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grace (Paperback)
존 쿳시 지음 / Penguin U.S / 200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덥기만 한 게 아니라 습해서 몇 걸음만 걸어도 모든 땀구멍에서 땀이 분출해서 동남아에 살고 있는 거 같다. 당면한 여러 가지 일들로 너무 정신없는 나날들이라 책과는 점점 멀어지는 삶을 살고 있고, 시간이 있어도 의욕없이 누워있는 시간이 너무 많고ㅜ 집중력은 가출한지 너무 오래되서 오래전부터 찜해둔 존 쿳시의 <추락>을 꽤 여러 날에 걸쳐 읽었다. 읽은 지 꽤 됐는데도 밑줄 그은 부분을 정리 안해서 찝찝하게 책을 째려보다가 오늘은 <덩케르크> 보러 가기 전에 마음 먹고 정리를 한번 해보자.

존 쿳시의 대표작으로 존 쿳시의 소설은 처음인데 꽤 흥미롭다. 타인의 고통에 대해 말할 수 있는가? 절대로 말할 수 없으며 자신이 같은 고통을 겪은 후에야 타인의 고통을 돌아볼 수 있다는 관점이다. 사실 내러티브가 너무 극단적이라 꼭 이렇게까지 밀고 나가야하는 반감이 들기도 하지만 자극적 쾌락을 추구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인간 심리의 양가성을 실험하기 위한 장치라고 받아들이면 오히려 흥미롭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백인 대학교수, 즉 1세계 출신으로 성적 충동과 같은 본능적 욕망에 대해 꽤 당당한 입장을 이야기 처음에 밝힌다.

"One can punish a dog, it seems to me, for an offence like chewing a slipper. A dog will accept the justice of that: a beating for a chewing. But desire is another sotry. No animal will accept the justice of being punished for following its instincts."(88)

그는 자신의 수업을 듣는 여학생의 수동적 태도를 이용해서 욕망을 채운 후, 어떤 죄책감도 없다. 다만 대학이라는 제도 내에서 부적절한 행동에 대한 처벌을 논할 때 그는 교수직을 내놓는 것으로 자신을의 행동을 정당화한다.

하지만 이야기의 후반부는 걷잡을 수 없는 혼돈 속으로 들어간다. 원주민의 땅에서 혼자 농장을 하면서 살아가는 딸과 그 이웃들의 삶은 그가 여태까지 알았던 질서에서 벗어난다. 유기견 안락사를 시키는 벨 쇼브를 보면서 그는 인간의 양면성에 대해 생각한다. 유기된 개를 사랑으로 극진히 보살피다 입양될 수 없는 운명을 맞이한 개를 죽음으로 던지는 일이 개에 대한 사랑인가 아니면 잔혹함인가?
"He assumes that people from whom cruelty is demanded in the line of duty, perople who work in slaughterhouses, for instance, grow carapaces over their souls. Habit hardens: it must be so in most cases, but it does not seem to be so in his. He does not seem to have the gift of hardeness."(140)

벨 쇼브는 누군가는 그 일을 해야하고 그 누군가가 자신이라고. 사랑과 잔혹함은 다른 얼굴이지만 한 몸이라는 것을 그는 받아들이지 못한다. 하지만 그러면 그 많은 유기견을 어떻게 할 것인가, 란 문제가 남는다. 이런 질서에 따라 살고 있는 딸의 주변에서 그는 이방인이다. 대학을 벗어나자 그는 무기력할 뿐이다.
"But there are other people to do things-the animal welfare thing, the social rehabilitation thing, even the Byron thing. He saves the honour of corpses because there is no one else stupid enough to do it. That is what he is becoming: stupid, daft, wrongheaded."(143)

이렇게 아프리카 대륙 한가운데서 자신이 알던 질서와 다른 질서에 들어와 가치관 혼동을 겪으면서 그는 바이런을 버리지도 못하고 나아가지도 못한다. 그러는 중에 딸은 원주민 청년들한테 강간을 당하고 임신을 한다. 그는 아버지로서 딸의 안전은 고국으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설득하지만 딸은 원주민의 질서에 순응하겠다는 선택을 한다. 그러면서 아버지 데이비드한테 이렇게 말한다.

"David, I can't run my lif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you like what I do. Not any more. You behave as if everything I do is par of the story of your life. You are the main character, I am a minor character who doesn't make an appearance until halfway through. Well, contray to what you think, people are not divided into major and minor."(193)

결국 아버지는 딸의 삶을 망치는 게 자신의 삶을 망치는 거라는 무의식에서 기인한다. 딸은 백인사회에서, 그리고 아버지의 세계에서 독립을 하기로 한다. 그것이 아버지의 기준과 어긋날지라도. 딸이 겪은 극단적 고난을 통해 쿳시는 질서가 다른 두 세계는 옳고 그른 것의 문제가 아니라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 삶의 이치는 우리가 믿는 이성, 실은 학습되어 계몽된 이성 하나만으로 재단할 수 없다. 딸이 선택한 질서는 서구의 이성이 가르치지 않은 아프리카의 이성이고, 더 나아가 딸이 살아가면서 체득한 이성으로 인정해야한다.

한 지식인이 물리적 변화를 겪으면서 어떤 정신적 방랑을 하게 되는지 서늘한 문체로 쓰여있다. 단문에 거의 현재시제를 사용하는데 현재시제는 묘한 긴장감을 주고 사건에서 거리두기로 작용한다. 과거시제가 사건을 전달하고 확정하는 면이 있다는 걸 쿳시 글을 읽고 깨달음.

*바이런에 관한 이야기가 꽤 많이 나오는데 낭만주의 시인으로서 그의 여성편력 탓도 있겠지만 아마도 시의 정서에 본능에 충실한 무언가가 있나, 하는 궁금증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 살 버릇 여름까지 간다
이기호 지음 / 마음산책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며칠 전에 아빠가 뭘 물었다. 대답을 했는데 못 알아들으셨다. 귀가 잘 안들려서 데시벨을 올려야하는데 다시 말하려니 짜증이 나서 대답 대신 뭐가 그렇게 궁금하냐고 쏘아붙였다. 아빠는 "나도 젊을 때 있었어, 못 알아들었으면 열 번이라도 다시 말해줘야지 왜 짜증을 내. 부모는 자식이 뭘 몰라 물으면 열 번이라도 다시 설명해주는데 자식은 한 번만 더 물어도 짜증을 내"라고 하시면서. 자식을 키워봐야 부모 마음을 알지...하는 마무리를 하셨다. 순간 아빠한테 엄청 미안했다. 다시 말하는 게 뭐가 힘든 일이라고 짜증을 냈는지 .어릴 때 뿐 아니라 불과 두 달 전 병원에 입원해 있을 때도 아빠는 내가 좋아하는 과일, 과자, 빵 등 주전부리를 사들고 매일 병원에 오셔서 내 머릿맡에 잠깐씩 앉아있다 가셨는데...

이 소설집을 읽으니까 아빠 생각이 난다. 부제가 가족소설이다. 말 그대로 이기호 작가가 자신의 가족 이야기를 썼다. <갈팡질팡하다 이럴 줄 알았다>의 서문을 보면 불안을 씨앗 삼아 글을 쓰는 청년이었는데 이제는 세 아이의 아빠이다. 작가답게 세심하고 때론 소심하다. 문득 이런 사람을 배우자로 두는 아내도 작가 못지않게 세심할 거 같다. 실제로 작가는 아내의 육아 지옥에 물리적으로 많은 도움은 못 줘도 정신적으로는 그 고통을 분담하고 땡땡이 치는 것에 대한 기본적인 반성이 깔려있어서 작가의 아내는 그래도 다른 아내들보다 행복할 거 같다는 생각이.

이기호 소설 속 주인공들은 대체로 주변인들이고 희화한다. 희화화가 자칫 타자화로 빠질 수 있는 위험이 있는데 이기호 작가의 인물들은 전혀 그렇지 않다. 어처구니없는 유머 속에 따뜻한 인간애를 전해준다. 사실 어찌보면 상황이나 처지를 180도 바꾸는 일은 현실에서는 많이 힘들 수 있다. 하지만 그 입장을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현실은 희망적이기도 하고 절망적이기도 하다. 그래서 행복은 마음에 있다는 말이 나온거고.

"세 아이 모두 학원은 다니고 있지 않지만, 합기도 체육관과 동네 카페 2층에서 한 선생님이 자원봉사 형식으로 아이들을 가르치는 '사자소학' 교실만큼은 빠지지 않고 나가고 있다. 아이 친구들 역시 모두 함께하는데, 그러니까 이 동네 아이들은 낮에는 무술을 연마하고 저녁에는 '소학'을 읽는, 겉모습만큼은 무슨 나라를 구할 아이들처럼 보이기도 한다(나라를 구하기 이전에 제발 발이라도 스스로 잘 닦고 잤으면 하는 소망이 있다)." -246쪽

책장을 덮기 전 에필로그에 쓰여진 말인데 다시 한 번 빵 터졌다. 시선의 힘이다. 소심하지만 인간에 대한 한없는 애정을 가진 작가의 눈으로 보는 일상혈투를 읽은 후 심장이 따뜻해진다. 

오늘 아빠는 할아버지 제사 때문에 고향에 내려가셨다. 지금쯤 오랜만에 만난 동생들과 술잔을 주거니 받거니 하고 계시겠지. 이 책을 읽으니 아빠가 어릴 때 품에 안고 잠을 재워주던 생각이 난다. 아이를 키우는 이들은 거꾸로 아이를 재우던 때가 생각날테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쟁일기 읻다 프로젝트 괄호시리즈 1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지음, 박술 옮김 / 읻다 / 201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1.
작년 독립출판마켓인 세종예술시장소소에서 출간된 줄 알게 된 책. 이 인기없는 번역서를 출판한 '읻다'청년들을 좀 소개하면 이렇다. "노동 공유를 기반으로 기획된 출판 프로젝트 "읻다"는 20-30대 출판인들이며 아직 알려지지 않는 고전 또는 재조명할 가치가 있는 텍스트를 직접 번역해 출간하고 있습니다."


'괄호 시리즈'로 책을 낼 있는데 눈이 반짝이게 할 고전들, 하지만 아무도 손 안대는 고전들. 로베르 데스노스의 <애도를 위한 애도/자유 또는 사랑>이 출판되길 학수고대하고 있다.  


2.

비트겐슈타인이 1차세계대전에 참전 중에 쓴 일기모음집이다. 편집상 특이한 건 왼쪽 페이지는 사적 일기고 오른쪽 페이지는 사유 일기다. 책을 펼치면 사적 일기와 사유 일기를 동시에 읽게 되는데 사유 일기를 읽는데 사적 일기가 은근히 힘이 된다.

3.
비트겐슈타인은 언어의 논리성으로 현상의 본질을 꿰뚫으려고 했다. 하지만 이게 어디 가능한 일인가. 그럼 비트겐슈타인은 이걸 몰랐나...그럴리가. 그는 현상의 본질에 접근하는 법으로 언어 논리란 수단을 택했고 그 수단의 모순과 불완전성을 통해 본질에 다가가는 방법을 취했다.

"언어는 세계와 내적 관계들을 맺고 있으며, 그러기에 언어와 이 관계들이 사실들의 논리적 가능성을 결정한다. 우리에게 유의미한 기호가 있다면, 그것은 어떤 구조물과 특정한 내적 관계를 맺고 있어야 한다. 기호와 관계는 지칭 대상의 논리 형식을 일의적으로 결정한다. "(15.4.25. 243쪽)

어떤 현상(이 책에서는 영상이란 단어를 사용)을 문장으로 표현하면 문장으로 재현하면 현상의 본질에 다가간다고 보지 않는다. 그래서 참인 문장과 부정인 문장에 대한 가치 판단도 무의미해진다. 부정 혹은 거짓 문장이 되려면 참이란 전제가 필요한데 이 전제 자체가 참인가에 대한 끝없는 고민. 머리 아팠겠어..;; 사적 일기를 보면 전시 중이라 극도의 스트레스 상황 하에 놓여있고, 초반에는 정신에 의지하는데 후반부로 갈수록 신을 찾는 변화가 있다. 결국 인간의 나약함은 초인적 혹은 상상에 기댈 수 밖에 없게 만드나...

4.
언어 자체가 하나의 확고한 철학적 준거틀이 되는데, 깊은 회의를 느끼면서도 언어에 집착해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양가성. 비트겐슈타인은 함수와 변수만을 그 자체로 가치를 갖는다고 생각했다. 언어의 유한성을 인정하는 대목이기도 하다. 하지만 언어는 무척 매력적이다. 모사한 문장 자체를 해부하면 거대한 심연이 펼쳐지기 때문에. 비트겐슈타인이 언어가 아니라 수학적 기호를 사유 수단으로 택했다면 어땠을까. 명쾌한 답을 얻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포스트 잇
김영하 지음 / 현대문학 / 2005년 10월
평점 :
품절


1.
지난 달 병원-집-일-집의 궤적을 반복적으로 돌면서 고독과 우울의 쓰나미 속에서 살겠다고 강남역 한복판을 왔다갔다하는 초인적 일정을 버텨냈다. 병원에서 돌아오다가 보행 연습 및 테스트를 위해 알라딘 중고매장에 들렀다. 목적없이 중고 매장에 막상 가면 살 책이 없다. 눈에 띄는 책들은 이미 내가 가지고 있는 책들 뿐일 때가 많다. 하지만 책방을 그냥 나오다니, 있을 수 없는 일. 무조건 무슨 책이라도 사기 마련이다. 김영하의 초기 산문집 <포스트 잇>을 골랐다. 2005년도 출간된 거니까 무려 12년 전에 글이다. 김영하가 지금보다 훨씬 젊었을 적. 고독하고 우울할 때 <포스트 잇>은 썩 위안이 되는 책은 아니었다.

2.
김영하 소설은 꽤 읽은 편인데 김영하에 대한 팬심은 없는 편이다. 작가에 대한 호기심이 별로 안 생기는데 팬들이 너무 많아 그런가...나 하나쯤 팬덤에서 빠져도 그의 인기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니. 산문집이라 김영하 작가의 개인적 생각들을 엿볼 수 있다. 그의 소설을 읽으면 예민하고 철두철미할 거 같은데 산문집도 이 느낌에서 많이 벗어나진 않는다. 젊은 김영하를 읽는 느낌이다. 이 책이 출간되었을 때 읽었으면, 지금보다 훨씬 젊은 나는 어떤 느낌을 받았을까.

3.
"모두들 지극히도 평범한 자신을 저주하며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었다. 나는 그런 이야기를 쓰기로 했다. 아무것도 특별할 게 없는 그러나 그렇기에 아주 특별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역시 별로 특별할 게 없는 내가, 내 방식 그대로 쓰기로 했다. 그러다 보면 길이 있겠지. 그러면서도 지금도 쓰고 있다. "-<평범> p.157

"아무런 흔적없이 떨어졌다 별 저항없이 다시 붙는, 포스트잇 같은 관계들. 여태 이루지 못한, 내 은밀한 유토피아즘." -포스트잇, p.215

4.
유려한 문장 속에 예리한 통찰이 묻어나지만 감정적으로 확 기울진 않는 글모음. 내가 늙어서 그런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록스 호텔
피터 니콜스 지음, 정윤희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6년 3월
평점 :
절판


호퍼의 그림을 표지로 써서 샀는데 읽다보면 카프카의 소설이 몹시 땡긴다. 저퀄로 인물들의 궤적을 알맹이 없는 사건들로만 나열해놓아서 빨리 카프카 소설로 가글하고 싶게 만드는 소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0ooz05 2017-11-23 10: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표지 보고 책을 잘 못 선택하셨네요 제 생각에도 표지와 내용이 너무 안어울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