에 노동의 투입 대신 자연의 힘을 얼마나 잘 활용할 수 있느냐가 중요한 부분이라 여겨진다. 자연의 힘을 최대한 이용함으로써 노동에 들어가는 시간과 정성을 줄여갈 수 있다면 금상첨화이지 않을까. 숲이 노동없이 무성해지듯이 말이다. 어슬렁거리며 농사짓기. 꼭 이뤄보고 싶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은하수 2022-10-21 08:1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상추도 월동이 되는거군요?
신세계 ~~ 저도 배추는 벌레가 생겼다가 날이 좀 추워지니 괜찮던데요 배추가 처참하네요 ㅠ 약을 안주니 어쩌면 당연한 결과죠! 저도 올해 텃밭에 키우는 작물들에 벌레와 전쟁을 벌였어요 나무젓가락들고 아침마다 잡다가 잡다가 나중엔 포기.. 안되더라구요

하루살이 2022-10-26 16:13   좋아요 0 | URL
한랭사, 끈끈이, 이도저도 안된다면 천연농약을 활용해보아야 겠죠? 자연이 주는 선물을 만끽할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
 

22년 10월 16일 흐림 14도~21도



2주 전에 심었던 씨마늘에서 싹이 올라왔다. 싹을 틔우지 않고 바로 심었기에, 혹여 싹이 나오지 않을까 걱정했다. 하지만 그야말로 기우였다. 마늘이 예쁘게 싹을 내민 것이다. 조건만 맞는다면 기어코 싹은 나는 것이다.



내친김에 지난 주에 퇴비를 뿌려 둔 곳에 남은 마늘씨를 심었다. 구멍을 뚫고 마늘씨를 넣은 후 흙을 살짝 덮어주고 물을 듬뿍 주었다. 이번 주 날씨가 춥다고 했는데, 잘 견뎌내고, 다음 주 쯤 싹을 내밀었으면 좋겠다. 


마늘밭 옆에 고구마를 조금 심어두었던 곳의 고구마 줄기도 다 거두었다. 그리고 고구마가 혹시 달렸을까 삽질을 해보니...



정말 핸드볼공만한 고구마가 땅에 박혀 있다. 아마도 대여섯개 정도 되는 고구마가 분리되지 않고 뭉쳐져 버린 듯하다. 땅이 진 탓에 이런 현상이 나타난 것은 아닐까 추측해본다. 고구마를 수확하기에는 땅이 다소 찰흙에 가까워 조금 더 땅을 보드랍게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유기물을 충분히 넣어주어야 할 듯 싶다. 물론 이런 진 땅에서 잘 자라는 작물을 심는 것도 방법이긴 하다. 어찌됐든 이렇게 큰 고구마를 어떻게 먹어야 할지. 대략 난감하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