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41 | 42 | 43 | 44 | 4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이주 전에 본 영화라 무언가를 끼적이기에는 가물가물하지만 손아람의 <소수의견>을 읽고 끼적이고 싶어졌다. 이 영화는 좋은 사진이란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란 인터뷰어의 질문으로 시작한다. 보도 사진의 미학과 윤리에 관해 질문을 던지는 영화라고 할 수 있다. 총알이 날아다니고 폭력과 무법이 널부러져있는 길을 헤매며 사진 기자들이 얻은 순간의 기록은, 시선이란 권력 앞에서 때로는 상품처럼 소비되기도 한다.

 

실제로 사람이 죽어나가는 현장에서도 연민이나 애도가 아니라 카메라 셔터를 눌러야하는 운명이, 사진 기자들이다. 이들은 낮에는 총격전이 벌어지는 시내에서 수 많은 죽음을 맞이하고 죽어가는 이들의 사진을 찍어댄다. 죽어가는 이를 구해내는 건 이들의 일이 아니다. 죽어가는 이가 있다고 알리는 일이 사진 기자들의 일이므로 죽어가는 이들을 렌즈를 통해 바라만 본다. 많은 고용직들이 낮에 일에서 받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술집을 찾는 것처럼 이들도 밤마다 바에 가서 술마시고 농담하는 평범한 백인이 된다.

 

사진 기자들은 하이에나일 수도 있고 죽음의 숲에 들어간 매의 눈을 지닌 이들일 수도 있다. 종군 기자들의 임무는 현장을 포착하는데서 끝난다. 취득된 사진이 어떻게 사용될 지는 또 다른 문제다. 특종이라고 할 만한 사진이 세계 주요 언론사에 뿌려질 때 사진의 위력은, 이미 사진 기자의 것이 아니다. 매체를 대하는 대중의 태도는 아주 오묘해서 때로는 혐오감을 내비추면서도 때로는 사진을 무차별적으로 소비한다. 사진과 기사가 다루는 건 제3자의 불행이다. 독자는 타인의 불행을 바라보며 분개할 수 있는 권한을, 사는 것같기도 하다.

 

개인적 연민에서든 정의감에서든, 대량 학살을 만드는 폭력은 알려져야한다. 종군 기자들의 윤리 의식과는 별개로 보도 의무 수행만으로도 가치있다.그러나 정말 그럴까, 하고 질문하는 영화다. 생각이 많은 것과는 별개로 좀 자극적인 영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윤종빈 감독의 데뷔작<용서 받지 못한 자>부터 흥미롭게 보아 왔다. 데뷔작에서 보여준 어린 감독의 통찰력에 반했다. 어떤 감독이 말했다. 삶에 대한 통찰력은 학습되는 게 아니라고. 일정부분 동의 하는 면이 있다. 학습할 수 없는 통찰력을, 윤종빈 감독은 이미 가지고 태어났다고 할 수 있다. 이 영화는 스케일이 커지면서 감독의 장점인 섬세한 심리묘사가 조금 헐거워졌다. 그러나 익숙한 것을 낯설게 하는데는 일가견이 있다. 가령, 하정우가 최민식을 부둣가에서 처음 만나는 장면이 있다. 클래식한 자동차가 좁은 골목을 빠져나가면서 차의 보닛을 왜곡되게 카메라 잡으면서 부둣가에 이른다. 부산이 아니라 쿠바 의 이름모를 골목 같은 착각을 일으키는 장면이었다.

 

영화 제목도 소재도 클리쉐하다. 영화 전반부에서 감독이 왜 한물간 조폭 이야기를 다뤘을까..궁금해져갔다. "건달도 민간인도 아닌" 최익현이 조폭들 두목이 되기까지를 거슬러올라간다. 그 배경은 군부독재시절에 있다. 한 개인의 역사는 사회사를 비추는 거울 일 수 있다. 최익현의 파란만장한 개인사를 통해 범죄가 판칠 수 있는 환경에, 영화는 접근한다.

 

최익현은 부산 세관출신이고 부정부패로 자기 주머니를 채우는 무수한 공무원들 중 일개 말단 직원이었다. 사직 후 공무원과 기관원들의 생리를 잘 아는 최익현은 능력을 발휘한다. 뇌물로 인맥을 쌓고 족보를 들춰 10촌이란 촌수까지도 활용한다. 뇌물과 족보로 쳐 놓은 그물에 사람들은 즐겁게 잡히며 유영한다.

 

최익현을 중심으로 건달계에는 두 인물이 있다. 조카뻘 되는 최형배와 최형배 똘마니었다가 세력을 확장해 일인자가 된 김판호. 최익현은 공무원들의 심리와 생리는 잘 알았지만 건달계 생리는 잘 모른다. 최형배V김판호는 건달계에 속한다. 주먹과 힘이 우선하는 동물의 세계에서 수컷이 영역 싸움을 하는 것같다. 이 역시 인간의 본성 중 하나다. 감독은 주로 악을 다룬다. 인물들은, 악으로 가득 차 있고 악은 또 다른 악을 재생산한다. 그러나 어느 정도 우리도 알고 있듯이 악으로 뭉친 인물들은 더욱더 승승장구한다. 영혼은 악으로 잠식당했고 구원은 요원해 보이지만 현실 속에서 악은 엄청난 힘을 지녔다.

 

덧. 이 영화에서 내가 무휼로 알고 있는 조진웅이란 보석 발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41 | 42 | 43 | 44 | 4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