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제서야 영화 <기생충>을 봤다. 다행히 결말에 대한 이야기를 듣지않아서 극의 전개가 주는 재미는 충분히 느꼈다. 하지만 누군가의 '냄새에 대한 이야기'라는 평이 영화를 보는 시선에 방점을 찍어대는 통에 나만의 관점을 갖는데 다소 어려움을 느꼈다. 게다가 감독이 빈부격차에 대한 이야기라고 힌트를 주는 인터뷰를 들었던지라 자연스레 관점이 한정되는 부작용도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화는 '봉테일'다운 디테일과 나름의 반전으로 충분히 재미있었다. 특히 공간을 통해 드러나는 계층간의 격차는 '선을 넘지 말라'는 박동익 사장의 충고가 주는 공간적 상징과도 잘 들어맞는다.

 

전원백수 기택의 가족이 사는 곳은 반지하이다. 건물 중 반지하라는 공간은 방공의 공간이었다. 하지만 1960~70년대 서울로 몰려드는 사람들이 싸게 거주할 수 있는 공간으로 바뀌게 됐고, 세월이 흘러 이제 반지하라는 공간은 법적으로 신규건물에 지어질 수 없게 되면서 고시원이라는 공간이 그 자리를 점차 대신하고 있다.- 웹툰 <타인은 지옥이다>는 이 고시원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다. 이 이야기 속에서도 기생충의 이미지가 차고 넘친다.

 

기택의 가족이 박 사장의 집에 기생하면서 알게 된 새로운 공간 또한 지하이다. 이 지하의 공간도 방공의 개념이나 은신처의 개념이다. 이 공간들은 상주의 공간이 아니라 임시거처의 공간이다. 그럼에도 임시가 아닌 상주해야 하는 사람들이 있다. 바로 자신만의 공간을 가질 수 없는 빈민들이다. 반지하나 지하의 공간은 햇빛을 마음대로 쐴 수 없다. 기택의 가족이 들어가기 전 이 지하에서 기생하고 있던 가정부 문광의 부부는 주인이 없을 때면 지하의 공간에서 나와 햇빛을 즐긴다.

 

지하의 삶은 그 공간이 주는 냄새가 있다. 영화에서 말하는 지하철을 타는 사람들의 냄새마냥 말이다. 그런데 이 냄새라는 것은 공간의 한계를 넘어 퍼져나간다. 결국 공간성이 무너지면서 영화의 종반 극적 사건이 터지는 것이다. 하지만 이 사건은 일회성에 그치는 우발적 사고에 그치고, 지하에 기생하는 기생충의 지위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다. 즉 공간의 역전이나 경계가 허물어지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다만 이 지하의 공간에서 기생충끼리의 슬픈 대결만이 커다란 상처로 남아 잔존한다.

 

과연 지하의 공간은 지상의 공간과 벽과 문 없이 열린 공간으로 이어질 수 있을까.

보다 견고해지는 지상과 지하를 가누는 벽은 우리 일상의 공간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이젠 지상에서조차 철조망을 치며 경계를 나눈다. 임대주택과의 경계는 박 사장 집의 지하실 문과 꼭 닮아 있다. 그런데 그 경계를 허무는 방법을 찾기위한 기생충의 연대 보다는 경계안에서 안주하기 위한 기생충간의 경쟁이 더 우선되기에 경계는 그 경계성을 더욱 공고히 한다.   

 

사족 : 문화심리학자 김정운 소장이 말하는 슈필라움(놀이+공간)은 지하에서도 가능한 일일까. 갇혀있는 지하에선 불가능할 것이다. 다만 그럼에도 지상과 지하가 자유롭게 뚫려 소통가능하다면 지하에서의 슈필라움도 결코 불가능한 일은 아닐지도 모른다. 나만의 공간은 동굴이 될 수도 있지만, 언제든 자신이 마음내킬 때 밖으로 나올 수 있을 때만이 진정 슈필라움이 되는게 아닐까. 공간에서 빛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갖는 것, 이것이 기생이 아닌 공생으로 가는 길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상어

여름이면 찾아오는 손님. 1978년 한국을 찾아온 <죠스> 이후 꾸준히 방문하고 있다. <죠스>의 '빠~밤 빠~밤 빠밤빠밤' 심장을 조여오는 듯한 음악은 영원히 잊혀지지 않을 것이다. 영웅과 악당의 대결구도. 죠스는 새로운 악당으로 등장한다. 죠스는 꽤 인기를 얻어 5년 후 <죠스바>라는 아이스크림까지 나왔을 정도. 하지만 이후 나온 상어 소재 영화들은 죠스의 아류이거나 그저 그런 영화에 그쳤다. 

좀더 자극적이거나 좀더 강력한 상대가 필요했을까. 20여년이 흐른 후 상어는 유전자 조작된 괴생명체로 나타났다.(물론 그 전에도 유전자 조작으로 탄생한 상어가 제작되긴 했지만 흥행과는 거리가 멀었다) 바로 <딥 블루 씨>. 하지만 유전자 조작으로 태어난 괴물이 꼭 상어일 필요는 없을터. 그래도 한정된 공간이 갖는 공포감을 잘 드러냈다.

이후 또 강렬한 인상을 남긴 상어 영화가 없다(순전히 개인적 평가다) 20년이 조금 못돼 <언더 워터>라는 영화가 나타났다. 서핑을 즐기던 여주인공이 상어의 공격을 받아 상처를 입고 암초에 피신하면서 생존을 위한 사투가 벌어지는 내용이다. 간만의 차로 인해 암초가 물에 잠기는 것은 시간 문제. 즉 한정된 공간에 제한된 시간이라는 요소가 더해졌다. 해변까지는 불과 200미터. 희망을 눈앞에 두고서 진행되는 사건이 흥미진진했다.

<47미터>는 이 <언더 워터>와 많이 닮아있다. 샤크케이지(상어를 구경할 수 있도록 고안된 철창 상자)라는 한정된 공간과 20분 정도밖에 남지 않은 산소통. 즉 제한된 시간과 공간 속에서 벌어지는 사투라는 점이 비슷하다. 여기에 한 가지 추가가 된 것이 바로 소리다. 심해라는 공간이 갖는 고요함이 공포심을 더욱 극대화한 것이다.  

 

2. 소리

<47미터>는 소리가 주는 심리적 공포를 잘 이용하고 있다. 폭우가 쏟아지는 와중에 빛이 번쩍 하고 하늘이 갈라지는 듯한 천둥소리가 들리면 바짝 긴장하게 된다. 친구들과 장난을 칠 때도 살금살금 다가가서 "왕"하고 큰 소리를 내 깜짝 놀라게 만든다. 고요함, 또는 잔잔함 속에서 쾅 터지는 소리가 주는 공포감은 누구나 한 번쯤은 겪어봤을 듯하다. 

<47미터>는 이런 큰 소리의 공포가 아니다. 심해의 고요함 속에서 들려오는 거친 숨소리가 긴장을 자아내는 것이다. 거친 숨소리는 평온을 잃었다는 표시이자 산소통을 빨리 소모시킨다는 점에서 급박함을 나타낸다. 영화는 이 소리를 적소에 잘 뽑아내고 있다.

 

3. 연결

생존은 연결의 문제이다. 케이지가 47미터 아래로 추락한 것은 케이블과 케이지를 연결한 고리가 문제였기 때문이다. 영화 중반 구출됐다는 안도감도 잠시 다시 위기 속으로 내 몰린 것도 배와 연결된 케이블이 끊어져서다. 

두 여주인공이 희망을 가질 수 있는 것은 배와의 무선 통신이다. 일정 거리 안으로 들어가야 하는 문제가 있지만 그 연결만이 유일한 희망이 된다. 두 여주인공 사이에서도 서로 희망이 되어 줄 수 있는 끈은 바로 통신이다. 통신이 끊긴다는 것은 곧 죽음을 의미한다.

인간은 모든 생명, 사물과 연결되어야 살아갈 수 있는 존재이지 않은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액션 게임(슈팅 게임)을 좋아한다면 강력추천. 새로운 액션에 목말라하는 사람들에게도 추천.

 

2. 어렸을 적부터 킬러로 키워진, 냉혈한에 가까운 사람. 그리고 그 속에서 일어나는 배신과 사랑. 어찌보면 이런 스토리는 이제 고전에 가까워질 정도. 하지만 화려한 액션으로 새로운 옷을 입다.

 

3. 하늘아래 완전히 새로운 것은 없다! 악녀의 액션 신은 1인칭 시점이 많다. 영화라는 매체의 특성 중 하나는 주인공에게 감정 이입, 즉 내가 주인공인마냥 느끼도록 몰입하게 만드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는 몰래 훔쳐보기이거나.  아무튼 대부분 주인공으로 착각하게 만드는 요소는 말 그대로 감정상태인 경우가 많다. 반면 <악녀>는 몸의 움직임을 내가 하고 있는 듯 착각하게 만들어준다. 즉 감정 대신 행동을 주인공마냥 느끼도록 해준다는 것이다. 하지만 슈팅게임을 흉내낸 듯한 이 신은 비록 새로워 보일지라도 게임에는 미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게임은 내가 조종해서 움직이는 즉 내 손에 따라 움직여진다는 분신같은 느낌이 있지만, 영화는 아무리 1인칭 시점을 가져다대도 분신같은 느낌까지는 주지 못한다.

 

4. 그럼에도 오토바이신이나 버스 액션신은 감탄을 자아낸다. 한 공간에서 순식간에 벌어지는 액션이라는 측면에서 <올드보이>를, 움직임을 그대로 쫓아가는 카메라 워킹은 <본>시리즈를 연상시키지만 급박함을 이끌어내는 앤션만큼은 엄지 척.

 

5. 영화를 보면서 수많은 액션영화들을 떠올렸다. 이소룡과 성룡의 차이, 나는 듯한 경공술로 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기는 액션 <와호장룡>, 빗발치는 총알의 느와르 액션<영웅본색>과 <첩혈쌍웅>, 약간의 와이어를 섞어 경쾌한 액션을 선보인 <황비홍>, 깊은 타격감을 여과없이 보여주는 <옹박>, 총과 춤이 만난 <이퀄리브리엄>, 시가전 현장 속에 놓여진 듯한 <히트>, 새로운 추격신을 선보인 <아수라> 등등. 머릿속에 각인되어진 영화들 속에 이제 <악녀>도 한 부분을 차지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스포일러가 한가득 있습니다.

 

1. 미스터리를 품고 있지만 관객은 절대 풀 수 없다.어떤 힌트도 주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스스로 풀어가기 보다는 영화의 흐름 속에서 답이 주어지는 것을 좋아하는 관객에게는 추천.

 

2. 딸이 교통사고로 죽는다. 그런데 사고가 나기 전으로 시간이 되돌아간다. 딸을 살리기 위해 고군분투. 하지만 딸을 살리진 못한다. 이것은 운명인가. 하지만 왜 살리지도 못할 거면서 시간은 계속 되풀이되는 걸까? 이 의문에 대한 해답을 찾아가는게 영화의 재미이다. 그리고 시간이 되풀이되는 다른 영화와의 차별점이 되는 부분이다.

 

3. 되풀이되는 시간 속에 되풀이되지 않는 사람이 한 명 더있는 것을 알게된다. 그는 교통사고를 일으킨 택시의 승객이 아내인 남자. 이 남자 또한 아내를 살리기 위해 계속 애를 쓰지만 마찬가지로 도돌이표. 그런데 이 두 남자는 왜 같은 사건을 계속해서 마주쳐야 하는가. 드디어 그 의문을 풀어줄 세번째 남자가 등장한다. 바로 택시운전사다.

 

4. 이 세 명의 남자는 과거의 한 사건으로 연결되어져 있다. 그 얽혀버린 인연을 풀어야지만 되풀이되는 시간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다. 소명이 주어진 것이다. 소명은 바로 용서를 구하는 일이요, 복수에서 벗어나는 일이다. 바로 이 소명의식이 영화의 맥을 빠지게 만든다. 권선징악은 아무래도 고리타분하다. 선과 악의 뚜렷한 경계가 없고, 권선징악의 예외를 자주 마주쳐야 하는 일상 속에 사는 사람들에게 선한 이들을 축복하고 악한 이들을 비난하는 일은 뉴스만으로 충분하다.

 

5. 딸을 구하고, 아내를 구하고, 시간의 굴레에서 벗어나야 하는 주인공들. 사건은 흥미진진하나 인물은 식상하게 느껴진다. 캐릭터들의 매력이 없다. 모두가 선하기 때문이다. 복수심에 불타고, 사람을 죽일 결심을 하는데도 그들은 착하다. 그로 인해 사건이 복잡해지고, 갈등이 쌓여가는 것이 아니라 문제가 해결된다. 영화의 가장 아쉬운 부분이다. 결국 '착하게 살자'일 뿐이지 않은가. 세상이 어디 그렇게 단순하던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1. 대부분 혹평으로 뒤덮힌 리뷰. 설리를 중심으로 한 댓글. 참 말 많은 영화였다. 혹시나 노이즈 마케팅? 그러기엔 100만명이 되지 않는 관객수가 낯부끄럽다. 

 

2. 불친절한 영화. 영화사 측 또는 홍보하는 입장에선 난해함으로 표현하지만 난해함에도 두 가지가 있다. 철학적 깊이를 요구하는, 또는 복선이나 추리적 사고를 요구하는 난해함과 겉도는 이야기 또는 아귀가 맞지 않는 전개로 인한 해석 불가. 리얼은 난해함보다는 오히려 불친절에 가깝다. 이야기 중간 중간을 빼먹은듯한 느낌 같은 느낌? 또는 이야기를 어떻게 전개해야 할지 중간에 길을 잃어버린 기분 같은 기분?

 

3. 그래도 볼거리는 풍부하다. 오프닝을 비롯해 화려한 조명과 영상. 미장센만큼은 시선을 잡는다. 권투에 가까운, 또는 춤에 가까운 액션도 그럭저럭. 그런데 볼거리만 무성할 거면 CF를 연이어 보는 게 더 낫지 않을까. 화면과 화면을 이어 꿰어주는 이야기의 힘을 다시 생각해본다.

 

4. 호접몽 - 일장춘몽 - 시에스타.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화를 이해해보고자 하면 그 중심엔 바로 시에스타가 있다. 영화 속에서는 카지노의 이름이 시에스타이며 마약의 이름이 시에스타이다. 시에스타는 마약이기도 하면서 식물인간을 살려내는 묘약이기도 하다. 카지노는 벼락부자를 만들어주기도 하지만 대부분 빈털터리를 만든다. 시에스타는 한낮에 즐기는 잠이다.  잠 속에서 나비꿈을 꾸다 깨어보니 내가 나비꿈을 꾼 것인지, 나비가 사람꿈을 꾸고 있는 것인지 모르겠다는 장자의 호접몽. 그래서 영화 제목이 <리얼>인듯하다. 누가 진짜인가?가 바로 영화의 주 흐름이라고 할 수 있다. 

 

 5. 르뽀 작가로서의 장태영, 카지노를 만든 조직 보스 장태영은 한 인물이다. 해리성 인격장애. 그런데 여기에 카지노 투자자 장태영이 나타난다. 모두 생김새가 똑같다. 투자자 장태영은 르뽀작가는 물론 보스로서의 장태영을 그대로 투사한다. 그럼 누가 진짜야?가 영화의 핵심이 될텐데, 누가 진짜든 무슨 상관이지? 라는 생각이 떠오를만큼 진짜를 찾아야 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 영화의 맹점.

 

6. 그래서 오히려 중요한 인물은 신경정신과 박사 최진기(이성민 역)다. 최진기는 보리스이기도 하다. 그는 시에스타를 개발해 때론 신약으로 사람을 살리기도 마약 중독으로 사람을 죽이기도 한다. 여기에 더해 장태영의 또다른 인격을 살해하고자 한다. 한편으론 장태영(투자자)이라는 인물을 새롭게 형성시키기도 한다. 결국 영화 속 인물들은 모두 보리스에 의해 놀아난 꼴이다. 여기서 최진기 또는 보리스는 사람이기도 또는 사물(가령 화폐같은)이기도 또는 어떤 시스템이나 제도 등일지도 모른다. 그래서 한번쯤 생각해본다. 혹시 내가 지금 보리스에게 놀아나고 있는 것은 아니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