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테레즈 라캥
에밀 졸라 지음, 박이문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3월
평점 :
식상한 농담이 하나 있다. 이 세상에서 가장 불효자는 누구일까? 에밀 졸라ㅋ 뭐 이런 말에 낄낄거리던 시절이 있었다. 테레즈 라캥이 새삼 주목을 받은 건 박찬욱 감독의 <박쥐> 공이 크다. 초반부를 읽다보면 균신, 김옥빈, 김해숙이 머릿속에 출현해서 사라지질 않는다. 영화와 책의 공통점이 손톱만큼 밖에 안 되는데도 자꾸 세 사람의 이미지가 글을 읽는데 방해 요소로 등장한다. 줄거리는 일일연속극이나 아침드라마 처럼 자극적이다. 요즘 일일드라마나 아침드라마에 비하면 한편으로는 도덕적인 면도 있고.
자연주의 소설의 시작을 알리는 작품이라고 한다. 졸라가 쓴 이 책 서문에서 자연주의 소설의 정의를 보면 이렇다.
"<테레즈 라캥>에서, 나는 사람의 성격이 아니라 기질을 연구하기를 원했다. 이 책 전체는 바로 그것을 담고 있다. 나는 자유의지를 박탈당하고 육체의 필연에 의해 자신의 행위를 이끌어가는, 신경과 피에 극단적으로 지배받는 인물들을 선택했다. 테레즈와 로랑은 인간이라는 동물이다. 그 이상은 아무것도 없다.(...) 내가 그들의 회한을 촉구해야 했던 부분은, 단순한 생체조직 내의 무질서, 파괴를 지향하는 신경체계의 반란이었던 것이다. 그들에게 영혼은 완변하게 부재한다.(...) 강한 남자 한 명과 채워지지 않는 욕망으로 인해 욕구불만 상태인 여자 한 명을 설정한다. 그드들 속에서 어리석음을 찾는다. 단지 어리석음만을, 그런 다음 그들을 난폭한 드라마 속으로 내던지고 그 두 존재들의 느낌과 행동을 면밀히 기록한다"(서문 11쪽)
이 소설의 요점을 작가가 명쾌하게 정리해 놓은 대목이기도 하다. 다만 성격과 기질의 정의가 명확하지 않아서 네이버 사전을 찾아봤다. 성격은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특성이고 기질은 타고난 기본 본성이라고 적혀 있다. 글쎄, 비슷한 말 같기도 한데. 이 소설의 주인공인 테레즈와 로랑 뿐 아니라 등장인물 모두한테 영혼이 없어 보인다. 병약한 카미유와 결혼한 테레즈, 그후 테레즈와 로랑은 눈이 맞아 카미유를 살해한다. 카미유가 죽은 후 로랑과 테레즈가 변하는 모습은 21세기에 보면 약간 권선징악의 암시처럼 보인다. 자신의 행복을 위해 살인을 저질렀지만 죽은 이의 그림자에 갇혀 새로운 인생 따위는 찾아오지 않는다.
21세기 드라마 속에서 악을 행하는 인물들이, 졸라의 말처럼 영혼이 없는 걸 많이 보여줘서 테레즈와 로랑은 오히려 졸라의 의도와는 반대로 읽히기도 한다. 등장인물들이 영혼이 없어 보이는 이유는, 오히려 졸라의 문체 탓이 크다. 전지적 작가시점에서 단정적인 문장으로 묘사를 하고 있어서 인물이 살아서 움직인다기 보다는 졸라가 매단 끈 아래서 인형이 움직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졸라가 스물여섯 살 때 쓴 소설이라는데 스물여섯은 세상과 맞짱을 뜰 수 있는 나이다. 졸라가 쓴 서문이 그걸 입증한다. 비평가들의 혹평에 맞서는 글로 지식인들한테 사과를 요구한다면서 글을 맺고 있다. 인물들은 내적 갈등이나 혼란보다는 거침없는 기괴함을 드러낸다. 졸라도 거침없고 인물들도 거침이 없다. 이 책을 읽고나서 잔상에 남는 건 졸라의 자신감이라니...나도 기괴한 독서를 한 기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