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간단히 두 권을 보자.

줄리아 크리스테바는 루이 페르디낭 셀린(셀린느)를 자기 이론 전개에서 상당히 중요하게 다룬다. 그녀에게는 '아브젝시옹의 작가'인 셈인데, <공포의 권력>에서 자세히 나온다고 한다. 그러니까, 미치지 않기 위해서 글을 쓰는 작가로 그려지기도 하는데, 그런 면에서 제임스 조이스와도 비슷한 기질이 있는 사람인가보다.

 어쨌든, 이 작가를 찾으려고 검색을 해보니 한 권이.. 딱 걸린다.

<밤 끝으로의 여행>, 이 책은 오래 전에 민희식 씨가 <밤의 끝까지 여행을>로 번역한 바 있다. 이분은 요새 불교방송에서 강의도 하시던데..

 

<하트의 역사>라는 책 제목에서 왜 '하트'를 우리말로 번역하지 않고 나뒀을까? 그냥 무심코 넘어갈 수도 있지만, 여기에 이 책이 지향하는 두 갈래의 잔잔한 흐름성이 있다. 즉 '심장의 역사'나 '마음의 역사'로 번역하지 않은 이유는 그 둘다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중의적인 표현으로 '하트'로 그냥 둔 것이다. 그러고보니 부제가 -마음과 심장의 문화사-로 되어 있다.

그냥 제목만 보고 스스로 단순하게 무슨 남녀의 사랑과 관련된 역사적인 이야기쯤으로 여기고 골랐다가는 "어 이게 아닌데.." 할 수도 있을 것 같아, 작은 귀뜸을 한 것이다.

하트(심장과 마음)에 대한 방대한 영역을 아우르는 작가의 지식욕과 이러한 주제로 책을 쓰겠다는 열정이 느껴진다. 즉 이 책에도 작가의 하트가 깃들어 있을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기선 <힌두교>와 <인류학>이 어떨지 궁금하다. <푸코>, <니체>, <아인슈타인>은 이와 비슷한 다른 책이 없다면 봐도 좋겠지만... 그래도 가끔은 이렇게 짤막한 책에서 기대하지 않은 통찰의 시각을 발견하기도 하니까, 함부로 그냥 그런 책이거니 하는 판단도 조심스러움.

 

 

 

 

 

이 줄도 영양가가 높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냥 우리와 먼 고대의 철학자는 아니다. 최근에도 아리스토텔레스 사상에서 긍정적으로 다룰 만한 것들이 여러 분야에서 요긴하게 쓰이기도 한다. '가능태'와 '목적'이 시스템 과학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 지는 카프라의 <생명의 그물>에서 조금 맛을 볼 수 있다. <사드>는 라캉 때문에 요새 다시 가치가 오른 인물이기도 하다. 물론 들뢰즈도 <매저키즘>에서 사드를 다루고 있다.        <언어학>은 그냥 가벼운 입문을 원한다면, 이 책이 적당할 것으로 보인다. 나도 곧 이 책은 볼 생각이다.

 

 

 

 

 

케인즈가 뉴턴에 관심이 많았다고 한다. 그의 연금술에 관한 문서도 경매에서 고가로 구입했다는 얘기도 들린다. 우리에겐 '과학의 대명사'로 알려진 뉴턴에게도 이중적인 모습이 따라붙는다. 바로 신비주의의 그늘인데, 그래서 그가 고대과학에서 많은 아이디어를 흡수했다는 설이 있다.     <불교>는 그냥 지나칠 수도 있는 책인데(워낙 개론서가 많으니까), 이 책의 저자가 (<탄트라로 가는 길>, <지혜의 비>로 유명한) 초감 트룽파의 문하였다고 하니, 왠지 심상치가 않다.       <의식>, 이 책도 <언어학>과 함께 한 번 보고싶은 책 중 하나다.

 

 

 

 

 

-하룻밤의 지식여행- 마무리..

하룻밤이라지만, 그냥 몇 시간에 후딱 읽을 책에서부터 곱씹으면서 최대한 텍스트 영양소를 흡수할만한 알짜베기 책도 포함되어 있다.  <진화론>은 이 시리즈에서 <진화심리학>도 쓴 달런 에번스의 책이다. 그의 이름은 <라깡 정신분석 사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새 김영사에서 나온 '하룻밤의 지식여행"을 조금씩 모으고 있다.

Introducing..이 붙는 '알기 쉽게' 전하려는 노력이 눈물 겨운 책.

특히 다른 책들에 비해 그림과 내용이 잘 맞아 떨어지기도 한다.

 

 

 

 

이 중에서 <양자론>과 <진화심리학>은 있다. <촘스키>는 '시공 로고스 총서'로 갖고 있으니, 굳이 또 비슷한 책을 살 필요는 없을 거 같다. <양자론> 이 책은, 그냥 우습게 볼 책은 아니다. 아주 간략하게 양자역학은 대충 이런 것이다로 끝날 책이 아닐까 생각했는데, 의외로 꼼꼼한 책이다. 수식에 대한 설명도 나오고, 하여튼 양자론을 다시금 알차게 정리하는데 도움이 될 거 같다.

 

 

 

 

 

여기선 <이슬람>과 <기호학>이 가장 메리트가 있어 보인다. <낭만주의>와 <포스트페미니즘>도 관심이 있다면, 괜찮을 듯..  화이트헤드가 서양철학사는 플라톤의 재해석, 혹은 각주에 불과하다라는 비슷한 뉘앙스의 말을 했다고 하는데, 난 여태 플라톤을 진지하게 다룬 단일한 책 한권을 읽어보지 못했다. 뭐 자랑이라고..

 

 

 

 

 

이 줄은 막강 리스트다. 생뚱맞게 <스티븐 호킹>이 끼어 있지만.. <프로이트>와 <라캉>은 있고, <정신분석>은 앞으로 구할 생각이다. <융>하고 <데리다>는 역시 '시공 로고스 총서'로 있으니, 굳이 필요는 없을 거 같다. 이 줄이 다 만만치가 않은데, 그 중에서도 <라캉>, 이 책이 참 잘 되어 있다. 라캉에 대한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정리가 안되는 현상이 간혹 생기곤 한다(누가?). 마치 라캉의 매듭이 주는 마법의 주문인지 뭔가 꼬이는 감이 든다. 그럴 때, 여기에 있는 <라캉>을 읽으면 좀 단순하게 정리가 된다. 특히 다른 책들도 그런 경향이 있지만, 그림하고 설명하고 잘 일치가 되는 책이다. 원서도 교보같은데서 만원 조금 넘는 가격으로 구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일은 주말이다. 이젠 뭐, 주기적으로 찾아오는 일곱 마디 시간의 순환이 너무도 당연하게 보일 뿐이다. 이젠 시간도 기계의 얼굴을 가지고 어떤 놀라움도 없이 정확한 시간에 초인종을 누르듯 도래한다. 왜 오늘 서두는 이다지도 무거운가?

 

 

 

 

아까 책을 봤다. 어떤 책인가 하면, <가상현실의 철학적 의미>라는 책이다. 나온지가 10년이 넘었지만, 지금도 유효한 내용들이 넘실거림을 눈으로 확인했는데, 그 물결 속에서 하이데거도 눈에 띄었다.

참 이 양반도 꽤 진득해서 잊을만 하면, 어디선가는 마주치고 마는 존재가 되버렸다. 하이데거는 자신이 직접 컴퓨터라는 물건을 구경하진 못했지만, 미래에 우리가 경험할 이런 기술과의 관계를 내다보고 있었다. 그런데 문제는, 인간과 기계(인공지능, 컴퓨터)의 존재론적 대비 혹은 대결구도 보다는 그러한 기술이 인간 내면에 미칠 영향이다. 그러한 기술 환경이 우리를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아마도 여기엔 부정적인 기류가 흐를 것이라고 보는듯 하다.

<창조적 존재와 초연한 인간>은 작은 제목(부제)이 -하이데거가 말하는 존재의 구조-인데, 위에서 말한 현대 기술사회를 낙관할 수 없는 분위기에 대한 문제의식이 담겨 있다. 저자의 오랜 시간 하이데거에 대한 연구가 녹아 있다고 하는데, '하이데거의 존재와 노자의 도'라는 제목을 가진 장이 눈에 띈다. 하이데거와 동양의 선(禪)이나 도가 사상과 비교하는 작업이 이상하리만치 빈번하다. 아까 <가상현실의 철학적 의미>를 지은 마이클 하임 역시 책 전반에 걸쳐 도가 사상의 구름을 가끔 출몰시키는 재주를 부리곤 한다.

<창조적 존재와 초연한 인간>을 쓴 사람(전동진 씨)은 롬바흐(Heinrich Rombach)의 책들은 여러 권 번역했다. 롬바흐는 생소한 인물인데, <아폴론적 세계와 헤르메스적 세계>는 입맛이 가는 책이다.

 

 

오늘 책을 찾다가 발견한 책들이다. 그렇게 관심도를 증가시키는 책은 아니지만, 요새 '철학과 종교'를 같이 다루는 책을 읽고픈 욕구가 생기는 중이다. 그런데, 딱히 마땅한 책들이 별로 보이질 않는다.

 

<종교와 철학>   <새로운 사회과학철학>

<새로운 사회과학철학>은 '분설철학'과 '과학철학'책을 찾던 중에 발견한 것인데, '사회과학철학'이란 것은 생소해서 일단 페이퍼에 흔적을 남겨둔다. <인종전시장>도 좀 독특한 책이다. 약간 위험할 수도 있는데, 아마 여태 금기시했던 지식들을 볼 수 있겠다.

 

 

 

 

 

<예술철학>이란 제목을 가진 책이 3권이나 보이는데, 다들 나름대로 장점이 보인다. 특히 박이문 교수는 며칠 전 신문에 까뮈의 스승 장 그르니에와의 일화가 실렸다.

<철학으로 읽어보는 사진예술>은 책 제목이 나같은 사람은 쉽게 유혹할 것 같다. 책의 정보를 보니, 유명한 사진작가들(가령,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 로버트 프랭크, 듀안 마이클스, 랄프 깁슨 등)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엮어내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일단 손쉬운 방식인 거 같고, 단지 얼마나 저자의 깊은 내공이 실린 시선으로 이러한 사진들을 훑을 수 있느냐? 그것이다.

 

 

 

 

<철학으로 읽어보는 사진예술>의 저자가 쓰거나 번역한 책들...

 

<이집트 문명과 예술>은 전부터 구하려던 책인데, 아직까지 손에 넣지 못하고 있다. 요새 '길가메쉬'와 '수메르 문명'에 관심이 있는 터라, 수메르와 이집트, 그리고 중국과의 연결고리에 대한 호기심이 생겼다. 어쨌든, 누가 보기엔 쓸데없는 관심의 확장이 아닐 수 없다.

 

 

 

 

 

'월드뮤직'에 관한 책들도 몇 권 눈에 보인다. 영미 위주의 음악을 벗어나, 이렇게 지구 곳곳의 음악을 듣는 다는 건. 즐거운 일이기도 하고 너무도 당연한 일이다. 그런데 그러한 일들을 최근에야 우리나라 사람들이 하고 있다.

새벽 3시 넘어서던가.. MBC FM 라디오에서 월드뮤직이 나오는걸 들었는데, 음악도 좋고 진행자의 음성도 편안하니 괜찮았던거 같다.  하여튼 오늘의 책 오디세이는 월드뮤직의 리듬을 건드리며 마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제 마지막 남은 한 달, 12월로 넘어왔다. 누가 쏘았는지 그 화살 참 빠르다..

 

 

 

 

 

<체 게바라 방송을 타다>는 체 게바라에 관한 책은 아니다. 그가 가진 이미지, 인기를 제목에 가져 온 책으로 보인다(원제에는 체 게바라의 이름은 없다). 이 책에서 겉으로는 알 수 없는 (방송 현장에 참여하면서 겪는) 언론인의 힘겨운 모습을 찾아낼 수 있지 않을까? 하여튼 생뚱맞게 '체 게바라'의 이름을 넣어서 어떤 책인가 하는 호기심은 잡은 것 같다. 나도 뭔가 하고 클릭을 했으니 말이다. 이런걸 요새 낚시라 하던가?

 

 

 

 

 

푸코라.. 이 바닥?에 처음 들어왔을때의 풍경은 들뢰즈보다 오히려 푸코의 인기가 높았다. 물론 서양 사상을 즉각적으로 체감할 수 없는 우리나라 상황이 들뢰즈의 다양한 모서리를 품기엔 아직 미지근했는가보다. 어쨌든, 푸코의 예언은 들어맞았다. 앞으로 "들뢰즈의 시대가 될거라는.. ".

<푸코에게 역사의 문법을 배우다>는 우리나라 한 젊은 역사학자의 눈으로 어떻게 푸코를 통해서 지금 우리의 역사를 읽어볼 수 있는지를 더듬어 보는 책으로 보인다. 그러니 너무 무겁지 않게, 저자가 하고 싶었던 말과 거기에 따라다니는 푸코의 입김을 볼 수 있을 것 같다.

 

  째려보고, 노려보고.. 구멍 나겠다.

<글 째려보기>, <말 노려보기> 특히 <글 째려보기>는 다양한 글쓰기 경험이 있는 저자의 우리말글에 대한 책인데, 제목이 그러하듯, 어떤 기지가 담긴 글맛을 기대하게 만든다.

 

 

 

 

 

 

나는 <잉카>라는 제목만 보고, 아! 잉카에 관한 새로운 책이 나왔나보구나 생각했다. 멋진 사진들이 있으면 살 생각도 했는데, 왠걸 신비스런 잉카문명에 관한 책이 아니라. 소설이다. 

잉카와 소설이라, 하긴 이런 소설에도 분명히 잉카에 대한 방대한 자료들이 이야기들 속에 잘 녹아있을테니, 오히려 새로운 것들도 자연스레 알게되는 재미도 있겠지 싶다.

 

 <공룡>이다. 공룡이란 책에 공룡말고 뭘 기대하겠는가? 우연히 이 책을 발견했는데, 최근 인터넷 뉴스에도 어떤 꼬마가 마당에서 공룡 피부화석을 발견했다는 데.. 그러니까, 그 친구의 마당이 공룡 피부의 일부였다는 얘기가 아닌가.

공룡 화석 위에 지은 집. 너무 긴 과거의 시간이 단단하게 이 집을 지탱해 주겠지. 그런데, 공룡에 대한 집착이 점점 적어지는 건, 나이가 들어간다는 징후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