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토요일이었던가, 일요일이었던가. 카톨릭 신학대학교의 학과일정이 TV를 통해서 드러났다. 150년만에 처음으로 공개된 신학생들의 삶은 눈길을 사로잡기에 충분했다. <영원과 하루>라는 제목으로 KBS 스페셜로 방송됐는데, 삶의 경건함을 느끼게 만드는 힘을 지니고 있었다.
만 30세 이전의 학생들에게 입학이 허용되고, 같은 해에 입학하면 군대를 같이 가거나, 그 기간동안 봉사활동을 함으로써 전체가 함께 같은 일정을 가도록 짜여져 있는 그들의 모습이 한편으로 숨이 막힐듯하다. 하지만 이런 하나됨이 남다른 일체감을 주리라는 것은 말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그러나 또한 불필요한 생각일듯 싶지만, 이것이 카톨릭 조직이라는 곳에서 권력싸움의 밑바탕이 되지않을까 불손한 상상을 해본다.
가족과 친구들의 우려, 걱정 속에서 들어간 신학대학교의 삶이 그들이 무엇때문에 이 길을 택한 것인지를 끊임없이 묻게 만드는 것 같았다. 동년배들이 느끼는 생각, 욕구와 동떨어진 삶과 생각을 가지고 살아간다는 것은 그들에게 무슨 의미일지 차분히 보여주는 속에서, 나 또한 명상에 잠긴다. 특히 그들이 대답하기를 꺼려했던 이성과의 관계를 큰 의미의 사랑으로써 이해하는 것을 넘어, 과연 어떻게 그 유혹을 이겨냈는지 궁금하기도 하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관심을 가졌던 것은 이 과정을 이겨내지 못하고 중도 탈락한 학생들의 이야기였다. 프로그램 속에서도 탈락율이 35%에 이른다고 알려주고 있지만, 무엇이 이들에게 그토록 단단했던 신념을 깨뜨리게 만들었는지를 보여주는데는 다소 소홀한듯 싶다.
다만 졸업반, 성직자의 길을 택하기전 휴학한 학생의 입을 빌려 이야기해보면 그들의 갈등을 조금이나마 엿볼수 있을 것 같다. 과연 자신의 모든 것을 버리고, 희생함으로써 이루려고 하는것, 그것으로 가느 것에 일말에 후회가 없을 것인지에 대한 회의. 그것은 단지 신학도로서만의 문제는 아닐듯 싶다. 믿음이라는 것은 오직 종교적인 차원에서만 다루어질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일 것이다. 내 꿈을 향해 걸어가는 길. 그것에 대한 믿음 역시 이것과 별반 다를 것이 없어 보인다. 지금 내가 이토록 고민하고 있는 것도, 그 휴학생의 고민과 많이 닮아 있는 듯하여, 그 심정을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래서 TV가 보여준 65%의 신학도들보다 35%의 탈락자들이 지금은 어느 곳에서 무엇을 하고 있을 것인지 정말 궁금했다.
믿음, 그리고 흔들림, 선택, 그리고 후회.
삶은 어떤 것도 확실하지 않은 것 같다. 내가 확신할 수 있는 것도 없다. 다만 한발 한발 내딛는 내 발자국만이, 비록 비틀거리고, 주춤댈지라도, 온화하기만을 바랄뿐이다. 질질 끌려가지않고, 더디더라도 힘차게 내 딛어지기만을 바랄뿐이다. 무지개를 향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