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를 들어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대가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콜레라 시대의 사랑》 중 한 부분을 훔쳐 보자. 다음 문단은 단지 하나의 방에 대한 묘사가 어떻게 인물에 대한 통찰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한 전형적인 예다. 여기서 후베날 우르비노 박사는 방금 자살한, 자신의 좋은 친구이자 체스 파트너였던 사진작가 제레미아 드 생타무르의 방을 조사한다.

방 안에는 공원에서 쓰인 듯한 바퀴 달린 커다란 카메라와, 집에서 만든 페인트로 칠한 바닷가의 석양이 그려진 배경이 놓여 있고, 벽에는 중요한 순간들이 담긴 아이들의 사진들이 붙어 있었다. 첫 성찬식 때 사진, 토끼 옷을 입고 찍은 사진, 생일 파티 사진. 체스를 두다 생각에 잠겨 멈춰 있던 오후마다, 우르비노 박사는 해가 지날수록 벽을 덮은 사진이 늘어가는 것을 바라보았었다. 일상적인 그 사진들은 미래의 도시의 씨앗이었다. 이 모르는 아이들에 의해 다스려지고 또 부패할, 그의 영광이라곤 재조차 남아 있지 않을 그곳. 종종 그런 생각을 할 때면 그는 슬픔으로 몸서리쳤다.

이 짧은 단락은 이야기의 배경과 우르비노 박사의 세계관을 드러내 보여줄 뿐 아니라 우리 모두가 씨름하는 보편적 인간 조건을 멋지게 요약해준다. 마치 우리가 애초부터 존재하지 않았던 것처럼 언젠가 세계도 우리 없이 계속될 거라는 사실을 말이다. 이것은 우리가 이야기를 쓰는 이유이기도 하다. 적어도 커다란 돌 위에 “왔다 감”이라고 스프레이로 써놓는 것보단 훨씬 낫다.(199쪽)



이야기를 쓰는 이유?
‘이야기는 삶의 도구‘라는 말을 곱씹어 생각한다. 학생이었을 때도 분식점 벽에 ˝왔다 감˝ 낙서 한 번 해본 적 없으면서 새삼 이야기를 쓰겠다니 대체 무슨 이야기. 할 말이 없어서 답답했는데 이야기를 써서(도구 삼아) 이 세상에서 살아갈 이유를 얻는다면 와이낫?
진짜 말 그대로 와.이.낫

내가 나에게 들려줄 이야기 하나
와이낫

주인공은 나
나 아니면 안되는 이야기 하나
와이낫

주인공은 주인공으로서 해야할 일이 있다.
와이낫

이야기 속에서
이야기 속으로

이야기 바깥에서
이야기 속으로

왔다 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기 이 대목, 창작의 신비성이 아니라 현실성에 관한 것이라는 말에 설득됨.



이 책은 창작의 신비성이 아니라 현실성에 관한 것이다. - P13

중심을 향해 다가가면 다가갈수록, 이야기가 설득력을 가지도록 장면 하나하나를 만들려고 하면 할수록 시나리오를 쓰는 일은 점점 산 넘어 산이 되어가는데, 알다시피 스크린에는 숨을 곳이란 한 군데도 없기 때문이다. - P13

카메라는 모든 잘못된 것들에게는 치명적인 X레이 기계이다. 카메라는 인생을 몇 배로 확대해서 보여주며 우리가 혼란과 당혹감 속에서 다 때려치우고 싶어질 때까지 이야기의 전개 과정 중 모든 취약하고 유치한 구석을 샅샅이 발가벗겨 낸다. 그러나 단단히 결심하고 공부하다 보면 이러한 당혹감들은 사라지게 된다. 시나리오 창작 과정은 이상한 일들로 가득 차 있긴 하지만 해결할 수 없는 미스터리는 아니다. - P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예를 들어 엘리자베스 조지의 《적색 부주의Careless in Red》 중 한 부분을 보자.

앨런이 말했다. “케라.”

그녀는 못 들은 척했다. 쌀과 녹색 콩으로 된 잠발라야와 브레드 푸딩을 만들기로 했다. 시간이 좀 걸리겠지만 괜찮았다. 치킨, 소시지, 새우, 피망, 바지락 국물…… 목록은 계속해서 이어졌다. 그녀는 일주일분을 만들기로 결심했다. 연습해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이렇게 하면 아무 때나 자기들이 원할 때 전자레인지에 데워 먹을 수 있겠지. 정말 훌륭한 기계가 아닌가? 전자레인지는 삶을 단순하게 만들어줬다. 이건 음식뿐 아니라 사람들도 이런 기계에 넣을 수 있게 해달라는 소녀의 기도에 대한 신의 응답이 아닐까? 그들을 데우는 것이 아니라, 전혀 다른 무언가로 바꿀 수 있도록. 소녀는 누굴 가장 먼저 집어넣을까. 그녀는 궁금했다. 엄마? 아빠? 산토? 아니면, 앨런?
(93/411)_《끌리는 이야기는 어떻게 쓰는가》


리사 크론 지음 문지혁 옮김 《끌리는 이야기는 어떻게 쓰는가》를 읽는다. 글쓰기 책에는 인용구가 많아서 읽고 싶은 책도 많다. 《적색 부주의(Careless in RED)》라는 책이 끌리는데 번역본은 안보인다. 아쉽다. 아쉽지만 패스. ‘내일 죽는다면‘까지는 아니어도, ‘나에게 허락된 시간이 1년뿐이라면‘ 정도의 생각을 하다보니 많은 일들을 패스할 수 있게 되었다. 잘된 일이다.

《끌리는 이야기는 어떻게 쓰는가》eBook으로 읽다가 종이책 주문
2024. 2. 19. 월 아침에 비 오다가 12시에 맑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렇게, - P12

당신에게 편지를 씁니다 - P13

계속 편지를 쓰겠습니다. - P6

드루이드로부터 드루이드에게 - P39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삶의 모든 것이 그렇듯이 성공하지 못했을 때는 다시 시도하세요. 초콜릿 칩 쿠키 레시피를 이해하는 것도 어려운 일입니다.

레시피 해체
레시피를 어떻게 해체할 수 있을까요? 모든 레시피는 재료와 조리법이라는 두 가지 기본 파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레시피를 이해하는 핵심은 과정이 재료를 어떻게 완전히 다른 성질로 변형시키는지를 확립하는 것입니다. - P23

레시피를 이해하려면 재료 분자가 최종 레시피의 분자 구조로 어떻게 변환되는지 이해해야 합니다.

음식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의심할 여지 없이 음식을 먹었을 때의 감각 경험입니다. 감각적 경험에는 질감과 풍미라는 두 가지 측면이 있습니다. 젖은 쿠키를 먹는다고 상상해 보세요. 쿠키 맛은 나더라도 좋진 않을 겁니다. 또 그을린 쿠키를 먹는다고 상상해 보세요. 질감은 완벽할 수 있어도 뱉어버리고 말 겁니다. 놀라운 건 질감과 맛을 이끄는 "분자 특성"이 완전히 다를뿐더러, 서로 다른 유형의 분자에서 주로 기인한다는 것입니다. 이 책에서는 이처럼 서로 다른 분자 유형을 "질감 분자"와 "맛 분자"라고 지칭합니다. - P24

향 분자는 두 가지 경로로 후각수용기에 도달합니다. 콧구멍과 입의 뒤쪽입니다. 인간은 후각수용기에 관련한 유전자가 8백개가 있는데, 맛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민감한 시스템입니다. 관련한 놀라운 사실이 있다면, 대부분의 음식은 맛 분자가 아니라 향 분자에 의해서 구별된다는 것입니다. 눈을 가리고 코를 막은 뒤 사과/양파/감자를 먹이는 유명한 실험이 있습니다. 시식자들은 별다른 차이를 느끼지 못하다가 음식이 넘어가 입 뒤를 통해 후각수용기가 감지하면, 그때서야 음식의 정체를 알아차렸습니다. 감시에 걸렸을 때 맛을 느끼기 어려운 이유는 미각과 후각수용기가 점액으로 뒤덮이기 때문입니다. - P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