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NHK에서 찍은 다큐멘터리를 EBS 다큐10으로 방송한 인간의 한계를 넘어라는 편에서는 펠프스가 어떻게 세계기록제조기가 될 수밖에 없는지를 보여준다. 3일간 특수장비 카메라를 이용해 그의 수영 훈련모습을 찍은 이 다큐는 그야말로 펠프스를 좋아하도록 만들어준다. 이 다큐를 보고나면 펠프스의 팬이 될 수밖에 없다고 감히 말할 수 있다.

우리는 우리나라 선수들이 구슬땀을 남보다 많이 흘릴 것이라고 착각하곤 한다. 그 땀방울은 절대 배신하지 않으리라고 말하면서. 그러나 우리 뿐만 아니라 많은 다른 나라 선수들도 그만큼의 땀을 흘린다. 다만 누가 더 집중하고 집중하고 또 집중하느냐, 그리고 새로운 훈련법을 도입하느냐의 차이일 뿐이다. 물론 이 차이는 요즘 어디에서나 중요하게 여기는 창의적 방법을 말한다. 우리의 양궁선수들 훈련처럼 말이다.

펠프스의 창의적 훈련법은 이제 누구나 알고 있는 그의 잠영과 돌핀킥에 있다. 남들보다 두 배 정도 물 속에서 마치 돌고래처럼 두다리를 함께 휘젓는 그의 영법은 타고난 신체적 조건, 발길이 350미리, 팔길이 2미터 5센티, 과 함께 단내나는 훈련 덕분이기도 하다.

허리에 8키로그램의 쇠뭉치를 차고 수직으로 서서 오로지 다리로만 물 위에 뜨는 훈련은 극도의 체력을 요구한다. 50초 물 위에 떴다 10초 쉬웠다를 10회 이상 반복한다. 똑같은 훈련을 일본의 자유형 최고 선수에게 시켜봤더니 겨우 20여초를 견뎌냈을 뿐이다. 또한 턴 후의 반발력을 키우기 위해 물 속에서 박차면서 돌핀 킥으로 치고 오르는 훈련도 사흘에 한번씩 진행된다. 너무나 힘든 훈련이기 때문에 매일 할 수 없기 때문이다.

펠프스는 이번 올림픽 전까지 5년간 단 하루도 쉬지않고 하루 6시간씩 16키로미터를 헤엄쳤다. 이번 베이징올림픽을 앞두고서는 8000cc에 달하는 폐활량에도 고지에서 훈련을 했다. 휴일은 1주일에 단 하루.

사람들은 펠프스를 괴물이라 부르고 천재라 부르면서 그의 이런 훈련모습을 떠올리지는 않는다. 일본 스태프가 그에게 물었다.

매일 이렇게 훈련합니까?

네. 그렇죠. 항상 즐거운 것은 아니에요. 지금도 끝날 때가 된듯해 시계를 보고 있잖아요. 빨리 물에서 나가고 싶어요.

그래도 그는 자신이 잘 할 수 있는 것을 사람들의 사랑을 받으면서 할 수 있다는 것이 행복하다고 한다. 그의 올림픽 8관왕을 기원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골의사 박경철씨의 아주대 강좌를 동영상으로 봤다. 시골의사는 강의를 통해 1%의 세상을 이끄는 사람이 되자고 말한다. 즉 0.1%의 창의적 인간과 그 창의적 인간을 간파하고 그것과 동조할 수 있는 0.9%의 사람 안에 들자는 것이다. 나머지 99%는 그야말로 시대에 흐름에 뒤늦게 몸을 맡기는 잉여인간이기 때문에.

즉 세상은 누군가의 창의적 아이디어에 의해 급격한 변화를 겪고, 그것을 주도하는 사람들에 의해 세상은 움직여가기에, 사람으로서 살아간다면 세상에 휩쓸려 살아가기 보다는 세상을 주도하며 살아가자는 의미로 여겨진다. 이것은 세상의 변화에 대한 지극한 긍정이라고 보여진다. 세상의 공진화를 믿는다는 그의 말에서도 이것을 느낄 수 있다.

일단 그의 말에 공감한다. 격랑과 같은 세상의 흐름을 거스르고 살아간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그렇다면 그 흐름의 물줄기를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가져간다면 최상의 것일게다. 그런데 문제는 이 세상이 '인간의 얼굴을 한 자본주의'가 되기 시작하면서 더욱 더 99%의 사람들을 잉여인간으로 만든다는데 있다. 잉여인간을 잉여인간이지 않은 방향으로 나아가는 길, 그 길은 없을까.

그것은 아마도 시골의사가 1%안에 들기 위해 항상 찾아 헤매야 하는 'w'(창의적 0.1%)가 무수히 나타나야만 가능할 일일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 w를 대량생산? 하기 위해서는 아무래도 노자의 소국과민과 같은 삶의 형태로 바뀌어야 할 것이다. 이것은 인간의 사회적 행태가 엘리트주의적 경향에서 벗어나는 것을 뜻할진대 과연 지금과 같은 경쟁사회에서 그것은 가능한 일일까.

그러기에 현실적으론 시골의사의 1% 인간되기에 개인 스스로가 나서야 할듯 보이지만, 한편으론 1%가 퍼져 2, 3, 10, 20... 이 되는 사회도 가능한 것은 아닐까 상상해본다. 물론 모두가 이렇게 창의적 인간이 된다면 세상은 혼돈에 휩싸여 아수라장이 될지도 모른다. 과연 삶의 행보를 어디에 맞추어야 할 것인지 고민해보게 만드는 강의였다.

사족-만약 1%의 사회가 아닌 모두가 창의적인 사회로 나아가는 방향을 찾는 사람이 있다면 그는 정말 천재적인 w가 아닐까. 자신이 w가 되지 못한다는 것을 안다면 w를 알아볼 수 있는 안목을 기를 수 있는 사람이 되자는 데는 적극 찬성이다. 그러나 때론 자유로부터 도피하고 싶으니 99%의 잉여인간인들 어떠랴는 생각도 갖게 된다. 아마 그래서 세상은 움직일지도 모른다. 자발적 잉여인간과 비자발적 잉여인간들을 거름으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노르웨이의 한 유람선. 그 위에 가난한 예술가 부부가 타고 있다. 부인은 한국 방송팀에게 요란스럽지 않게 말한다.

"난 노르웨이가 자랑스럽다. 이곳의 평화가 너무 좋다."

우리는 우리의 조국을 어떨 때 자랑스럽게 여기는가? 바로 ㅇㅇㅇ 부문 1등일 때일 것이다. 광고도 바로 그런 부분만을 자극한다. 2050년이면 세계 2위의 경제대국이 될 것인가를 믿으면 그곳에 희망이 있다고 말하는 광고. 아마 이번 베이징올림픽에서도 금메달 몇개로 세계 몇위안에 들었다라는 것에 목소리 높여 자랑할 것이다. 그리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죽을 힘을 다해 뛸 것이다.

어찌보면 이런 치열함과  경쟁에서의 승리에 대한 욕망이 현재의 우리를 이정도까지 위치짓게 만들었는지도 모른다. 다이내믹 코리아라는 슬로건이 정말 우리의 자랑일 수도 있다.  

그러나 초소 지붕이 무너져 사망하는 병사가 있다. 배수로를 정리하다 토사에 묻혀 목숨을 잃은 병사도 있다. 금강산 관광에 나섰다 총에 맞아 죽은 관광객도 있었다. 건물이 무너져 다리가 무너져 스러져간 사람들도 있었다.

평화가 자랑스럽다는 노르웨이의 예술가 부부의 말이 귓전을 울린다.

호숫가를 누구보다도 빨리 건너기 위해 잔잔한 물결에 큰 파장을 일으키며 질주하는 그 뒷모습에서 얼핏 대한민국의 그림자를 본다. 호숫가의 생물들을 깨우지 않기위해 천천히 건너갈 수는 없다며 여전히 태생적 환경 탓으로만 돌려야 할 것인지... 우린 언제쯤 평화를 향해 한걸음 다가설 수 있을까.

2050년 대한민국에 철책과 지뢰가 없어질 것이다고 믿는가에 예스를 할 수 있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정성은 습관입니다.
가슴 속에 정성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항상 감사하고 행복합니다.

불행도 습관입니다.
불행을 습관으로 갖고 있는 사람은
그 사람이 어떤 상황에 있을지라도
피해의식과 이기심과 자만심을 갖게 됩니다.

정성이 사라지면
사람은 경박스러워 집니다.
여러분들은 정성이라는 좋은 친구를
항상 가슴 속에 품고 다니길 바랍니다.

정성스러운 마음을 갖게 되면
모든 대상이 다 하나님이고
모든 대상이 다 부처님이고
모든 대상이 전부 참나인 것입니다.

하늘이 제일 사랑스러워하는 사람은
정성을 갖고 있는 사람입니다.

-일지 이승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헬레네 도이치란 분석가는 외로움이란 다른 사람에게 제일 중요한 사람이 되지 못한다는 느낌에서 유래한다고 하였다. 사랑은 우리에게 그러한 환희의 순간을 되돌려준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파란여우 2008-05-23 21: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랑은 우리에게 그러한 횐희의 순간을 되돌려준다.
오타, 횐희=>환희 ^^

하루살이 2008-05-26 08: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 죄송 ^^ 고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