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와 국립과천과학관에 다녀 와서 이정모 관장님의 공룡 강의 영상을 함께 본 적이 있다. (당시 만 네 살 정도였던?) 아이는 깊은 인상을 받았는지 관장님을 직접 만나보고 싶다고 했다.

  집을 정리하면서 찔끔찔끔 읽다 만 책 몇 권의 뒷부분을 읽었다. 다른 분들 리뷰를 보니 개인의 정치적 지향으로 불필요하게 비약한 일부 글은 호감보다는 반감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던 듯하다.

  여하간 큰 부담 없이 술술 읽을 만하다.


  우리 사회도 믿음을 놓고 경쟁하기보다는 사실을 가리고 각자의 이야기를 갱신해 가며 이해를 넓혀 나가면 좋을 텐데... 열린 사회의 적들만 많아지는 것 같다. 자그마한 합리성이 아쉽다.

천동설에서 지동설로 넘어간 과정에는 관찰하고, 관찰에 따른 모형을 만들고, 모형에 어긋나는 새로운 관찰을 하면 모형을 수정하고, 수정 모델로도 도저히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 나타나면 과감히 옛 생각을 버리고 새로운 혁신을 받아들이는 과학의 발전 방식이 고스란히 들어 있다. 천동설에서 지동설로 바뀌는 과정에는 과학의 모든 요소가 다 들어 있는 셈이다. 따라서 천동설은 과학이라고 봐야 한다. 그것도 아주 좋은 과학이다.

물론 천동설은 틀린 이야기다. 과학이란 옳고 그름을 가르는 게 아니다. 과학이란 ‘의심을 통해서 잠정적인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코페르니쿠스와 갈릴레오의 지동설이라고 해서 완전히 옳은 이론은 아니다. 무수히 많은 수정을 거듭하고 있다. 현재의 우주 모델도 언젠가는 부인되고 전혀 새로운 모델이 나타날 것이다. 이야기가 멈추면 그것은 과학이 아니다. - P108

대화의 기본은 팩트와 스토리를 구분하는 것이다. 내가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 사실인지, 아니면 내가 머릿속에서 지어낸 스토리인지 스스로 알아야 한다. 스토리 없이 이야기하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상대방에게 먼저 팩트를 이야기하고 확인해야 대화가 된다. 골든라이스를 개발하고 있는 몬산토가 생존하고 있는 노벨상 수상자 가운데 3분의 1이 넘는 사람을 ‘매수‘하여 GMO가 안전하다는 주장을 펴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나 한 이야기인가 말이다. 팩트에 기초하지 않은 스토리는 대개의 경우 무익할 뿐만 아니라 유해하다.

과학은 의심하고 질문하는 데서 시작한다. 그것은 상대방뿐만 아니라 자신에게도 마찬가지다. - P15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큰 기대 없이 봤는데 상당히 재미있게 읽었네요~

일출봉에서 나온 것은 구판이고, Gbrain에서 2015년 개정판이 나왔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재밌어서 밤새 읽는 화학 이야기 재밌어서 밤새 읽는 시리즈
사마키 다케오 지음, 김정환 옮김, 황영애 감수 / 더숲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도 어디선가 자라나는 마음에 호기심을 키워주시는 과학 선생님이 계시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슬쩍 봤는데, 범상치 않은 책. 가격이 압박스러우나 그만큼 공들인 티가 물씬 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artalk: Everything You Ever Need to Know about Space Travel, Sci-Fi, the Human Race, the Universe, and Beyond (Paperback)
닐 디그래스 타이슨 / Natl Geographic Society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할인행사에서 싸게 사둔 것을 아이가 꺼내옴. 번역본은 실망스러운 모양인데, 아무렇게나 펼쳐 읽어도 꽤 재미있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