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명 소설 모아보기

김진명 1957년 부산출생, 보성고, 한국외대 법학과 졸업, 대한민국 소설가, 민족주의자?
1993년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 로 데뷔, 600만부 이상 팔리며 밀리언셀러 작가로 등극
제천에서 고구려 집필중

고구려는 고구려1권을 2011년3월1일 초판1쇄 발행후 11년 5개월 12일 지난 지금 고구려7 권이 간행됐다. 너무 느린 집필

우리 젊은이들이 삼국지를 읽기전에 고구려를 먼저 알기 바란다.

책이 나오기 기다리다 지쳐 죽을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든다

https://naver.me/5JJUYOyh
고구려7권이 나온 후, 김진명 작가를 인터뷰한 뉴시스 기사를 보면 2023년 완간이 목표이며 고구려8~10권은 광개토태왕의 이야기이고 쾌도난마식으로 진행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고구려7권 초판 발행 2021년6월14일, 1년2월28일 지난 지금, 고구려8권이 간행된다는 소식은 요원하기만하다. 김진명 작가님을 응원합니다. 고구려 부탁드립니다.
🙇‍♂️🙇‍♀️🙇🙇🙇‍♀️🙇‍♂️🙇‍♂️🙇‍♂️🙇‍♀️🙇🙇‍♂️🙇‍♀️🙇🙇‍♂️🙇‍♀️

https://naver.me/5IlP9Nq0
고구려 집필하다 말고 낸 에세이, 인터뷰
내년 상반기 고구려8권 출간, 2024년 여름까지 완결할 계획, 8권부터는 아들이 공동저자로 올라간다나 뭐라나

유비, 조조 너머에 을불과 창조리가 있었다!

김진명 소설은 재밌다. 어려움이 없고 빨리 읽힌다. 읽으면 애국심이 솟아오른다.

📚 📖 읽은 책
1. 고구려1~7
2. 살수1~2
3. 하늘이여 땅이여1~2
4. 1026 <== 한반도1~2
5. 카지노 <== 도박사1~2
6. 신의 죽음 <== 신의 죽음1~2
7. 삼성컨스피러시 <== 바이 코리아1~2
8. 신 황태자비 납치사건 <== 황태자비 납치사건1~2
9. 최후의 경전 <== 코리아 닷컴1~2
10. 싸드
11. 제3의 시나리오1~2
13. 몽유도원1~2 <== 가즈오의 나라1~2
14.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1~2 <==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1~3
15. 미중전쟁1~2
16. 예언
17. 글자전쟁
18. 바이러스X
19. 천년의 금서
20. 직지1~2, 아모르 마네트

📚 📖 안 읽은 책
21. 나비야 청산가자1~2
22. 킹 메이커
23. 김진명의 한국사 X파일
24. 때로는 행복 대신 불행을 택하기도 한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2-09-12 15: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대장정 2022-09-12 16:16   좋아요 1 | URL
ㅎㅎ 당연히 고구려죠. 젊은이들 뿐 아니라 老少를 불문허고 고구렵니다. 제 취향으로다요.

2022-09-13 11:44   URL
비밀 댓글입니다.

대장정 2022-09-13 14:48   좋아요 1 | URL
ㅎㅎ 별말씀을요.재미있구(저한테는)자간 행간 넓어서 금방 읽을수 있어요. 특히 행간이 이책보다 넓은책은 보지 못했습니다.
 

공주 수영 보련암은 도대체 어디에 있는가?

내생각: 작가가 뭣도 모르고 그렇게 썼다.

이때 내아(內衙)에서 술상이 나오거늘 한 잔  먹은  후에  통인과 방자 물려 준다. 술기운이  도도하야 담배 피워 입에다 물고이리저리 거닐제, 충청도 공주수영(水營)  보련암(寶蓮菴)이 좋다 하나 이곳 경처 당할쏘냐.  붉을 단(丹) 푸를 청(靑) 흰 백.. ..
<춘향전, 21페이지>

충청도 공주 수영 보련암.
도대체 여기가 어디인가?
충청도에 수군절도사는 보령 오천에 있었다.
경상, 전라에는 좌, 우수사가 있었지만 충청엔 충청수사 하나.
충청수영성 영보정. 보령시 오천면 오천항에 있다.

충청수영 영보정

오천항이 내려다 보이는 충청수영성 언덕에 위치하는 누정으로 1504년(연산군 11) 수사 이량이 지었으며 이후에 계속 보수와 개축이 이루어졌다.

정면 6칸 측면 3칸의 큰 규모를 가지고 있으며 조선시대 많은 묵객들이 이곳을 찾아 시문을 남겼다. 백사 이항복과 다산 정약용은 이곳을 조선 최고의 정자라고 칭송했다고 전해진다.

조선 말 충청수영이 폐지되면서 1878년 영보정도 화재로 소실되고 터만 남아 있었는데 2015년에 영보정을 복원하여 예전의 모습을 되찾았다.

출처: 두산백과 두피디아

http://m.viva100.com/view.php?key=20220708010001343

춘향전에 나온 ‘츙쳥도 고마수영 보련암’에 대하여, 공주대학교 강헌규

춘향전, 춘향수절가에는 전라도의 광한루와 오작교에 해당하는 경치가 아름다운 곳은 고마 수영 보련암이라는 말이 있다. 충청도에 있는 [보련 암자] 물론 고마수영이나 보련암이 아름다운 곳이라 할지라도 광한루나 오작교가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곳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글쓴이의 관심사는 고마수영과 보련암 지명의 위치를 찾는 것이다.
저의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고마수영[고마해군본부]은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소성리에 있었다.
2. 보련암:기록의 결과로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장소를 알 수 있다.
①경북 문경군 산북면 전두리 대승사 옆에 있다.
① 동산의 가슴 우장동 마을 풍산리에 있다. 강원도 화천군 군내면. 그런데 이 두 보련암은 춘향전의 보련암이 아닌 것 같습니다.
3. 증거가 있다 하더라도 ‘보련암‘은 ‘영보정‘의 옛 터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변경에 대한 추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보련암(보련)→영보(보련)정

이러한 변화는 불교의 지배를 받는 고려 사회에서 유교의 지배를 받는 조선 사회로의 이념적 변화에서 비롯되었다고 여겨진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2-08-21 23:5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오! 춘향전 무대가 공주 라면 실제 대화는 공주 방언으로 ?? ㅎㅎ

대장정 2022-08-22 00:18   좋아요 2 | URL
전라북도, 충청남부 사투리 비슷합니당~~^^.ㅎㅎ
 

나는 술 대신 철학고전에 취하겠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1879~1955)

가지고 있는 도올의 책들. 읽기 어려움

철학? 고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어려운 문장 공부하기

한 문장에 이렇게 많은 어휘가, 이문구가 아니면 누가 이렇게 쓸수 있을까?

입때껏 느럭느럭 능놀며 해찰만 부리던 신태복이가 배참으로 드티면서 반겨 물었다.

** 느럭느럭: 말이나 행동이 퍽 느린 모양.

** 능놀다:
1.쉬어 가며 일을 천천히 하다.
2.일을 미루어 가다.

오나가나 뒷짐을 지고 능놀던 사내들이 해묵은 버릇으로 어슴새벽에 일어나 장화를 챙겨  신기 시작하자….
출처 <<이문구, 산 너머 남촌>>

** 해찰: 1.마음에 썩 내키지 아니하여 물건을 부질없이 이것저것 집적거려 해침. 또는 그런 행동.
2.일에는 마음을 두지 아니하고 쓸데없이 다른 짓을 함.

조선어 시간에 아이들이 해찰을 부리거나, 
또는 열심치 않는 아이가 있든지 한다 치면….
출처 <<채만식, 소년은 자란다>>
(순우리말)해찰부리다 : 쓸데없는 다른 짓을 하다.

** 배참: 꾸지람을 듣고 그 화풀이를 다른 데다 함.

** 드티다
1.밀리거나 비켜나거나 하여 약간 틈이 생기다. 또는 그렇게 하여 틈을 내다.
2.예정하였거나 약속하였던 것이 어그러져 연기되다. 또는 그렇게 연기하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얄라알라 2022-08-11 10:5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올려주신 단어 중 그나마 ‘느럭느럭‘은 짐작이라도 가는데 ‘드티다?‘ ‘배참‘^^ 따로 암기해야할 정도로 생소하네요^^

대장정 2022-08-11 11:08   좋아요 2 | URL
그쵸, 느럭느럭, 능놀다는 대충 깜냥으로 ...드티다. 배참. 너무 어려워요

scott 2022-08-11 23:5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대장정님이 알려주신 단어
능놀다
8월 가슴 깊이 새기겠습니다🙊

대장정 2022-08-12 00:03   좋아요 1 | URL
저도 이제부터 능노는 삶을 살기로 했습니다. 지금까지도 그런것 같습니다만.....
 

Where must we go. . .
we who wander this wasteland
in search of our better selves?
The First History man

희망없는 시대를 떠돌고 있는 우리가
더 나은 삶을 살기 위하여 가야할 곳은 어디인가?
최초의 인류

작금의 현실에 이보다 더 맞는 말이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