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은사 신간이 나왔다. 그런데 궁켈의 <창세기 설화>가 이북과 동시 출간이다. 오래 전부터 이북을 출간했으면 좋겠다고 말했지만 수긍한 출판사는 거의 없었다. 그런데 조금씩 늘어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언제부턴가 알라딘에 서평을 올리지 않는다. 가끔. 엊혀질만할 때 가끔 올린다. 서평도 페이퍼에 담는니다. 왜 그럴까? 나에게 물었다. 답은 의외로 빠르고 명징했다. 책을 담아둘 수 있어서. 그렇다. 책을 담아 둘 수 있다는 것. 그것이 답이었다. 서평란에 글을 쓰면 그 책만을 담는다. 그러나 동일한 내용을 페이퍼에 담으면 다른 책도 함께 넣을 수 있다. 헛된 책 욕심에 빠진 게으른 타성이다. 그래도 버리고 싶진 않다.


이 책는 수년 전에 읽었다. 그런대로 좋은 책이다.














이 책도 읽었다. 그런대로 좋은 책이다.














지난 주 구입해 읽고 있다. 역시 은유다. 여성의 까탈스러움이 짙게 묻어 있다. 산문이다. 물론 글쓰기 방법을 희미하게 그린다. 글쓰기를 제대로 배워보지 못한 이들은 해독하기 어려운 암호처럼 풀기 어렵다. 예를 들어 글 쓰는 일이 '소수의 권력'이 아니라 '최소한의 권리'(44쪽)라는 정의 속에 저자의 속성이 짙게 배여있다. 

일단 쓸 것, 써야 쓴다.(57쪽)

시속 150km 기차 안에서 바라본 풍경의 일면이다. 즉 써야 한다는 것. 글은 씀으로 글이 된다. 작가는 써야 작가이다. 


"고통의 글쓰기는 고통의 글쓰기다"(64쪽)


글쓰기를 가르치는 이들의 극단이다. 누구는 글쓰기는 누워서 떡먹기다. 누구는 생을 갉아먹는다. 누구의 말을 듣든 글쓰기는 쉽다. 단지 아플 뿐이다. 그래서 어려운 것이다. 


박종인의 <기자의 글쓰기>도 함께 구입했다.

남자다 조선일보 기자다. 아직도일까? 하여튼 기자다. 조선일보. 난 조선일보를 싫어한다. 그곳에 글을 쓰는 사람도 싫어 한다. 그러니 박종인도 싫어할까? 난 박종인을 모른다. 그래서 구입했고, 읽었다. 


"글은 글이 아니라 상품이다."(59쪽)


팔려야 상품이고, 읽혀야 글이다. 읽히지 않는 글은 글이 아니다. 타인에의해 읽혀질 때 글이다. 

그럼에도 그의 정의가 달갑지 않다. 하여튼 내용 자체를 비판하려는 건 아니고, 조선일보가 진정성 있는지는 나로서는 회의적이다. 


결국 글도 사진과 다르지 않다. 동일한 시공에서 동일한 장면을 보면서 전혀 다르게 보이도록 만드는 일이 사진작가니까. 글도 그렇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당이 있는 집에 살았었다. 근대는 마당을 불필요한 공간으로 치부하며 사각형 안에 가두었다. 편리함에 익숙해지자 마당은 잊혀졌다.  몇 평 되지 않는 마당이지만 그곳에서 삶은 익었다. 물론 채초밭도 만들었다.


골목은 놀이터였다. 한여름 저녁 골목은 그야말로 장날이었다. 애들은 뒹굴고, 어른들은 먹을거리 내 놓고 담소 나누었다. 골목은 마당과 많이 닮아 있다. 요즘은 골목이 없다. 기능적 통로일뿐이다. 


요즘은 그냥 추억을 읽고 싶다. 나이가 들었나 보다. 






























김현의 책 몇 권을 담았다. 이제 알았으니 몇 권 더 읽을 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미경의 리부트


김미경씨가 참 좋다. 나에게 몇 살 더 많은 누나뻘이지만 먼 스승처럼 느껴진다. 단지 강의를 잘하기 때문이 아니라 바름과 옳음으로 이끄는 동시에 사물에 대한 균형 있는 관점을 제공한다. 이번에도 여전히 코로나 19 시대 속에서 삶을 어떻게 다듬어야 할지를 한 권의 책에 담았다. 참 바쁘게 산다. 분주함이 아니라 알차게 보낸다. 그런 바쁨은 자신에게도 타인에게도 유익하다. 3월에 <이 한마디가 나를 살렸다>를 출간하고 석 달이 지난 지금, 다시 <김미경의 리부트>로 돌아왔다. 이번 책은 코로나 시대 삶을 어떻게 재설정할 것인가를 다루고 있어서 많은 이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명사들과 명인들과 나눈 대화를 유튜브에 차곡차곡 쌓이고, 그들과 나눈 삶의 지혜는 한 권의 책으로 우리에게 던져준다. 충분히 읽고 싶고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코로나 이후 주목할 사회 현상을 다룬 책들이다. 함께 읽으면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승철 교수의 번역으로 엔도 슈사쿠의 <바보>가 출간되었다. 엔도 슈사쿠의 전문가답게 제목에서부터 심리적 표현까지 철저히 엔도적이다. 2년 전 <엔도 슈사쿠 강의>를 들으면서 엔도에 대해 새롭게 눈을 떴을 때 감회가 여전히 가시지 않았기에 <바보>는 즐겁게 읽어 나갔다. 아니다. 아내의 억압이 없었다면 읽지 않았을 것이다. 자의반 타의반 읽게 된 <바보>는 일본인이 갖는 정서를 고수란히 담고 있었다. 이번 기회를 틈타 다시 엔도를 읽어야 겠다는 헛된 희망을 가져본다. 그러기 전에 먼저 <침묵>을 다시 읽어야 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