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에 대한 오해
스티븐 제이 굴드 지음, 김동광 옮김 / 사회평론 / 200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인간에 대한 오해



이 책은, 생물학적 결정론 또는 유전자 결정론을 다루고 비판하며 통계학적 오류를 짚어낸다.
생물학적 결정론의 비판이 필요한 것은 그 오류가 매우 뿌리 깊고 음험하며, 우리들이 공유하는 본성의 최악의 현시에 호소하기 때문이다. 즉 환원주의, 물화, 이분법, 계층화 등 일반적인 오류를 범하는 경향과 인종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사회정치적 실재를 결합해 사회적인 무기로서 갖는 잠재적 힘을 가질 수 있게 된 것이다. 24쪽

생물학적 결정론이라는 이 책의 주제는 길고 복잡하게 뒤얽힌 논쟁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우리는 추상적이고 학문적인 논쟁의 와중에서 자칫 길을 잃기 쉽다. 그러나 이러한 잘못된 주장에 의해 위축된 생명으로서의 인간의 의미를 결코 잊어서는 안된다. 그리고 바로 이런 이유에서, 엉뚱한 사회적 목적으로 오용된 과학의 오류를 드러내야 한다는 결의를 결코 포기해서는 안된다. 58쪽

˝우리는 이 세계를 단 한 차례 지날 뿐이다. 비극 중에서도 생명의 성장을 저지하는 것만큼 비참한 비극은 없다. 또한 불공평 중에서도 내부에 있다고 잘못 인식되어 외부에서 부과한 한계에 의해 노력할 기회나 희망을 가질 기회조차 부정되는 것만큼 심각한 불공평은 없다. 59쪽

유전적 결정론의 결정판이랄 수 있는 IQ - 지능 측정법 - 은 여전히 현대를 살아가는 이에게 영향력을 발휘하고 그 수치를 결정적이며 객관적 가치로 인정하고 우리의 의식을 지배하고 있다고 해도 과한 말은 아닐 것이다.
알프레드 비네에 의해 창시된 이 방법은 그의 의도와 다르게 사회적 서열화와 차별을 유지할 목적으로 악용되었다. 그러나 비네가 바라는 이론의 적용은 이렇다.
˝엄밀한 유전적 결정론자와 그 반대자와의 차이는 일부 풍자만화가 시사하듯이, 아이들의 성적이 모두 선천적이라거나 또는 전적으로 환경과 학습의 영향을 받는다는 확신이 아니다. 나는 가장 확고한 반유전적 결정론자가 아이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선천적인 다양성마저 부정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오히려 양자의 차이는 사회정책이나 교육적인 실천의 문제에서 찾을 수 있다. 어떤 훈련을 받더라도 모든 아이들이 뉴턴이나 아인슈타인과 같은 사람이 될 수 없다는 명백한 사실을 부정하지는 않지만, 반유전적 결정론자들은 종종 광범위하고 예기치 않은 방법으로 모든 아이들의 학력을 증대시키는 창조적 교육의 위력을 강조한다. 이 경우에 지능 테스트는 적절한 교육을 통해 잠재능력을 높이기 위한 이론이 된다.˝ 263쪽

˝빈곤의 비참함이 자연법칙이 아니라 우리들의 사회제도에 의해 비롯되었다면, 우리의 죄는 중대하다.˝ - 다윈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용소군도 6 열린책들 세계문학 263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지음, 김학수 옮김 / 열린책들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수용소 군도 6




6권은, 영광스러운 혁명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인 러시아 오지의 유형이나 강제이주를 다룬다.
1953년, 스탈린 사후에도 정권은 이어졌고 폭정은 변하지 않았으며 특수수용소는 남아 있었다. 단지 스탈린에서 후르쇼프로 이어지는 정권 교체기에, 석방된 정치범의 낯선 자유가 잠시 있을 뿐이다.
책의 끝자락에, 솔제니친은 이 참혹한 실상을 알리기 위해 책을 집필하고 출판하며 겪는 힘든 과정을 말한다.
마침내 많은 희생 속에 역사적인 기록문학은 출간 된다.
그리고 우리는 그 충격적 진실에 다가갈 수 있음에 감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발터 벤야민과 도시산책자의 사유 스투디움 총서 9
윤미애 지음 / 문학동네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발터 벤야민과 도시산책자의 사유



‘벤야민의 사상을 이해한다는 것은 변증법의 과정 - 사유 세계 전반에서 보이는 종합과 긴장의 관계를 통한 변증법적 사유 - 을 뚫고 나간다는 것, 각 요소들이 양의성(兩義性)을 띠고 ‘상호 침투’하며 전개되는 역사적 과정 속에 있음을 깨닫는 것을 전제로 한다.‘
- ‘발터 벤야민 기억의 정치학‘ 소개글에서 -

이 책은 산책자의 사유라는 관점에서 벤야민의 사상적 특징을 조명하고 그의 핵심적인 이론을 설명하는데 여기에는 철학적 글쓰기에 대한 이론, 언어철학적 성찰, 미메시스론, 알레고리론, 무의지적 기억과 의지적 기억에 대한 논의, 아우라 이론, 세속화 이론, 변증법적 이미지 개념, 기술매체에 대한 테제, 신화학 등이 있다. -14쪽-

혼자 떠나는 여행은 낯설고 막연하지만 하나하나 발걸음이 늘 설렌다.
그리고 이렇게 가이드와 함께 한 여행은 그 문화와 역사 - 사상 - 를 깊게 알게 되어 또 설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쁜 사람에게 지지 않으려고 쓴다 정희진의 글쓰기 1
정희진 지음 / 교양인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나쁜 사람에게 지지 않으려고 애쓴다


ㆍ사회적 글쓰기인데 서평을 앞세운다.
ㆍ글쓰기 방식이 굉장히 공격적이고 단호하다.
ㆍ나쁜 사람이 되지 말라고 질책하는 것같아 글을 읽는 내내 불편하기도 하다.
ㆍ작가가 독자에게 ‘행동하는 양심‘을 일깨운다면 그 뜻은 명확히 전달되고 있다.
ㆍ단지 끝으로 갈수록 ‘세월호‘로 귀결되고 있어 서평의 다양함이 퇴색되어진다.
ㆍ많은 좋은 책을 소개해 주어 마음을 들뜨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용소군도 5 열린책들 세계문학 262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지음, 김학수 옮김 / 열린책들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용소 군도 5



제 5권은 스탈린 사망 전후에 소련의 체제의 변화에 따른 수용자의 저항을 그렸다.
1. 반항
2. 단식 투쟁
3. 탈옥
4. 폭동
이러한 저항은 곧 자신의 죽음을 마음으로 받아들인 것이다.
수용소에서는 죽음의 모습이 흔하디 흔하다.
아마도 무수히 흩날리는 재처럼 그 존재 가치가 희뿌연할 지도 모른다.
어쩌면 그렇게 기꺼이 죽을 수 있기에, 삶이라는 그 소중한 가치에 그들이 원하는 자유, 권리를 부여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