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정일의 독서일기 2 - 1994.11 - 1995.11
장정일 지음 / 미학사 / 1995년 12월
평점 :
절판


1편에서 작가는 소설가란 소설속 인물의 변이를 다루어야 한다고 은근히 주장했다. 주인공들의 변화가 없는 소설이란 아무래도 석고와 같이 무생물의 냄새가 물씬 풍기기 때문이리라. 이러한 작가의 관점은 책을 읽는 곳곳에 드러난다. 특히 밀란쿤데라의 <사유하는 존재의 아름다움>에 대한 일기장은 그러한 영향이 확연히 드러난다.

먼저 쿤데라는 신앙과 진보에 대한 비판을 행하고있다고 보고 있다. 여기서 신앙이란 종교요 진보란 크레물린을 상징한다. 이 둘은 인간의 불완전성을 의식한다는 것을 전제로 인간의 향상성을 믿는다. 인간에게 향상성이 없다면 절망과 악일 뿐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쿤데라는 향상성 대신 우매와 우연, 절제없는 욕망, 고상하게 위장된 허영 따위가 바로 인간의 총체라고 보고 있다. 그럼에도 쿤데라가 염인론자가 아닌 것은 인문주의적 요양과 성찰에 힘입고 있기 때문이라고 장정일은 보고 있다.

즉 장정일은 변화, 전이에 대한 이해가 바로 소설이라고 했기 때문에 그 변화의 긍정적 방향이라는 향상성도 일견 소설의 하나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하지만 쿤데라에게 있어서 그런 진보, 향상성은 거짓인 것이다. 그러기에 쿤데라를 헐뜯을만도 하겠는데 그게 그리 만만치 않은 것이 바로 그의 인문주의적 힘이라는 것이다.

어찌됐든 사회라는 것과 소설이라는 것 모두 변화되어질 수밖에 없는 존재이며 변화라는 것이 꼭 진보를 의미한다고는 볼 수 없다는 것이 핵심이라고 보면 되겠다. 이런 변화를 지켜볼 수 있는 눈을 지니고 있다는 것 자체가 행복이지 않을까 그의 독서일기장을 훔쳐보며 질시의 눈길을 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장정일의 독서일기 범우 한국 문예 신서 79
장정일 지음 / 범우사 / 199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세상에나, 장정일의 독서량은 도대체 어느 정도인거야? 책을 보고 있으면 평균 하루에 1권정도 읽어대는 그의 책에 대한 집착에 입을 다물지 못한다. 이렇게 읽다보면 내가 언제 무엇을 읽었는지 기억조차 하지 못할 터이다. 그러기에 자신의 기억을 위해서라도 독서일기장은 꼭 필요할 터.

이런 독서일기장은 개인적 기억창고이지만 다이제스트를 원하는 작금의 세대에게는 그야말로 단시간에 수십권의 책을 읽을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작가의 글 중 이런 세태에 대한 비난이 없지 않으나 그 자신의 책이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발맞추고 있음은 알고 있는지.

아마도 그 자신 또한 이런 모순된 점을 인정하고 슬쩍 변명을 늘어놓고 있다. 좋은 책이란 그 책을 읽음으로써 또 다른 좋은 책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책이다고 정의하고 있다. 즉 자신의 책은 그런 좋은 책을 수십권이나 가르쳐주고 있으니 얼마나 좋은 책이냐고... 아무튼 이 일기장을 보면서 장정일이 갖고 있는 소설에 대한 생각을 읽을 수 있게 된건 행운이라고 볼 수 있겠다.

P128 소설이란 작중인물들의 존재이전이 드러나야 한다는 생각, 즉 주인공의 인생유전을 다루는게 문학이다는 생각은 많은 생각거리를 가져다 준다. 특히 구조에 의한 유전이 아니라 개인의 의지를 통한 유전이 보다 좋은 소설이라고 말한 점은 전자가 학문적 측면에서 다루어져야 할 문제라고 볼 때 적절한 정의라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이 책이 어떤 문학적 소양을 지니고 있다고는 보지 않지만 1993년과 1994년 사이의 장정일에게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를 생각해보는 재미를 가져다 준다.

무엇보다도 일기장 속에 드러난 여러 읽을거리중 나도 몇권 읽어야 되겠다고 추려놓은 책들이 있다는 점에서 이 책의 가치는 어느정도 평가되어질 수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