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스페셜 <끼니 반란>에서 소개된 간헐적 단식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1일1식의 열풍과 맞물려 가끔씩 단식을 해주는 것이 건강할 수 있다는 생각에 귀가 솔깃해진 것이다. 이번 <끼니 반란>은 당연시 또는 상식이라 생각했던 하루 세끼라는 생각에 대해 의심 내지 의문을 품게 만들었다는 측면에서 그 가치를 높이 사고싶다. 이번 방송으로 인해 무엇을 먹느냐 또는 어떻게 먹느냐에 대한 관심에서 언제 먹느냐가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게 됐다. 그런데 건강을 위한 이런 다양한 먹는 방법들은 일견 단순하게 생각해볼 수 있는 문제다. 바로 우리 인간이 어떻게 진화해 왔는가를 살펴보면 그 해답이 보일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가끔 먹고 또한 가끔 고기를 먹었을 뿐이다
채식이냐 육식이냐, 생식이냐 화식이냐? 아직도 논란 중인 무엇을 먹을 것인가와 어떻게 먹을 것인가에 이어 이번엔 언제 먹을 것인가가 사람들의 관심을 끌게 됐다. 그런데 인류가 진화해 온 길을 더듬어 보면 언제 어떻게 무엇을 먹어야 건강해 질 수 있는지를 선택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
인간이 인간으로 진화할 수 있었던 것은 불의 발견이 크다. 특히 이 불을 통해 요리를 할 수 있게 되면서 뇌가 폭발적으로 발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요리 본능>이라는 책을 보면 인류가 다른 영장류와 다른 진화의 길을 걷게 된 것을 불을 통한 요리로 보고 있다. 이것은 우리가 생식을 고집할 필요가 없는 이유이기도 할 것이다. 그런데 불을 통한 요리라 하더라도 주로 우리는 곡류와 열매, 뿌리, 채소 등을 먹어왔다. 고기는 가끔, 정말 운수좋은 날 사냥에 성공했을 때나 먹을 수 있었던 것이다. 더군다나 이런 사냥을 떠나는 남성들은 매끼니를 챙겨먹을 수도 없었을 뿐더러 푸짐하게 먹을 수도 없었을 것이다. 즉 완전채식이 아닌 가끔씩 먹는 육식, 그리고 하루 한두끼의 식사가 인간이 걸어온 길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또하나 주목할 것은 채식이라 하더라도 지금처럼 기름을 많이 먹진 않았다는 것이다. 요리를 할 때 두르는 그 식물성 기름들을 말하는 것이다.
아무튼 현재의 우리 몸은 바로 이런 식사 습관에 맞추어져 왔을 것이다. 그러니 현재 우리의 육류 위주 식습관과 하루 3끼 이상의 과다한 식사시간이 우리 몸을 아프게 만드는 것은 당연한 일일지도 모른다. 반대로 이런 병폐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극단적인 채식과 생식을 고집하는 것도 몸에 무리가 가는 일일지도 모른다. (물론 종교적인 이유나 신념에 의한 이유는 제외다. 건강상의 이유로 택했을 때의 경우를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옛날 옛적에 먹던 것과 지금의 것이 같을까
여기서 한가지 더 고려해봐야 할 것이 있다. 예전 사냥을 해서 먹던 고기와 지금 곡물을 먹고 자라는 고기가 같은 것일까? 하는 점이다. 흔히들 말하는 오메가 3와 오메가 6 성분비가 확연히 다르는 등 두 고기의 질이 차이가 난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또한 자연에서 자란 채소나 과일의 성분과 농약과 비료를 먹고 자란 식물들의 영양성분도 비교해봐야 할 점이다. 게다가 냉장기술의 발달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해지고, 또한 계절을 잊고 나오는 음식들이 제철 노지에서 갓딴 자연식품들과 어떻게 다른지도 살펴봐야 한다. 현재 우리가 먹고 있는 채소와 과일들은 예전 우리 선조들이 먹던 것들보다 무기질, 비타민 등이 적게 함유되었을 가능성말이다. 바로 이 부분 때문에 현재 우리 인류가 자꾸 과식을 하게 된다고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다.
또 한편으론 다양한 채식이 가능해지면서 필수영양소를 대부분 섭취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굳이 육식을 해야 하는가도 고려해볼 문제다. 육식에 대한 탐닉이 공장식 축사로 이어지면서 생명경시와 환경오염을 부추기는 측면도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것은 풀을 먹이는 생태적 가축기르기로 극복될 수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그렇게만 된다면 꼭 채식만이 건강하면서도 생태적 내지 도덕적 음식섭취법이라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아무튼 <끼니 반란>을 통해 우리의 관심사가 무엇을 어떻게 먹을 것인가를 넘어 언제라는 시간이 개입된 건 틀림없어 보인다. 이 세 요소들은 개인이 처한 환경에 따라 다양한 변주가 가능할 것이다. 방송 말미 경고에도 나오듯 청소년이나 임산부의 경우엔 단식이 해가 될 수도 있는 문제다. 나의 처지에 맞추어 알맞은 방법을 찾되 우리 인류의 몸이 어떻게 진화해 왔는가를 생각해 보면 참고가 될 것이다.
한편으론 먹는 방법이 개인의 건강을 넘어 인류의 건강에 대한 관심까지 이어졌으면 하는 바람도 있다. 바로 먹을거리를 얻는 방법에 대한 고민말이다. 우리가 무엇을 먹고 있는지는 알고 먹었으면 좋겠다는 뜻이다. 동학이 말하듯 우리 생명은 다른 생명을 먹고 그 고귀함을 이어가는 존재이지 않는가. 생명을 먹는다는 생각을 잊어버리게 만드는, 공산품마냥 생산되는 현재의 먹을거리에 대한 성찰도 함께 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