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다. "예술은 사기다."
코끼리표 전기 밥솥이나 삼성전자 컬러 TV 만큼이나 진부한 이 말은 영화<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에도 적용된다. 영화가 진부하다는 것이 아니다. 영화<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이 '뻥으로서의 예술, 사기로서의 이야기, 판타지로서의 영화' 에 대해 말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면에서 영화는 팀 버튼의 <빅피쉬> 나 타셈 싱의 <더 폴 : 오디어스와 환상의 문>의 연장선 속에 있다. (이 정도 이야기하면 이미 다 아는 사람들은 "아...뭔 풀 뜯어 먹는 소리하려는지 알겠군." 할테지만) 두 영화 모두 '이야기에 대한 아름다운 영화' 이다. 팀 버튼과 타셈 싱 모두 헐리우드의 스타일리스트이다. 그들이 만드는 시각적 이미지는 동화적이고 환상적이다. 독보적인 시각 이미지로 영화의 식욕을 높인 사람들이다. 이런 스타일리쉬한 영상은 21세기에 분홍빛 셔츠를 입고 헐리우드를 활보할 것 같은 웨스 앤더슨에게로 이어진다. (사랑스러운 영화 <문라이즈 킹 덤>을 보라.)
영화를 비롯하여 모든 예술은 일정 정도 숙성된 이후 자기반영적인 속성을 갖는다. 자기반영이라는 건 쉽게 말하면 '되먹이는 것'이다. 이것은 놀이가 될 수 도 있고, 성찰이 될 수도 있으며, 또한 전제가 된 개념에 대한 도전이 될 수도 있다. 즉 예술이 예술 자체를 소재로 삼고, 영화가 영화 자체를 대상으로 삼아 노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글로리아 스완슨이 나오는 영화<선셋대로>)는 헐리우드 무성 영화에 대한 오마주이자, 스튜디오 시스템에 대한 자기 성찰 또는 영화 자체의 의미를 되짚는 자기 반영성을 보여주는 고전적인 작품이다.
영화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역시 동화적인 시각이미지와 코믹 스릴러 양식을 전면에 내새우고 있다. 하지만 영화의 한 겹 아래에는 앞서 말한 뻥으로서의 '이야기'와 '예술' 또는 '영화' 에 대한 경이와 존경을 담고 있다.
영화는 먼저 선명한 색상과 잘 짜여진 화면 구성으로 마음을 빼앗아 간다. 단 한 장면도 건성으로 찍은 샷이 없을 정도로 프레임으로 통해 들어오는 시각이미지는 완벽히 감독의 의도와 통제하에 놓여 있다. 장인이 한 땀 한 땀 눌러 찍듯 한 장면 속의 색상과 소품, 세트, 조명 등이 일관된 흐름 속에서 진행된다. 빨간 색 엘리베이터, 보라색 유니폼, 분홍색 케이트샵, 푸른 빛의 감옥, 하얀 설원. 감독의 게이적인 아지자기함이 사랑스럽다. (대단히 키치적인 색 분포아닌가? 키치가 뭐?)
영화는 늙은 작가(톰 윌킨스) 의 나레이션으로 시작한다. 늙은 작가의 영화 속 이름은 없다 !!<흥부전>이나 <해와 달> 이야기의 원작자가 없듯이. 태초에 이야기가 시작될 때 거기에 작가란 존재하지 않았다. 가장 오래된 형태의 문학인 구비 문학이란 것이 무명씨들의 것이 아니었던가? 그렇기
때문에 영화 속 젊은 작가 역시 이름이 없다.
카메라를 응시한 무명의 작가는 자기의 스토리를 시작한다. 영화는 피카레스크 구성을 따른다. 이제 수 십년 전 벚꽃 피는 오늘처럼 젊은 날의 그의 이야기가 등장한다. 젊은 작가(주드로)는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기 좋아하는 사람들 머무는 - 우리 현대인들이 그러하듯이-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을 어슬렁 거린다. 젊은 작가의 눈에 한 명의 노인이 들어 온다. 엄청난 부호이자 호텔의 주인인 무스타파(머레이 에브라함)이다. 그는 좋은 방을 놔두고 로비 보이의 숙소로나 적당한 자기 호텔의 작은 방에 머문다. 무스타파는 "오래되어 운치가 있다는 목욕탕" 에서 자신의 지난 이야기를 젊은 작가에게 들여준다. 로비 보이로 이 호텔에 오게 된 이야기와 그의 스승이자 상사였던 구스타브(랄프 파인즈)와의 오래된 추억을 말이다.
잠시 정리해보자. 관객은 늙은 작가가 이야기하는 젊은 시절의 이야기를 듣는데, 작가가 어렸을 때, 어떤 늙은이가 해 준 자신의 젊은 날의 이야기를 듣는 셈이다. (이야기가 좀 헷갈려 보이지만 의도한거다. 즉 '이야기'에 대한 영화라는 걸 말하기 위해서다.) 영화는 보다시피 두 번의 화자를 통해, 즉 두 번의 액자를 통과하여 메인 스토리에 도달한다. 액자 속의 또 다른 액자. 자...좀 전에 영화의 색감을 이야기하며 장면이나 씬이 아니라 '프레임'이라는 단어를 왜 썼는지 눈치 챘어야 한다. 영화는 프레임의 예술이다. 액자는 다른 말로 하면 창이고 프레임이다. 우리는 영화관에서 카메라의 프레임을 통해 촬영된 스크린이라는 창문을 통해 경험한다.
이 영화에서 눈에 띌 정도로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구도가 바로 창문이미지이다. 창문(프레임)을 통해 호텔 내부를 보고, 창 틀에 서서 이야기하는 주인공들이 나온다. 창문과 관련된 이미지가 너무 너무 자주 등장한다. 공원의 비둘기 똥만큼 많다. 창을 중심으로 수평 패닝을 한다거나 창문을 통과하여 줌 인, 줌 아웃한다. 반복에는 이유가 있다. 물론 감독은 쿨하게 "난 그게 좋았을 뿐이고"라고 말할 터이지만. 감독의 의도가 영화를 보는 해석의 종착역은 아니다. 그런 수직적 비평관은 '작가를 죽여버린' 이 시대에 어울리지 않는다.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창문의 이미지는 영화 프레임에 대한 상징적 기표인 셈이다. (이제는 진부한 상징아닌가?)
우리는 벌써 두 번의 '액자'에 대해 말했다. 하나는 '액자 소설'의 액자, 그리고 '프레임'으로서의 액자이다. 영화의 중심사건은 '사과를 든 소년'이라는 명화를 유산으로 받게 된 호텔 지배인이 겪게 되는 소동이다.
그렇다. 그림이다.그림.
히자만 주인공은 그림을 숨기거나 옮기지 않는다. 그림이 걸린 액자를 옮긴다. 뭔 말 장난이냐고.? 잠시 나와서 좀 보자. 잠시 삼천포를 들렀다가. 과문해서 그런건지 모르지만, '사과를 든 소년'은 처음 보는 그림이다. 피카소의 '파이프를 든 소년'은 안다. (정말 '사과를 든 소년'이란 그림이 있는지 잘 모르겠다. 상관없다. 뻥이니까) '사과를 든 소년' 대신 벽에 걸렸다가 결국 분노 폭발한 아들(애드리언 브로디)에게 발각되어 부셔지는 그림은 누구나 알 만하다. 에곤 쉴레다. 영화<파란 대문>에서 김기덕이 하숙방에 졸라 떡하고 걸어 놓은 것도 에곤 실레였다. 하여간 우리는 그림을 옮긴 것 같지만, 사실 액자를 옮긴 것이다. 이건 말장난 같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 데리다는 예술작품에 있어서 에르곤과 파레르곤의 관계를 설명한다. 우리는 흔히 말하는 작품, 예술의 내적가치를 담지하고 있는 그것은 '에르곤'이다. 그리고 부차적인 그것, 즉 액자와 같은 것은 '파레르곤'이다. 데리다는 이 에르곤과 파레르곤의 경계를 해체한다. 오히려 그동안 외면당했던, 인식에 포함되지 않았던 파레르곤과의 위상, 침투, 넘나듦, 경계에 주목한다. 이렇게 세 번째 '액자'가 등장했다. 영화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에서 파르레곤은 화면비이다. 관객은 뭔가 변화한 것 같은데, 그게 뭔지 잘 모를 수 도 있다. 아니면 "아 왜 갑자기 화면이 줄었지?" 정도로 파악하고 넘어갈 수도 있다. 영화 속에서는 화면비가 1: 1.37 1: 1.85 , 1: 2.35 등으로 변화한다. 스토리의 시간에 따른 변화인 셈이다. 화면비의 변화는 영화의 역사를 통시적으로 상징하는 한가지 오마주인셈이다. 영화에 대한 관객의 미학적 경험은 분명 시대를 따라 변화해 왔다. 영화 <그래비티>의 시각적 이미지의 변화가 놀라운 것이 듯, 화각의 변화, 스타일의 변화, 색깔의 변화 등 영화의 기술적 시지각의 변화 역시 영화라는 예술 체험에 있어서 거대한 변화를 의미한다. 파르레곤으로서의 영화 프레임의 변화. 우리의 영화적 체험은 그런 파르레곤의 변화와도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잠시 언급했던 영화 <더 폴>의 도입부에는 베토벤 교향곡 7번의 장중한 울림 속에 멋진 흑백 오프닝씬을 만날 수 있다. 그 장면은 감독 타셈 싱이 무성영화 시대의 영화인들에 대한 존경으로 포함시킨 장면이다. 영화<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은 어떠한가?
영화 속 주인공들의 모든 연기와 액션은 그야말로 버스트 키튼이나 해롤르 로이드의 그것 아니던가? 유산 발표장에서의 주먹다짐, 감옥에서의 도주씬, 호텔에서의 총격전 등등등... 현대의 코미디에서는 결코 만날 수 없는 올드한 ,그렇지만 향수를 자아내는 고전 코미디에 대한 감독의 애정이 묻어나는 장면들이 아닐수 없다.
영화 속 마지막 대사에서 호텔 주인 무스타파는 '구스타브는 그 당대에도 이미 오래전 사람이었으나, 그의 환상 속에서 살았다.' 라는 말을 한다.(정확히 기억아지 않는다.)
처음부터 무스타파가 로비 보이였는지 의문이 갔다. 외모가 다르지 않은가? 그리고 그게 별로 중요한 건 아니다. 중요한 건 무스타파가 결국 구스타브이며 로비 보이 제로라는 것이다. 아니 그것이 아니어도 상관이 없다. 이 영화가 그 문제를 밝히는 스릴러는 아니지 않은가? 궁극적으로 이 영화가 '이야기'와 '영화'라는 환상에 대한 이야기라면 주인공은 구스타브여도 제로로 불러도 상관이 없다.
한가지 주목할 필요가 있는 점이 있다. 인도 소년으로 보이는 로비 보이의 이름. 그의 이름은 '제로'(ZERO)다. 그는 전쟁으로 모든 것을 잃은 이민자, 난민이다. 그래서 '제로'이다. 수학에서 '제로'의 의미는 무엇인가 알면 그 '제로'라는 기표가 환상이라는 기표와 대단히 상동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제로는 '없는 것이며 있는것이다' '없음으로 있음을 보장하는 것이며 있지만 그 실체를 규정할 수 없는 무엇'이다. 우리가 예술이라는 것, 영화라는 것. 이야기라는 것. 그것이 바로 '제로' 와 같은 도상에 서있는 것은 아닐까?
영화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은 사랑스럽고 아름다운 이야기와 영화에 대한 '벚꽃 예찬' (우리 아들 이름이다.)이다.
** 엘리베이터 타고 열심히 멀티플렉스 영화관 올라가서- 예전엔 대개의 영화관이 1층에 있었다- 뒤적여봐도 확 꼽히는, 볼 만한, 그런 영화 찾기 쉽지 않은 시즌이다.
그런데 웨스 앤더슨의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을 외면 한다고...당신은 미세 먼지때문이거나, 봄날의 멜랑꼴리때문에 제 정신이 아닌게 분명하다. 아님 말고 홍홍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