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잔틴 세계를 읽다




존 메이엔도르프의 <비잔틴 신학>을 읽는다. 그동안 비잔틴은 전설이고, 역사의 한 켠에 자리한 지역이었다. 아마도 서로마 중심의 역사가 그렇게 만든 것이 아닐까? 또한 비잔틴의 정교회가 러시아로 넘어가면서 한국인들에게 러시아가 주는 거리감 때문에 더욱 멀리 한 것 같다. 


이 책은 정교회 출판사에서 나온 신학전문 서적이다. 하지만, 신학 속에서 비잔틴의 사상을 엿볼 수 있다는 점이 좋다. 








비잔틴 관련 서적을 몇 권씩 모으고 있다. 수년 전에 동로마사를 읽을 적이 있다. 그런데 이 책은 과하게 역사 중심이라 비잔틴이 가지는 미술과 동방신학의 이야기는 거의 없었다. 아쉬운 책이다. 동로마 또는 비잔틴의 세게는 이슬람과 뗄 수 없는 관계이고, 미술과 신앙이라는 묘한 조화를 이룬 곳이다. 이 책 저책 뒤져보니 읽을 책이 조금 보인다. 일단 살림에서 나온 가벼운 책부터 조금씩 확장해 나가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976 백반정식 9백원


깡촌에 살았던 나는 중학생이 되고서야 자장면을 처음 먹었다. 그때가 아마 86년쯤인가로 기억한다. 당시 시골에서도 자장면은 인기였는데 한달 전까지 300원하던 자장면이 500원으로 올랐다. 속이 얼마나 쓰리던지.... 정말 억울했다. 그래도 일년에 단 한 번 있는 기회를 놓칠 수 없어 주문해 먹었다. 아.. 자장면의 맛이란... 


76년에 방영된 <진짜진짜 잊지마>에 식당 풍경이다. 만두가 400원이고, 떡국이 350원, 고기백반이 6백원에 그리고 그 옆에... 갈비찜 백반정식이 9백원이다. 






그러고보면 임예진씨는 대단하다. 당시로서 상당한 인기를 누렸고 동안이었는데 지금도 여전하니 말이다. 이후로 '진짜 진짜 시리즈'는 계속 된다고 한다. 1976년 <진짜 진짜 미안해>가 나오고 다음해1997년 <진짜 진짜 좋아해>가 나온다.  그런데 어찌 한결같이 누가 죽어.. 그래서 슬프고 눈물나... 


어주 어릴 적 이야기가 상상도 못할 이야기인데... 이걸보니 문득 70년대 영화를 다시 보고 싶다. 


진짜진짜 좋아해.. https://youtu.be/wIbhltW9kME





음식에 관한 재미있는 책이 있다. <식탁 위의 한국사>와 <음식의 언어>다. 음식은 단지 먹을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것은 실존의 전 영역을 내포한다. 


















한성우의 우리 음식의 언어를 보면 고봉밥이 나온다. 저자는 밥의 양이 너무 많아 믿기지 않는다하지만, 실제로 양이 많았다. 왜? 지금은 먹을 것이 많다. 그러니 밥을 굳이 많이 먹을 이유가 없다. 그러나 불과 30년 전만해도 시골에는 먹을 것이 없다. 유일한 먹을 것은 밥이다. 그러나 고봉으로 불리는 밥을 먹었다. 지금의 약 2배에서 4배까지의 큰 밥 그릇이다.


오십년도 되지 않는 이야기인데 지금의 사람들은 이전의 과거를 이해할 수 없다. 삶이 그만큼 바뀐 것이다. 그러니 시대를 알기 위해서는 얼마만큼의 상상력이 필요할지 상살도 못할 일이다. 전혀 엉뚱한 상상이 실제일 수도 있다는 것... 그것이 역사를 연구하는 사람들이 염두에 두어야할 전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스피 2017-12-08 22: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교복입은 포스터속 이덕화님과 도시 어부의 이덕화님을 서로 비교해 보니 세월의 무상함을 느끼지 않을수 없네요^^;;;
 

구조주의.. 현대철학을 읽으면서 알게된 사조다. 구조주의를 사전에서 찾으니 이렇다.


<철학> 어떤 사회 현상에서 각각의 요소들보다 서로 얽혀서 기능적 연관을 이루는 하나의 얼개를 우위에 두고 파악하려는 사회학ㆍ철학의 한 경향. 프랑스 인류학자 레비스트로스가 소쉬르의 구조 언어학을 응용하여 체계화한 지적 경향이다.


단어가 아닌 문장과 문맥에서 의미를 찾아야 한다는 말이 된다. 포스터모더니즘이 권위를 해체하는 동안 구조주의를 포스트모더니즘의 한계를 인지하다. 아니 포스트모더니즘 안에서 자기만의 살길을 찾은 셈이다. 


현대철학은 20세 후반에 나타나,,, 현대사를 평정한다. 영미권은 분석철학으로, 독일.프랑스는 대륙철학으로. 구조주의 영미가 아닌 독.프에서 생겨난 흐름인 것이다. 실존주의가 프에서 시작했으니 당연히 반동으로 일어난 구조주의가 프에서 시작되는 것이 맞다.


재미난 것은 구조주의를 주변으로 언어철학과 구조기능주의, 후신민지주의, 문화 연구 등의 다양한 학문들이 연이어 나왔다는 점이다. 이것은 어차피 실존주의가 포문을 열기는 했지만, 구조주의는 브릿지 역할을 하면서 다양한 양상으로 갈래를 열었다는 점에서 높이 살만하다. 


그런데 참으로 신기한 것은 구조주의와 분석철학. 언어 철학이 어떻게 맞닿아 있는지... 아마도 구조니까 문맥이 있을거고. 문맥은 결국 단어와 문장의 긴장을 해소하기 위한 언어 분석이 따라야할 것이고, 그러다 언어사, 문맥, 문법, 등이 생겨나지 않을까? 




































포스트구조주의(post-structuralism) 는 해체주의와 현상학과 긴밀하게 연결된다. 구조주의가 전제를 가진다면 포스트구조주의(post-structuralism) 는 전제를 부정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현상들은 결국 르네 지라르와 같은 반전제 주의자들로 옮겨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박규태 목사의 올해 마지막 번역서 <네 편의 초상 한 분의 예수>가 나왔다. 복음서에 대한 이야기는 끝이없다. 중요하기 때문이리라. <복음서와 만나다>는 리처드 버릿지의 책이으로 이전판은 <네 편의 복음서, 한 분의 예수>다. 


















올 6월에 출간된 버드의 책 <주 예수의 복음> 역시 사 복음서와 전승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장인식의 <복음서, 그 차이를 읽다>는 사 복음서를 비교하여 읽는다. 통합보다는 비교함으로 관점의 차이를 읽으려고 노력한다. 
















복음서 연구는 차이뿐 아니라 전승에서도 유심히 봐야 한다. 공부할게 참 많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많이도 읽었던 김남준 목사의 책들. 요즘에는 거의 아니 아예 읽지 않는다. 아마도 청교도 사상이 가진 특성일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바른 교리를 갖기를 원하거나 교리 교육을 원하는 신자들에게는 추천하고 싶은 분이다. 


특히 그의 교리 묵상 책들은 가볍게 읽으면서도 중요한 교리들을 알 수 있다. 김동건의 신학 묵상도 추천하고 싶다. 글도 깊고 다양한 삶의 난제들을 잘 풀어 준다. 

































































김동건의 신학이 있는 묵상... 참 다양한 책도 많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